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10대, 수재로 키우기 - 옥스퍼드대 정미령 교수의
정미령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업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아이의 성공담이나 부모의 육아 이야기가 아니다.
이런 류의 책은 대부분 아이의 재능, 부모의 정성, 그리고 어느정도 재력도 뒷받침된 경우가 많아서
따라하기 보다는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 바련이다.
그리고 어릴 때 즉 태어나면서부터나 유아때 부터 잘 키워야 한다는 이야기도 아니다.
이런 책을 접하면 이미 시기를 놓쳐버린 느낌이 드는 부모들이 더 많다.
그리고 영재나 천재를 만들자는 이야기도 아니다.
대부분 평범한 아이를 둔 부모가 많기 때문에 이런류도 읽고 나면 왠지 남의 자식 자랑을 실컷 들은 느낌이 든다.

이 책의 저자는 옥스퍼드 대학 교수인 정미령 교수이다.
20년간 아동 지능 계발, 발달에 대해 연구해 온 분이신데,
청소년기인 11살부터 16살까지 아이의 지능과 재능이 가장 잘 발달되어 수재를 키울 수 있다고 말한다.
아무래도 영국에 계신 분이다 보니 사례를 든 아이들은 모두 영국에서 만난 아이들이다.
지역적, 문화적 거리감만 뺀다면 평범한 아이들를 둔 부모에게 상당한 희소식인 것 같다.
그런데 그 문화적 차이가.. 국내에서는 영 해결기미가 안보이는 단점이 있긴 하다.

아무래도 학문적 근거와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라
술술 페이지가 넘어 가지는 않는 듯 하다.
그래도 제시한 사례가 워낙 평범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상당히 마음에 든다.
(진정으로 평범한가라고 묻는다면 아니라고 할 수는 없지만,
시간관리와 기회획득을 통해 before/after가 상당히 차이가 있음은 확실하다)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시간관리의 중요성, 학습동기 유발, 그리고 선택과 집중을 잘 하라는 것이다.
몇가지 반복된 대표 사례는.. 한 두가지 본인이 좋아하는 과목에 집중하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획득하면 다른 영역으로 발산된다는 것인데..
이게 바로 국내에서 수행하기 가장 힘든 부분이 아닌가 싶다.
11~16세면.. 초등학생 고학년 부터 중학생이 되는 시기인데
우리나라 교육체계나 분위기가 한두가지 과목에만 집중하도록 마음의 여유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부분만 소신있게 참아낼 수 있다면, 이 나이에 있는 아이들이 가지게 될 자신감과 자긍심은
평생을 지탱해나갈 뿌리를 만들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굳이 수재를 만들려는 목표가 아니라 삶에 있어 주체적으로 영위하기 위해서도 참으로 도움이 될 만한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