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클래식 - 나는 클래식을 들으러 미술관에 간다 일상과 예술의 지평선 4
박소현 지음 / 믹스커피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 그림을 주제로 한 책은 여느 책들과는 느낌이 다르다. 독서를 한다는 느낌보다 미술관에 가서 그림을 '읽는 것' 같다. 화가나 그림에 대해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는 것도 즐겁고, 그림을 보는 안목을 조금이라도 키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생겨서 좋다.

그동안 여러 책을 읽고 미술관도 가끔 들리다 보니 이전보다 지식은 쌓였으나 '그림을 보는 안목'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는 잘 모르겠다. 여전히 대중들에게 인기가 좋은 그림을 보면 후광효과가 올 때가 많아서 나의 안목인지 전문가나 대중의 안목을 내가 흡수한 것은 아닌지 헷갈릴 때가 많다.

하지만 유독 좋아하는 화가, 유독 좋아하는 무드의 그림이 있는 것을 보면 '안목'은 부족하더라도 '취향'은 있나 보다 싶다.

오랜만에 미술에 관한 책을 읽었다. 그런데 이 책, 미술만이 아니라 음악도 담고 있다.

가끔 두 가지 영역을 엮은 책들이 나올 때가 있다. 미술을 예로 들자면 미술과 철학, 미술과 수학, 미술과 과학 등을 엮은 경우인데 신선한 접근법과 시각을 가지고 있어서 흥미롭긴 하나 책 한 권 내내 같은 톤을 유지하기에는 어느 부분에서는 억지스러운 면이 있기는 했다. 그래도 그 정도는 애교라 생각하고 전체적인 맥락으로 읽었었다.

이번 책은 미술과 음악의 만남이다. 저자 박소현 님은 바이올리니스트, 비올리스트, 클래식 강연자 겸 칼럼니스트이니, 음악가이다. 이런 분이 미술을 접목시켜 책을 썼으니, 사실은 음악이 메인이고 미술은 양념처럼 곁들일 줄 알았다. 여느 책처럼 일부는 억지로 한데 이어 붙여놓더라도 이해하고 읽자 그리 생각했다.

그런데 그렇지 않았다. 30명의 화가와 30점의 명화, 30명의 작곡가와 30개의 명곡이 이질감 없이 잘 어울렸고 미술과 음악 어디 하나 치우침 없이 균형감이 있었다. 짝을 이룬 화가와 음악가의 삶에서 묘하게 닮은 점을 잘 부각한 덕분이다.

이 책의 장점이라면 매 챕터마다 작곡가와 그의 명곡을 설명할 때 QR코드가 옆에 붙어있다. QR코드를 통해서 음악을 들으며 해당 챕터를 읽었는데, 그림의 분위기와도 잘 어울려서 좋았다.

마치 잔잔한 음악이 흐르는 미술관을 거닐으며 예술가들의 삶을 엿본 것 같다.

음악과 미술 중 미술을 확연히 편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에서 소개하는 작곡가들의 이야기와 음악이 낯설지 않아서 책을 읽는 내내 불편함이 들지 않았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예술가들과 작품이 대중성이 높아서이다. 그렇다고 가볍게 훑지 않고 깊이 있게 다루어 줘서 매 챕터마다 하나의 독립된 칼럼을 읽는 것 같다.

그동안 다녔던 미술관에서 봤던 그림들에 대한 소개도 많았고, 내가 좋아하는 화가들도 대거 나와서 반가웠다. 그러고 보니, 나도 은근 클래식을 선호하는 것 같다.

다음은 책에 언급된 많은 작품 중 몇 가지를 골라서 음악보다는 미술 중심으로 썼다.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들]에서는 김창열의 <밤에 일어난 일> 그림을 설명해 준다. 김창열은 물방을 그림으로 유명하다. 몇 해 전, 제주에 있는 김창열 미술관에 간 적이 있다. 두 번을 갔었는데 전시 작품이 겹치지 않아서 풍족하게 작품을 관람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방문 때 <밤에 일어난 일> 을 봤었는데, 이 책에서 그 배경을 설명해 줘서 반가웠다. 1972년 마음에 들지 않는 그림의 유화물감이 잘 떨어지게 하고자 캔버스 뒷면에 물을 뿌려두었더니 다음날 새벽 캔버스 뒷면에 맺힌 물방울이 아침 햇살에 영롱한 빛을 뿜어내었고, 물방울 화가가 탄생한 순간이 되었다.

파리에 정착해 40년 넘는 세월 동안 물방울을 그린 김창열의 인생은 20세에 파리로 유학을 간 후 20년간 조국을 그리워하며 돌아가지 못하고 숨을 거든 쇼팽의 삶과 연결된다.

