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밀한 적 - The intimate Enem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알제리는 프랑스의 식민지였다. 주변국가인 튀니지나 모로코에 비해 알제리는 늦은 1962년 비로서 독립을 하게 된다. 이 영화는 알제리의 독립이 막바지에 이른 1959년 7월 그곳에 파병된 프랑스 군인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새로 부임한 소대장 테리안은 알제리의 흙먼지를 뒤집어쓰고 부대에 도착한다. 아내와 아들이 프랑스에 있는 그는 인류가 벌이는 전쟁터에 어김없이 존재하는 광기에 노출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가 생각하는 이상주의는 작전을 수행하며 조금씩 허물어져간다. 민간인이 사는 마을이 알제리 민족자유전선(NFL)에 의해 잔혹하게 학살당한 모습을 목격하고 눈앞에서 동료가 저격당해 즉사한다. 조국을 배신하고 프랑스군에서 척후병으로 활동하던 부하 역시 처참하게 고문당한 모습에서 테리안은 점점 자신의 이상이 광기에 잠식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매복 중 일어난 판단착오로 민간인 여성 두 명을 살해한 후 그의 광기는 정점에 오르게 된다. 결국 포로를 직접 고문하고 스스로 살육을 즐기는 듯한 전쟁터의 아수라로 돌변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34319.jpg)
테리안(왼쪽)은 전쟁의 광기에 잠식되어 침물하는 과정과 함께 도낙(오른쪽)은 그 반대로 점차적으로 광기의 극복과 함께 탈출하는 모습을 상반되게 보여준다.
테리안의 이런 변화를 옆에서 지켜보는 상사 도낙은 그와는 다른 방향의 길을 걷는다. 생포된 포로가 고문을 당하는 동안 그는 프랑스 국기 아래서 술에 취해 나팔을 불며 괴로워한다. 결국 영화 마지막 그는 탈영을 선택한다. 깨끗한 사복을 입고 버스에 올라타 자신의 참혹했던 알제리에서의 생활에 대해 서술한다. 의미 없는 전쟁이고 죽어간 전우들 역시 헛된 희생임을 밝히며 그의 상사였던 테리안은 선택의 여지가 있었으나 그의 이상주의가 결국 그를 견디지 못하게 하였다는 걸 영화를 보는 사람들에게 알려준다.
거의 모든 전쟁영화는 두 가지 구분을 가지게 된다. 전쟁 자체보다 인물에 중점을 두며 전쟁 중 이뤄낸 그의 업적에 대해 일종의 찬양의 모양을 갖춘 영화가 있고, 그와 반대로 전쟁 자체의 허무함과 무가치함, 그 속에 희생된 사람들을 보여주며 반전의 성격을 띠고 있는 영화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영화는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반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들이 북아메리카 알제리란 나라에서 어떤 만행을 저질렀으며, 그로 인해 발생했을 전쟁의 무의미함을 영화를 통해 보여주며 알려주고 있다.
영화 제목인 ‘친밀한 적’은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독일군에 맞서 싸웠던 전우들이 이젠 한 국가의 독립으로 인해 총부리를 겨누고 죽고 죽이는 전쟁을 벌이게 된다. 테리안의 부대가 일차 제거대상으로 삼고 있는 민족해방전선의 지도자 슬리만 역시 2차 대전 때 알제리 프랑스 연합군을 이끌었던 지도자로 묘사된다. 도낙이 처형하려 했던 포로는 처형 직전 프랑스에서 수여한 무공훈장을 가슴에 매달고 죽음을 택한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인 상황에서 오랜 기간 전장을 누비고 다녔던 도낙 상사는 혼란스러워한다.
200만의 프랑스 젊은이들이 알제리로 징집되어갔고 27,000명이 죽었다.
알제리 인들은 30만에서 60만 명 정도 사망했다.
1999년에 10월이 돼서야 프랑스는 알제리에서의 만행을 인정했을 뿐이다.
영화의 마지막 도낙을 태운 버스가 사라지며 올라오는 자막은 그 당시 국가의 탐욕스런 이익을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는가와 지금 현재 프랑스의 태도를 보여준다. 아마도 그때 알제리에선 자유, 평등, 박애는 실존하지도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술에 취해 그의 자랑스러운 조국 프랑스의 국기 아래서 미치광이처럼 나팔을 불었던 도낙의 눈에 들어온 자국의 국기는 위선의 상징 그 자체였을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