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열하일기가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 쓰여졌는지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고등학교 교과서에 열하일기 중의 '호질'과 '허생전'이 실려 있고, 연암이 열하일기를 썼다는 사실을 열심히 암기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막상 열하일기가 어떤 내용이고 연암이 열하일기를 통해 어떤 말을 하려고 했는지, 아니 그보다는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연암이 도대체 어떤 사람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우리는 부끄러울만큼 잘 알지 못한다. 나도 연암에 대해 막연히 실사구시를 추구한 북학파, 당시 사회의 모순점을 풍자적으로 표현할 줄 아는 문장가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그런데 열하일기를, 아니 연암의 유머와 틀에 얽매이지 않고 깊이와 넓이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의 자유분방함을 널리 알리고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쓰여진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연암이란 인물이 정말로 조선후기 정조시대가 배출한 걸출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대 사대부들의 문체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파격적이고 몇번이고 시점과 의도가 뒤바뀌어 읽는 사람의 정신을 어지럽게 만들면서도 날카롭게 문제의 핵심을 찌르는 안목과 글솜씨는 연암을 설명하는데 결코 빠져서는 안될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보다는 연암의 자유로운 사고방식, 천진난만한 어린아이같은 익살스러움과 재치, 삶에 통달한 듯한 여유에서 그의 진면목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글쓰기를 전쟁의 수사학에 빗대는 것이나, 계속된 강행군에 지쳐 비몽사몽간에 느끼는 감흥을 절묘하게 표현한 부분, 그리고, 양반전, 호질, 허생전의 인용된 부분을 다시 읽으면서 정말로 연암의 독창성과 재치에 감탄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가 배출한 걸출한 인물, 연암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에서 작가의 의도가 적어도 내게는 적중했던 것 같다. 연암과 열하일기를 지금 학교교육에서 다루는 것처럼 피상적이고 근대주의라는 정형화된 틀에서 다루는 것은 우리가 배출한 너무나도 개성적인 이 인물에 대한 예의가 아닌 듯하다. 열하일기를 먼저 읽지 않고 rewriting 열하일기를 먼저 읽었다는 사실이 어쩌면 모순적일 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도 열하일기나 그 시대에 대한 배경적인 역사지식이 없어서 감흥을 제대로 느낄 수 없는 부분도 있었던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하일기에 딸린 작가의 주석도 어느것이 연암의 글이고 어느것이 작가의 글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만큼 연암의 글과 무척이나 잘 어울려서 재미있게 글을 읽을 수 있었다. 우리 역사에도 연암과 같이 볂화무쌍하면서 다재다능한 괴짜같은 인물이 있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우면서도 그런 인물이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데 성공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새삼스레 아쉽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