밤에 일어난 일

[바이올린으로 펼치는 히브리 선율]에서는 샤갈 <녹색의 바이올린 연주자>를 설명한다.

작년 샤갈전을 보러 간 적이 있다. 그전까지는 예쁜 색상의 환상적인 그림을 그리는 화가로 알았다가 전시를 통해서 샤갈의 다른 면을 보았다.

그는 러시아 비테스트의 유대인으로 태어나 야수파, 입체파 회화를 습득한 후 자신만의 화풍을 확립했다. 그런데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던 시기에는 유대인의 한이 그의 그림에 고스란히 반영되었고, 나치의 핍박이 어어져 그의 그림은 한없이 어두워졌다. 전시를 보러 갔을 때도 그 시기 그림이 걸린 섹션에서는 분위기가 심하게 가라앉았다. 하지만 다시 희망과 자유를 상징하는 그림을 그렸고 많은 이에게 꿈을 꾸게 해 주었다.

샤걀의 그림에는 바이올린, 소, 염소, 닭, 꽃이 자주 등장한다. 동물은 사람의 영혼이 동물의 육체와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유대교 사상을 보여주고 바이올린은 천사들이 연주하는 악기이기도 하지만 유대인들에게 친숙한 악기이기도 하다. 작품 속 녹색 얼굴의 남자는 샤걀을 대변한다.

샤갈과 함께 언급해 준 음악가는 러시아 출신 유대인 바이올리니스트 나탄 밀스타인이다. 그 역시 샤갈처럼 유대인 탄압을 피해 러시아를 떠나 미국으로 망명하여 고향땅을 밟지 못했다.

니콜로 파가니니는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희귀질환으로 손가락이 길고 휘었는데 화려한 기교로 연주를 쉽게 해서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라고 불리기도 했다. 실제로는 하루 10시간 넘는 연습으로 유전병을 장점으로 승화시킨 것이었다. 밀스타인은 파가니니를 향한 경외심을 담아 바이올린 독주를 위해 <파가니니아나>를 작곡했다. 초절기교가 섞여있는 파가니니아나는 샤갈의 화려한 색채처럼 초절기교가 고루 섞여 귀를 즐겁게 해 준다.



[금빛 찬란한 사랑을 노래할 때]에서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키스>를 설명한다.

빈 분리파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가지고 있는 클림트는 내가 좋아하는 화가 중 하나이기도 해서 비엔나 여행을 갔을 때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키스>, <유디트>,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 부인의 초상> 등을 벨베데레 궁전에서 만날 수 있었다.

클림트의 여성편력은 유명하다. 그런데 그가 정신적으로 기대었던 사람은 유명 패션 디자이너 에밀리였다. 에밀리는 그의 여성 편력도 받아주었지만, 사망 후에도 이어진 수많은 친자 소송과 유산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해 주었다.

에밀리의 모습은 남편 로베르트 슈만이 사망한 후 남은 생애 동안 그의 음악을 세상에 알리려 연주를 이어간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과 닮았다.

[죽음과 아름다운 여인을 읊다]에서는 에곤 실레의 <죽음과 소녀>를 소개한다.

에곤 실레의 그림은 강렬하고 자극적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가까이 가기 어려웠다. 하지만 보면 볼수록 그의 그림의 매력에 빠져들게 된다. 여행을 갔을 때 오스트리아 '벨베데레 궁전'에서 에곤 실레의 그림을 보고 그의 그림을 더 보고 싶다는 충동이 생겨서 에곤 실레 그림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다는 '레오폴드 미술관'을 다시 들렸다. 이곳에 에곤 실레 그림을 많이 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대한 관심이 있다 보니 그의 성격이나 생애에 대해 알게 된 상태에서 그림을 보니 여간 매력적인 것이 아니다. 자화상, 누드화가 많이 알려져 있으나 마을을 그린 그림은 그의 특유의 색채가 정감 어리게 표현되어 무척이나 마음에 들었다.

책에서 소개하는 <죽음과 소녀>는 '벨베데레 궁전'에서 전시하고 있다. 그림 속 남자는 에곤 실레이고 여자는 한때 연인이었던 발리이다. 실레에게 헌신적인 사랑을 했지만 실레는 그녀를 배반하고 좋은 가문의 에디트 하름스와 결혼한다. 엔곤 실레는 발리에게 결혼 후에도 연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고 상처 입은 발리는 제1차 세계대전 때 간호사가 되어 떠난다. 앙상한 팔은 마치 실레를 옭아매는 것 같고 그녀를 밀쳐내려는 오른손과 곁에 두고 싶어 하는 왼손은 그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표현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