-
-
블링크 - 첫 2초의 힘
말콤 글래드웰 지음, 이무열 옮김, 황상민 감수 / 21세기북스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블링크"를 일고나서 저자 말콤 글래드웰에 대해 더 궁금해 졌다.
천부적인 이야기 꾼이라더니 정말이다.
읽다보면 말콤 글래드웰이 하는 말은 모두 "사실"로써 받아들여 지고,
그가 제시하는 방대한 근거들에 대해 감탄하게 된다.
전 세계의 사례가 등장하며 분야도 예술, 역사, 운동, 과학, 경영 등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이 사람의 전문분야가 도대체 어디지?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신중한 판단 못지 않게 단 2초의 무의식에서 내린 그 결정도 상당히 훌륭하다는 것.
책의 대부분은 이 명제를 증명하기 위한 갖가지 예시를 독자에게 전달해 주고 있다.
하지만, 2초의 무의식은 따지고 보면 모두 적절한 조건을 달고 있다.
훈련과 학습으로 다져져서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2초의 무의식이 그것이다.
설명으로 하기 힘들 정도로 몸이 먼저 익혀 버린 무의식의 세계이기 때문에
무조건 2초의 순간적 판단에 대해 그 가치를 인정해 버리면 큰 오류를 낳는다.
모든 통계자료는 표본집단 선정에 가장 주의를 기울인다.
모집단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표본집단 선정이야 말고
그 통계적 분석결과에 대해 신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그렇게 선정된 표본집단에서
정확한 통계적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기법이 적용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그런면에서는 나는 말콤 글래드웰의 글 전개방식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남 잘되는 꼴을 못봐요" 라는 결론을 먼저 내고,
이에 합당한 대중적 공감이 되는 근거를 찾아내어 제시를 한다면
이를 듣는 사람은 당연히, 그래 맞아 역시 한국인 근성은 그래~ 라고 쉽게 현혹된다.
전체 인종을 놓고, 각 인종의 특성을 먼저 파악한 다음
한국인의 특성이 상대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 등의 모집단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당연히 받아 들이는 입장에서는 반박할 논리를 만들기도 힘이 든다.
왠지 말콤 글래드웰의 책들은 이야기 전개 방식이 모두 그러한 것 같다.
누구나 경험한 적이 있고 공감할 만한 대 전제를 먼저 정하고
거기에 합당한 근거도 상당히 대중적 공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들로 제시해서
"맞아, 맞아"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인정한다. 세기의 천부적 이야기 꾼임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저자가 머리를 길러서 생긴 에피소드 그 한가지로
이렇게 세계적 베스트 셀러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도 상당히 놀랍다.
그래서 다음 책도 벌써 기대된다. 하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