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명
임레 케르테스 지음, 박종대, 모명숙 옮김 / 다른우리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운명>은 유태인 수용소에 끌려갔다가 1년만에 살아서 귀환하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유태인 대학살에 관한 이야기는 그들이 차지하는 위상과 지위때문에 영화나 책으로도 많이 소개되고 있지만 최근 팔레스타인과의 분쟁에서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작태를 보면 유태인들이 과연 과거 유태인 대학살에서 역사적 교훈을 얻었는지, 오히려 과거의 경험을 잘못 되새기고 있지는 않은지 하는 생각이 들어 오히려 냉소적인 반응을 얻기가 쉽게 되어버렸다.
하지만 그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운명>은 참으로 독특한 소설이다. 읽으면서 누구나 느끼겠지만 그렇게 끔직한 상황을 겪으면서도 주인공은 감정적으로 동요하지 않는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면서 주어진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마치 그것이 '운명'이라는 듯이.
옆에서 누가 죽거나 자신이 구타를 당해도 주인공은 이를 다큐멘터리 촬영하듯 간결하게 서술할 뿐이다. 아버지가 끌려가도 자신의 몸이 망가져 거의 죽음의 문턱에 다다른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렇듯 지나치게 담담한 문체로 소설은 진행되지만 주인공은 그것이 결코 글로 쓰듯이 쉽고 견딜만한 일은 아니었음을 실토한다. 감정적인 면이 완전히 배제되었음에도 독자에게 주인공이 겪는 온갖 고통과 어려움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바로 그 점이 이 소설의 놀라운 면이다. 마치 화선지에 먹물이 서서히 스며드는 것과 같이 주인공의 처지를 서서히, 그러나 온몸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온갖 역경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은 결국 살아남는다. 수용소에서의 1년여간의 경험이 그의 일생 전체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그는 운명에 굴복하지 않고 그 상황에 자신을 적응시키며 운명이 될 수도 있었던 상황을 이겨낸 것이다. 이 소설의 원제가 '운명없음(?)'이라는 말을 얼핏 들었는데 그것도 결국 이러한 점을 나타내는 것이 아닐까...
주인공은 수용소에서 나온 뒤 모든 순간순간이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고 자신은 그 단계에 따라 생활해 갔다는 말을 한다. 어찌 들으면 실성한 사람의 말처럼 들리는 그 말은 결국 그때그때 주어지는 상황의 각 단계에서 그 상황을 부정하려 하지 말고 그것을 인정하되 가능한 최선을 다혀면 결국 '운명'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각자가 자신의 운명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는 의미를 담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