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이별 - 미스테리콜렉션 15
레이몬드 챈들러 지음 / 모음사 / 1990년 6월
평점 :
품절


드디어 필립 마로우라는 인간적인 진가가 나타나는 작품이다. 내가 필립 마로우를 좋아하게 된 작품이다. 계기는 그가 탐정이면서도 벗어버리지 못한 기사의 갑옷을 벗고 인간적인 감성을 물씬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1954년에 쓰여진 것이다. 그러니 배경도 그때쯤일 것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지만 술에 취한 가난뱅이가 길에 쓰러져 있다고 해도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세상이다. 양심은 뒤돌아보게는 하지만 손을 내밀게는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험한 꼴을 당할 수 있으니까. 그렇다. 마로우는 손을 내밀었고 그래서 험한 꼴을 당한다. 하지만 그는 한 사나이에 대한 추억이면 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 사람의 추억이 그 사람의 누명을 벗기도록 부추긴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사건에서 손을 떼라고 협박하는 상황에서도.   

술집 앞에서 우연히 만나 돌봐 준 테리 레녹스에게 호감을 가진 필립 마로우는 그와 가끔 만나 김릿을 마시는 사이가 된다. 하지만 테리 레녹스는 자신의 부유한 아내를 무참히 살해하고 도망을 가서 자살을 한다. 그리고 그를 아는 모든 사람들이 마로우에게 사건에 참견하지 말라고 협박을 한다. 필립 마로우는 베스트셀러 작가를 찾는 일을 맡는데 그도 자살을 한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와 테리의 아내는 부정한 사이였다. 그리고 놀라운 것은 테리와 작가의 아내와의 관계다.

마지막까지 책에서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걸작이다. <안녕, 내 사랑>보다 더 멋있어진 나이가 들어 비로소 멋있어진 필립 마로우를 만났다. 그는 여전히 변함없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고 자신은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 그러면서 그런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 아마도 마로우는 천성이 그런 모양이다. 누군가는 그러게 술주정뱅이는 도와주는 게 아니라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삭막한 도시에 이런 필립 마로우 같은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다면 과연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나는 비록 쓰러진 술주정뱅이를 스쳐 지나가는 겁쟁이지만 누군가는 그에게 손을 내밀어 보살펴 주기를 바란다. 어쩌면 그 술주정뱅이가 내가 될 수도 있는 거니까.  

인간은 세월을 따라 변한다. 누구나 조금씩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변해 간다. 하지만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자기만의 생활 신조랄까, 철학이랄까, 인생관을 가지고 변함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적어도 한 명쯤 있어도 좋지 않을까. 이 작품의 필립 마로우처럼 말이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마로우 시리즈 중 가장 마지막에 나온 작품라서 그런지 작가가 가장 공을 들인 느낌이 드는 더 치밀하고 재미있는 작품이었다. 그리고 15년이 흘렀는데도 필립 마로우는 변함없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사람이라도 소홀히 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60여 년이 지났는데도 모든 탐정의 멘토가 되어버린 필립 마로우. 하드보일드 작품의 탐정 중에 가장 빛나는 탐정이 필립 마로우다. 그의 작품을 읽을 수 있어 기쁘다. 

마지막 반전이 멋있는 작품이다. 필립 마로우에게 진짜 테리 레녹스같은 친구가 필요했던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다만 도시에 사는 모두가 가끔 만나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아도 술 한잔 마음 편히 마실 수 있는 그런 사람을 그리워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무 것도 모르는 타인이라도 말이다. 도시의 쓸쓸함, 인생의 덧없음이 가득한 진짜 멋진 작품이었다. 하드보일드의 참 맛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 그거 아니?
디비딕닷컴 네티즌 지음, 정훈이 그림 / 문학세계사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재미있는 책이다. 평소에 시답지 않게 생각한 의문이지만 너무 궁금했던 문제고 그렇다고 누구에게 물어 볼 수도 없었던 문제에 대해 속 시원히 알려준 책이다. 특히 <엿 먹어라>라는 말의 기원(?)이 우리의 대단한 입시 열풍 탓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아, 정말 민족성이 말을 만든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 한번쯤 재미 삼아 읽어보면 괜찮을 책이다. 그리고 네티즌의 힘이 이렇게 크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어 네티즌의 한 사람으로 기분이 좋았다.

