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 발상에서 좋은 문장까지
이승우 지음 / 마음산책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20210201 이승우.
사실 이승우가 못마땅해졌다. 많은 후배작가들이 수상 거부와 기고 거부를 하고, 심지어 윤이형이 절필 선언까지 하게 만든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하면서 한 해 중단된 문학상의 명맥을 이었다. 올해 수상 작가 대부분은 나이 지긋한 중견 작가들이고 젊은 작가는 하나도 없었다. 그런 상황에 대한 코멘트 없이 손님 맞는 사무원에 수상을 비유한 것도 멋대가리 없었다. 뭐, 소설가 입장에서는 수록 지면이 사라지고 문학상이 없어지는 게 문제라고 생각하고 그거 막겠다는 사명감 같은 걸로 수상 수락을 할 수도 있겠지만, 후배들이 불공정한 관행 없애 보겠다고 그렇게 목소리 내고 난리였는데 개선이라 해야되나 어쨌거나 출판사가 시정안을 내놓은 뒤에 곶감만 쏙 꺼내 먹는 걸로 밖에 안 보였다.
그래도 뭐 사 놓은 책이니 뭐라고 하나 읽어 보았다. 뻔하다면 뻔한 소리고, 가장 기본이라면 기본인 이야기 담긴 짧은 책이다. 이전에 박상우의 ‘소설가’라는 책을 먼저 보았는데 그 책이나 이 책이나 작법서는 아니고, 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 대상으로 이런 마음 가짐으로 해야지, 하는 훈수 정도였다.
이 책에서 비슷하지만 다른 말로 반복되는 이야기가 있다.
‘소설가가 되기 위해 소설을 쓰는 것이 아니고 소설을 쓰기 때문에, 쓰는 동안 소설가로 불리는 것이다. 소설가이기 때문에 소설을 쓰는 것이 아니고 소설을 쓰기 때문에 소설가인 것이다. 소설가가 소설을 쓰는 것이 아니라 소설을 쓰는 사람이 소설가인 것이다.’
그런데 나는 2006년에 나온 초판1쇄를 중고로 샀는데 마지막에 완전 반대의 말이 나온다. 아무리 봐도 이건 실수 같이 느껴졌다.
‘소설을 쓰기 때문에 소설가인 것이 아니고, 소설가이기 때문에 소설을 쓰는 것이다.’
실수가 아니라 소설가의 정신을 강조해서 일부러 다시 이런 말을 한 건가? 나름 역설적인 효과를 노린 건가? 그렇게 받아들이기에는 좀 후졌고 실패한 표현 아닐까 싶다. 왜 한 책에서 딴소리해! 하고 반발심만 생겼다.
읽는 동안에 그간 너무 쉬었으니, 다시 좀 써봐야하지 않겠니...하는 생각이 아주 잠시 들었으니 나름의 효과는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크게 효용이 있는 독서는 못 되었다. 말로 이렇게 저렇게 써라 이렇게 저렇게 쓰지 마라 하는 소리 백 번 읽으면 뭐해. 한 줄이라도 쓰고 또 지우고 하는 게 낫다. 아...소설가의 귓속말도 샀는데...읽기 싫어졌어...이승우 소설도 읽을 마음 사라졌어...역효과다 ㅋㅋㅋ
역시 소설가에게는 귓속말 보다 소설 한 편 더 읽는 게 낫지 싶다. 친구랑 제임스 설터 소설이랑 산문집 이야기하다가도 그 소리 했다. 산문집은 안 사도 돼...난 팔았어...뭐 이런 거...그런데도 이상하게 소설 좋아하면서도 소설 진짜 안 읽는 나새끼야...지난 달에 열일곱 권 읽었는데 그 중 일곱 권만 소설이야...이번 달에는 소설을 좀 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