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자녀가 꼭 알아야 할 대화법 - 부모편
이정숙 지음 / 나무생각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참 재미있게 잘 읽은 책이지만, 그 웃음 뒤에 냉철함이 있다.
목차만 봐도 알 수 있지만,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에 있어
세심하게도 지적했으며, 자칫 무거울 수 있는 내용을..
간단한 카툰으로 분위기를 살짝 띄우면서
성인들의 말씀을 인용하여 그 무게감을 살렸다.

 

직접 아이들을 키우며 얻은 노하우와
저자의 직업을 살려 정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수록하여 주어
앞으로 참으로 도움이 될거 같다.
물론.. 부모-자식간 궁합도 각 가정마다 틀려서..
이 분의 말씀이 우리 모두의 가정에 100% 적용하기는 힘들다.
그래도 기본에 대해 언급해 주셨다고 생각하고 나 자신을
뒤돌아 볼 계기가 되었다..

 

솔직히 이런 분들의 책을 읽으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직장다니며 이 정도면 됐지.. 했던 그런 마음이 부끄러워 짐은 물론이고..
단순한 원칙들을 우직하게 지키고 살아 오셨음을 깨달아서 그런가 보다..

 

다행스러운 점은 현재 생각하고 있는 부분..
아이와 나와는 별개의 존재이며
서로의 길이 있다는 생각이 더 견고해진다고 해야 하나..
간난아기 때부터 자기 주장이 있는 성격의 아이를 키우다 보니..
(고집이 있다는 것과는 틀린 느낌이다)
일찌감치 나에게 속한 존재라는 생각을 버리긴 했었다..
아마도 나와 우리 아이의 존재에 대해 독립적 관계임을 인식했던 그 순간에..
내 직장생활도 정체성을 찾지 않았나 싶다.
지금도 말할 수 있는 것이 내가 회사를 관둔다면,
"아이때문이 아니라" "내가 회사일을 못견뎌서"이다.

 

주로 대화법에 대해 언급을 하긴 했지만,
그 근본은 아이를 어떤 마음으로 대하냐는 것으로 읽었기 때문에..
역시 이 책을 읽고 나서의 결론은..
"아이를 인격체로 존중해주며 아이는 바로 나 자신의 거울이다"라는 거다.

 

이러한 대 전제속에서 중간중간.. 전술적인 면에서 내가 하고 있는 어떤 면은..
아이에겐 이렇게 받아들여질 수 있겠구나도 제법 많이 느꼈고
그 만큼 꽤나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특히 위인들이 한 좋은 글이 다 마음에 드나..
모두 다 기술할 수는 없겠고..
마지막의 말하기 전략12만 옮겨적어 보겠다.


1. 자식과 항상 친구처럼 말하지 마라
2. 자녀에게 충고하기 전에 자녀가 먼저 말하기를 기다려라
3. 자녀에게 무조건 지시하지 마라
4. 자녀가 원하기 전에 미리 챙기지 마라
5. 부모 중 한쪽을 욕하지 마라
6. 어려운 일이 닥쳐도 긍정적으로 말해라
7. 자식 때문에 희생한다고 공치사 하지 마라
8. 원칙과 일관성을 가지고 말해라
9. 공평하게 말해라
10. 자녀의 입을 봉하지 말고 들어주라
11. 사랑은 절제해라
12. 말보다 행동을 앞세워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