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인문, 사회학 쪽 책들을 많이 읽다보니 솔직히 소설을 많이 읽지 못했다. 그나마 가끔 소설을 읽는다 하여도 베스트셀러 위주의 외국소설을 읽다보니 국내소설을 읽을 기회는 별로 없었다. 그런데 우연히 이름도 생소한 우리 작가의 소설을 읽게 된 것은 순전히 사무실에서 우연히 옆자리에 앉아 며칠동안 같이 근무하게 된 김모군 때문이었다. 김군의 외모는 흡사 산적과 흡사하고 어깨는 딱 벌어지고 가슴은 바위처럼 두꺼워 나는 그를 처음 보고 필시 체육과 출신이라 생각하였다. 그런데 그와 대화를 하던 중 그가 문예창작과 출신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내게 자신이 창작한 단편소설을 보여주었는데, 문학에는 문외한인 내가 보기에는 상당히 글솜씨가 있어 보였다. 적어도 일반인이 쓰는 글과는 달라 보였다는 말이다. 그리고 며칠을 함께 근무하며 소설에 관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소설적인 묘사가 참 뛰어나다면서 그가 문득 내게 추천해준 책이 바로 천운영의 ‘바늘’이었다.


‘바늘’은 9편의 단편소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편의 느낌은 어느정도 비슷하다. 그 내용은 서로 차이가 있더라도 오랜만에 이런 소설을 접한 내게 작가의 특색 있는 문체가 강하게 인상을 남겨서 그렇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다. 간단히 작가의 문체를 설명하면 이렇다. 비교적 구체적인 서술과 대화가 이어질 때는 별 무리없이 사건의 진행을 좇을 수 있었지만, 별안간 1인칭 화자의 심리서술이 나오면서 실제로 어떠한 사건이 일어난 것인지 혹은 실제로는 그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고 화자 혼자만 생각한 것인지 애매하여 이해하기가 난해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무언가 작가가 어떤 대상에(예컨대 바늘, 또는 숨 등)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은 어렴풋이 알겠는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았다. 소설을 읽으면서 무언가 잘 쓴 소설이라는 것은 느낌이 오는데(특히 직접 체험해 보고 쓴 듯한 이색적인 직업세계의 사실적인 묘사는 정말 탁월하다) 막연히 무슨 뜻인지 잘 알 수가 없어서 학창시절에 문학공부를 하면서 참고서에서 해설을 찾아 공부하던 그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는 것이었다.


각종 상을 수상한 역량 있는 작가의 소설집이니 소설이 이상해서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고 내가 그런 소설을 제대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없다는 뜻인데 책을 읽으면서 그 사실을 자각하게 되어 조금은 씁슬한 생각이 들었다. ^^;; 어쩌면 학창시절 이후 10여년간 벌써 머리가 문학과는 동떨어진 빡빡한 현실세계에 맞추어 굳어져서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서평을 쓰려다가 결국은 소설이 난해하여 이해가 잘 안되었다는 넋두리가 되어 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