나도 가끔 질문을 할 때도 있고 답변을 할 때가 있다. 물론 인터넷이 있어 가능한 일이다.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라는 말을 실감하게 하는 책이었다. 그리고 굉장히 많이 팔렸다는 생각이다. 이런 정열을 다른 조금 심각한 책에도 좀 쏟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출판이 어느 한 분야에 편중되는 것은 아닌지 이 책을 보며 걱정이 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6계명 1 - P
로렌스 샌더스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2년 4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은 다른 계명 시리즈인 제7계명이나 제8계명과는 다른 작품 경향을 보여 나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우선 다른 작품들에서 모두 여성 탐정이 등장한 반면 남자 탐정, 정확하게는 조사원 샘 토드가 등장한다. 그리고 이 작품은 어떤 사건을 수사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기금을 지급하는 재단에서 그 기금을 신청한 과학자의 신변 조사를 하는 데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제6계명... 살인하지 말라... 하지만 추리적 살인 사건은 일어나지 않는다. 마지막에 살인 사건이 발생하긴 하지만 범인은 조사할 필요도 없는 결말이었다. 이 작품에서 문제 삼는 것은 한 과학자가 은밀한 연구를 하는데 그 연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작은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왜 마을 사람들은 그 과학자가 기금을 얻는데 신경을 쓰고 또 실종된 노인과 무언가 알고 있는 노인의 친구가 알고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하는 것을 다루고 있다. 약간 지루한 작품이다. 그러면서 주제는 거창하다. 암 세포로 인간의 불로 불사의 명약을 만들어 낸다니... 하지만 과연 인간이 불로 불사한다면 그 존재를 인간이라 부를 수 있을 지... 인간은 그렇게 지루하게 오래 살고 싶은 것인지...

계명 시리즈 중에서 가장 먼저 발표된 작품이지만 가장 재미없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주받은 산장
패트리셔 매거 / 교학사 / 1994년 8월
평점 :
절판


기존의 탐정이 범인을 찾는 방법에서 탈피해 반대로 범인이 드러나지 않는 탐정을 찾는 아주 흥미로운 작품이다.

병든 남편을 죽이고 돈과 자유를 얻은 젊은 아내는 그러나 남편이 생전에 그런 일을 예측하고 탐정을 부른 사실을 뒤늦게 안다. 그래서 아내는 탐정을 찾기에 필사적이고 그러다 탐정으로 생각한 사람을 죽이는 오류를 범하고 만다.

이 작품은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를 연상시키는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범인의 관점에서 범인의 심리에 중점을 둔 작품이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사람이 공포 속에서 얼마나 비논리적으로 행동하는지를 알게 한다. 탐정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당황하지만 않았더라도 그녀는 법으로도 잡히지 않았을 텐데. 역시 죄지은 자의 적은 탐정이 아니라 자신의 양심인 것이다.

지은이 패트리샤 매거는 이밖에도 피해자, 범인, 목격자를 찾는 독특한 작품을 발표했다. 이 작품의 원제목은 < Catch Me If You Can>으로 직역하면 <잡을 테면 잡아 봐라>고 다른 출판사에서 <탐정을 찾아라>로 번역 출판되었다. 개인적으로는 이 제목이 더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7계명
로렌스 샌더스 / 윤문 / 1992년 6월
평점 :
품절


제 7 계명... 간음하지 마라... 이 작품에서는 보험 사정인 도라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제 8 계명의 덩크만큼 매력적인 여자다. 티파니 만큼은 아니더라도 꽤 유명한 보석 상점의 은퇴한 늙은 사장 스타레트이 산책길에 피살되고 도라는 그의 보험금 지불을 조사하기 위해 맨하튼에 온다. 그녀는 멋진 형사 존을 만난다. 스타레트 가에는 모드 이상한 사람들만 있다. 미망인이 된 올리비아는 사이비 종교 사기꾼에게 빠진 멍청한 여자고, 그의 아들인 현 사장은 냄새나는 거래를 하고 정부를 두고 있다. 그의 아내는 아들이 죽은 뒤로는 남편은 상대도 안 하고 오로지 자선 파티에만 열을 올리고 딸은 노처녀로 오빠의 정부의 오빠와 결혼을 꿈꾸는 마약중독자다. 이런 관계에서 연속적으로 살인이 일어난다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다.

이 작품은 엘러리 퀸의 <중간 지대>를 연상시키지만 그보다 더 지독하다. 마치 그 작품과 이 작품이 쓰인 시대의 차이만큼 세상은 더 부패한 것 같다. 부부가 공모해서 한 가정, 아니 한 회사를 파괴하려 들고 그들의 장난에 그들은 놀아나기만 한다. 그리고 그 부부는 그것을 위해 간음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 작품에서 범죄자들의 문제는 그것이 죄라는 인식 자체가 없다는 것이다. 그들 자신이 법이라고 생각하는 자들인 것이다.
작품 자체는 <제 8 계명 : 은빛 동전>보다 못한 느낌을 준다. 그래도 도라라는 괜찮은 아줌마 탐정을 만난 것에 만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