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지 않아야 사랑이 온다. 사랑하면 그 사랑은 달아나기 십상이다. 어느 누구도 그 사실을 가르쳐주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첫사랑은 실패로 남는다. 사랑을 이론서 안에서만 이해하려 한 치들은 ‘사랑은 주는 것’이라고 사람들을 기만해왔다. 사랑은 주는 것도 받는 것도 아니다.

 

 

 

 

 

 

 

 

 

 

 

 

 사랑은 혼란이다. 대개 어느 한쪽의 괴로움을 수반하는 심리적 기 싸움에 지나지 않는다. 수많은 문학작품에서 이런 주제를 다루었다. 더 많이 사랑할수록 충만해진다는 것도 거짓이다. 그런 건 신 앞에 모든 걸 맡긴 종교인에게나 가능하다. 실제 더 많이 사랑할수록 패배자일 뿐이다. 덜 사랑해야 승리자가 된다고 통찰 있는 작가들은 말해준다.

 

더 사랑하는 사람이 이제 당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상대에게 무의미하다. 상처가 되지도 않는다. 효력 발생 가능성 제로인 그 비참한 선언은 선언으로서의 가치가 없다. 반대로 덜 사랑하는 사람이 사랑하지 않는다는 진의를 밝히는 건 상대에게 사형선고를 내리는 것과 같다. 당연히 상처가 된다. 효력 발생 가능성 백퍼센트가 될 그 무정한 선언은 선언으로서의 가치를 유감없이 발휘한다. 심리적 우위를 점한 상태에서 모든 걸 자신이 의도한 대로 이끌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의 속성은 불편부당함에 있다.

 

사랑이라고 생각하고 하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상처의 다른 이름이다. 우리가 첫사랑에 백전백패하는 이유는 사랑을 주려고만 했기 때문이다. 사랑에 저울추가 없다고 믿었던 순정함이 사랑을 그르친 것이다. 사랑만큼 저울추가 확실히 기울어지는 것도 없다. 덜 사랑하는 사람은 연민과 자책은 없을 수 없겠지만, 사랑 앞에서 괴로움 따위는 친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더 사랑하는 쪽은 상대의 연민과 자책을 자신에 대한 사랑으로 착각하기 때문에 사랑 앞에서 늘 괴로움을 친구 삼을 수밖에 없다.

 

몇 십 년 만에 동창 친구들이 모였다. 일분 스피치 시간 동안 어떤 친구가 말했다. 누군가를 사랑했는데 그 사랑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안타까웠노라고. 우리는 일제히 웃어젖혔다. 그 친구가 남몰래 누군가를 사랑했다고 생각한 것은 그만의 착각이었기 때문이다.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았다고 사랑하지 않은 게 아니었다. 말하지 않았어도 그가 사랑한 사람이 누군지를 우리 모두는 알고 있었다. 어려서 순정했던 그 미세한 떨림은 비밀스러울 수가 없었다. 순정할수록 감춘 마음은 더 티가 나기 마련이었다. 사람은 말보다 몸짓과 표정으로 먼저 말한다는 것을 당사자만 몰랐을 뿐이었다.

 

 

현명한 자는 사랑을 부릴 줄 안다. 상처뿐인 순정은 가장 순수한 사랑일지 모르지만 사랑이라 불러서는 안 된다. 상처뿐인 사랑이라면 그것은 사랑일 수가 없다. 제 사랑을 온전하게 주관하지 못하는 사랑을 어떻게 사랑이라 부를 수 있을까. 상대 눈빛의 선처에 일희일비하는 감정은 사랑이 아니다. 아픔일 뿐이다.

 

사랑은 결코 아름답지 않다. 그걸 안 뒤의 사랑이어야 정녕 아름다울 수 있다. 진정한 사랑은 사랑을 버리고서야 온다. 안타깝게도 모든 현명한 것들은 너무 늦게 알게 된다는 사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2-11-12 1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격하게 공감하며 읽었어요. 사랑 참ᆢ

다크아이즈 2012-11-13 07:56   좋아요 0 | URL
프레이야님, 사랑 참 어렵지만 알고 덤비면 덜 상처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그간의 노하우(!)를 아들에게 전수하려니 강력 거부하네요.^^
하기야 체험해야 자기 것이 되지, 질러 가서 피한다고 세련된 사랑관이 나올 것 같지도 않네요. 사랑은 원래 구질구질하고, 던적스러운 거잖아요.

프레이야 2012-11-13 09:53   좋아요 0 | URL
맞아요. 던적스러운 그놈, 그 이름 사랑ㅎㅎ
노하우 전수는 불가라고 생각해요.ㅋㅋ
사랑은 사람수만큼이나 다르게 제각각 있으니ᆢ
근데 던적스러운, 이거 김훈의 공무도하에서 읽고
오랜만에 보는 표현^^ 사람뿐만 아니라 사랑에 딱 맞는 표현같아요.

라로 2012-11-13 0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공감하며 읽었어요. 더구나 누구를 생각하면서,,ㅎㅎㅎ

다크아이즈 2012-11-13 08:03   좋아요 0 | URL
앗, 나비님 <누구를 생각하면서> 구절, 제게 해당되는 말입니다. ㅎㅎㅎ
왜 그땐 어설펐을까요? 돌이킬 수 없는 희망을 희망하던 모든 것을 (첫)사랑의 속성에 추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