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함께 일하는 분이 추천해 준 책인데 시각이 아주 신선하다.
그동안 읽은 각종 성공담은 자신의 재능보다 "노력"을 많이 강조했다.
수백, 수천, 수만번 반복하고 노력하는 과정을 거치다 보니 결국 정상에 서더라..
대부분 책은 다 그런 식이다.
물론 우리는 안다.
타고난 재능이 있었기 때문에 그나마 수만번 반복이 빛을 발한다는 것을.
또한 그 수만번 반복할 힘조차 보통 사람으로서는 가지기 힘든 또 하나의 재능이라는 것을..

그런데 나도 가끔 의아하게 생각한 점은 있었다.
분명 내가 자랄 때도 보석처럼 빛나는 친구들이 있었고,
일하는 동료 중에도 그런 보석이 간간히 보이는 데..
소위 말하는 상위 1% 이내에 속하는 "성공"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왜 따로 있을까..
왜 이런 보석같은 사람들은 나 같은 평범한 사람과 함께 생활하고,
나같은 평범한 삶을 살고 있을까..
또한 앞으로도 그 사람이 그냥 그리 평범하게 살 것같기만 할까.

말콤 글래드웰은 나의 궁금증에 대해 이렇게 대답을 해 준다.
상위 1%의 부자 또는 성공한 천재들은..
타고난 재능뿐이나라 1만시간의 법칙을 기본으로 하여,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공동체의 혜택까지 바탕으로 해서 생겨났다는 것이다.
즉, 천재적 재능도 1만시간의 노력으로 만들어 질 수 있는 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환경과 역사에 의한 "기회"가 있었기 때문에 그러한 성공이 가능했다는 것인데,
읽는 내내 내가 책에 빨려들어 가고 있음을 느꼈다.

대부분 다른 책들은 몇 가지 계명을 제시한다.
그 계명들을 따르면 성공의 길로 갈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그런데 이 책이 주장하는 바는 확연히 틀리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성공한 사람들은 그냥 만들이 진 것이 아니다.
1만시간.. 하루 3시간 10년을 꼬박해야 채울 수 있는 그 1만시간의 법칙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 까지는..
꾸준히 노력하라는 여느 책과 다를 바가 없다.
단, 차이가 있다면 과거,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 같은 천재도 그 시간을 채웠다는 점이다.
그런데 1만시간을 채운 아웃라이어들 중 "기회"를 잡은 사람만이 결국 성공을 했다는 것을
주요 인물들의 분석을 통해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제일 흥미로운 점은 케나다의 하키 선수들 이야기인데...
1월부터 12월까지를 한 팀으로 묶는 이 단순한 관습이
아이들 성장 후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하는 점이다.
성장 후 우수한 하키팀에 들어간 선수들의 생일이 1,2,3월이다..
또한 8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축구팀을 묶는 나라에서는..
우수한 선수들의 생일이 대부분 8,9,10월이다.
즉, 어릴때부터 단순히 "생일이 빠르기 때문에"
친구들보다 몇개월 빠른 신체조건을 가지고 있어서
우수집단에 들어갈 기회를 조금 더 가질 수 있었는데
성장과정에서 계속 연결될 수 밖에 없는 "사소한" 차이가 결국 재능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케나다에서 태어난 11월, 12월생의 재능있는 하키선수는
유아때부터 단순히 태어난 "늦은 개월" 때문에 제대로 기회를 가질 수 없게 된 셈이다.

그러면 생각해 보자..
지금도 무수히 많은 우수한 아웃라이어들이 태어나고 있다.
20년 후.. 분명 이중 많은 아웃라이어들은 1만시간의 법칙을 달성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모두 다 진정한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을까?
아니다, 그 시대에 필요로 하는 아이템은 정해져 있고,
그 아이템으로 1만시간을 채운 아웃라이어 만이  "진정한"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전제라면 빌 게이츠가 태어난 시기가
본인이 태어난 해 보다 20년 빨랐어도, 또는 20년만 늦었어도
빌 게이츠가 지금처럼 성공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또한 빌 게이츠의 부모, 태어나고 자란 곳 등의 환경, 문화, 역사적 요소 중
한가지라도 빠졌더라도 빌 게이츠의 성공은 불가능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운명"의 실타레 같기도 한 이 이야기가..
노력만 하면 됩니다, 이런 계명을 따르면 됩니다 보다
왠지 훨씬 설득력있게 다가 오는 걸 보면
말콤 글래드웰도 이시대가 요구하는 진정한 아웃라이어 이지 않을까
그 역시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공동체가 제공해준 기회를 잡지 않았을까
한 세대만 앞에 태어 났어도 그의 주장에 대해 귀담아 줄 사람이 있었을까
또한 그가 주장하는 많은 사례와 조사결과에 대한 Back data를 얻을 수 있었을까

***

이 책은 대한항공 괌 사고, 아시아 인이 수학을 잘하는 이유 등도 사례로서 담고 있다.
갑자기 한국이 불쑥 나와서 놀랐는데,
아시아 인이 아닌 사람의 시각으로 분석한 내용인데다,
당연히 한 번도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라 정말 흥미로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