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쓴 중국 현대사 - 전쟁과 사회주의의 변주곡
오쿠무라 사토시 지음, 박선영 옮김 / 소나무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저자는 중국 현대사를 <침략에 대한 반작용으로 만들어진 총력전 태세>라는 일관된 관점으로 읽어낸다. 침략이란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침략을 말하지만, 2차대전 이후에는 일본에 대한 경계와 함께 미국의 위협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교과서 이후의 중국사 - 국공내전, 인민공화국 성립, 쌍백운동, 반우파 투쟁, 대약진, 문화대혁명, 천안문사태 -를 간략하고 깔끔하게 짚어 주는 개설서라는 점에서도 매력이 있지만, 역사를 보는 새롭고도 공감할 만한 시각을 제공해 준다는 점이야말로 이 책이 가진 커다란 매력이다.

내가 동아시아 역사를 좋아하는 이유는 중국과 일본을 통해 한국의 참모습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순수한 학문적 관점에서 냉정하게 쓴 이 중국사 개설서에서도, 대한민국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나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내가 사는 나라의 문제로 향했다. 일본인들의 폭력적 행위에 대한 반감에서 출발한 소박한 민족주의 정서에 한국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만들어진 폭력성을 더하고, 그것을 휴전 이후의 북한에 대한 경계심으로 굳힌 것이 오늘날 한국의 극성스러운 국가주의 아닌가. 거기에 독재권력과 기득권층의 욕망이 어떻게 작용했는가를 밝혀낸다면 저자가 찾아낸 것 이상의 진실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일본이 과거 이웃들에게 저지른 잘못을 신랄하게 지적하고 겸허하게 반성하는 것이 기특하다. 그러나, 중국 공산화에 대한 미국의 영향을 언급하며 <다만 미국은 제국주의에 대한 아픈 기억을 이끌어 낸 것에 대하여 책임을 저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한 것까지는 괜찮지만, <미국의 참전은 한국을 식민지화하기 위해서도, 그것을 토대로 중국을 노리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 사회주의 세력에 의한 한국 통일을 저지하고 잘하면 남한에 의한 통일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설사 그럴지라도 한국전쟁은 본래 통일을 둘러싼 한민족 내부의 전쟁으로서 타국이 개입할 필요는 없는 것이었다.>한 것에는 '이봐, 이건 너무하잖아?'라는 느낌이었다. 일본인인 당신은 남의 일이니까 쉽게 말하지만, 미국이 한국 전쟁에 참전 안 했다면, 난 지금 지도자 동지를 위해 쫄쫄 굶어야 한다고! 뭐, 이런 당혹감 역시 동아시아 역사를 읽는 즐거움의 하나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