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 최전선
허동현·박노자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우리의 근대 100년의 역사에 대해 개인주의적 진보주의자 박노자 교수와 건강한 보수주의자를 자처하는 허동현 교수가 치열한 논쟁을 벌인다. 100년전 개화기와 현재의 국제정세가 놀랄 만큼 유사하고, 과거의 뼈아픈 경험으로부터 역사점 교훈 내지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점은 두 교수 모두 공통적이다. 그러나 우리의 지난 100년의 사건들을 바라보고 분석하는 틀은 두 교수가 크게 다르다.

박노자 교수는 우리 사회에서 결코 자생적으로는 탄생하기 힘든 배경을 지닌 한국인이다. 외모만으로는 아직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하기 어려울 지도 모르겠지만, 그가 가진 한국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애정은 어느 토종 한국인 못지 않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그의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은 신선하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한국사회와 역사를 제3자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한국인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무척 진보적이다. 그의 지적은 기존 이론과 우리의 일반적인 상식을 까뒤집는다. 적어도 그에 비하면 상당히 보수적인 기존 교육을 받은 내게는 그렇게 느껴졌다.

그에 반해 박노자 교수의 공격적인 지적에 대해 주로 반박글을 쓴 허동현 교수의 글을 읽으면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이론이나 상식들이 완전히 허무맹랑한 것은 아니고, 어떤 점에서는 문제가 있지만 박노자 교수의 지적에도 이런 문제점이 있구나 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왠지 모를 안도감 같은 느낌이랄까.

두 교수의 논쟁을 조금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근대화에 끼친 일본의 영향력을 논함에 있어서도 박노자 교수는 일본이 만든 ‘국민’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개개인에 앞서 사회를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현상이 지금도 잔존하고 있음을 지적함에 반해 허동현 교수는 일본을 통해 번역된 근대라는 논점을 중심으로 아직도 우리 사회가 그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에 빠져 있다고 지적한다.

구한말 위정척사파 최익현의 평가에 관해서는 박노자 교수는 최익현을 빈라덴에 비유하면서 그의 자주성을 높이 평가하며 후기 자본주의 사회 지식인의 비애를 부각시킴에 반해 허동현 교수는 최익현은 몽상가에 불과하며 일부 긍정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는 있으나 결국 시대 흐름에 역행하였다고 주장한다. 박노자 교수는 자주성과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여 미군의 한국 주둔에 반대하며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미국의 패권에 대항하는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까지 제시한다. 그에 반해 허동현 교수는 현실적인 상황을 중시하여 세계적 패권국가인 미국의 존재와 영향력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책에는 우리의 근대사의 여러 사건들이 등장하지만 그 중에서 두 교수의 논쟁의 핵심적인 사항의 하나는 근대화를 보는 관점의 차이에 있는 것 같다. 역사 발전의 보편적 과정 내지 단계로서 근대화를 인정할 수 있느냐가 여러 논쟁의 출발점이 아닌가 싶다. 흥선대원군에 대한 평가에서 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에 관해서 개인적으로는 허동현 교수의 관점에 더 많이 공감이 간다. 우리의 근대를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는 박노자 교수의 지적이 시사하는 바가 많지만, 근대화 되는 것이 반드시 개개인의 삶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어도 근대화가 전 세계적인 역사의 흐름이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런 근대화의 개념을 도외시 한 채 역사적 평가를 하는 것은 국제적인 현실을 배제한 이상론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두 교수의 논쟁을 읽으면서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우리의 근대 100년 역사에 대해 나는 어떠한 견해를 가졌는지 돌이켜 보는 것이 무척 흥미로웠고, 교과서로만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우리의 근대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 최익현과 빈라덴의 비교라든지 김일성과 박정희의 비교 등 - 무척 유익한 독서였다.

ps. 부록에 있는 ‘빈라덴의 편지’에서 빈라덴의 주장이 무척 논리적이고 그다지 틀린 말이 아니라는 것도 빈라덴이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자인 미국의 공적 1호라는 점을 고려하면 정말로 모순적이고도 충격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