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사 3 - 야스쿠니의 악몽에서 간첩의 추억까지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3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의 허물을 들추기보다 내 자신의 허물을 들추기가 훨씬 어려운 법이다. 그리고, 이제껏 수십년간 남의 허물을 캐내어 이를 과장하고 나의 허물을 감추고 이를 치장해 왔기 때문에 나의 허물을 들추어 내는 일이 더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나의 허물을 캐는 것에만 지나치게 열중하면서 남의 허물에는 한없이 관대한 태도를 보이다보면 그 역시 균형을 잃은 태도가 아닐는지. 특히 지금처럼 남한 전체가 이념(?)적으로 둘로 나뉘어 거의 모든 사회적인 쟁점마다 극한적인 대립을 보이는 이 때, 남의 허물에는 눈을 감은 채 우리 자신의 허물만을 들추어 내는 일은 저자가 일깨우고자 하는 수많은 유동적인 보수층을 저자가 속해있는 진보로부터 멀어지게 하지는 않을는지.

나 개인적으로도 우리 자신의 허물을 캐 내는 일은 이제 겨우 시작단계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논란이 있더라도 과거사 문제는 어떤 형태로든 건드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무리 상대적으로 북한 사회의 부조리에 관대한다고 할지라도, 김일성, 김정일의 권력세습을 두고 ‘탐탁치는 않지만, 정치권력은 부자지간에도 공유할 수 없다는 상식을 깨고 김일성-김정일 부자가 함께 20년가량을 북을 다스린 사실을 상기하자.’(p265)는 식의 발상이 어떻게 가능한지 모르겠다. 자기 아버지와 20년 동안 권력을 공유한 김정일이 갑자기 나타난 유신소녀보다 낫다는 말인가? 그리고 북한사회에서의 지배권력에 의해 학살되고, 굶주려 죽은 사람들은 우리나라에서 이승만 시대나 군사정권 하에서 학살당한 사람들보다 가치가 덜하다는 말인지. 일단 통일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고 그렇기 때문에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남과 북이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비판에 극히 신중한 것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것은 정치인들이 할 일이지, 역사학자인 저자마저 그렇게 조심할 필요가 있을지 의문이다.

개인적으로도 박정희를 좋아하지는 않는다. 그의 독재시절 저질러진 온갖 만행은 지금에라도 더 까발려지고 비난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박정희 시대에 우리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닌가. 물론 박정희가 경제개발에 집착한 것이 부족한 민주적 정당성을 감추기 위해서 였을 수도 있다. 그리고 박정희 시대의 경제정책으로 인해 지금도 우리 사회 전반에 심각한 문제가 산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이 박정희의 지도력에 얼마만큼 의존한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지만, 적어도 현재 대한민국 국민의 삶의 질이 북한 주민들보다 낫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 아닌가. 각 나라 국민의 삶의 질이 절대적인 비교잣대가 될 수는 없겠지만, 자주성과 민족적 자존심을 지키는 것에 집착하여(사실 그런것인지도 약간은 의문이다.) 경제파탄을 초래하여 수많은 국민들을 아사시키고 있는 북한의 현상황이 부끄러운 과거를 가진 대한민국의 현상황보다 낫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북한이 건국당시 대한민국보다 정통성의 측면이나, 당시 민중들의 지지도 측면에서 우월했다는 사실이 그 이후 수십년간의 역사에 면제부를 주는 것은 아닐 것이다.

03권에서도 국가인권위원회의 민주화운동 인정과 관련한 사건에 관한 글을 통해 관점을 전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 대한민국의 군사정권이 반공주의를 얼마나 악랄하게 악용해 왔는가를 다시한번 느낄 수 있었다. 그것은 적지않은 소득이었다. 그런 면에서 저자의 편향된 태도는 다소 실망스러웠다.

대한민국의 어두운 과거를 까발리는 것이 ‘정반합’에서의 ‘정’에 해당한다면 북한의 어두운 과거를 까발리는 것이 ‘반’이 될 것이고, 통일한국의 미래를 그려보는 것이 ‘합’정도가 될 것이다. ‘정’에 대해서는 저자의 노력이 어느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에제 ‘반’과 ‘합’에 대한 연구도 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