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은 노교수가 루게릭 병에 걸려 죽어가면서 자신의 애제자에게 마지막 수업의 형식으로 삶에 대한 여러 지혜를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루게릭 병에 걸려 숨을 쉬기도 힘들어하고 급기야는 자신의 뒤마저 다른 사람이 닦아주어야 하는 지경에 이르러서도 모리 교수는 너무나도 매력적이다. 그는 죽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에게 남은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최대한 가치있게 보내고자 한다.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모리교수는 제자인 미치에게 우리의 사람에서 무엇이 가장 소중한 것인지, 우리가 어떻게 의미없는 일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면서 정작 가장 소중한 것에는 마음을 많이 쓰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지적한다.

책을 읽으면서 모리교수의 한마디 한마디가 내 마음을 뒤흔드는 것을 느꼈다. 대표적으로 기억에 남는 말로 '마음 속에서 우러나는 일들을 하라구. 그런 일들을 하게 되면 절대 실망하지 않아.'는 말이 있었다. 어떻게 보면 단순하고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일 수도 있지만, 인생에 달관한 듯한 모리교수의 입에서 나온 말에 나는 크게 공감하고 있었다. 내가 왜 힘들어 하고 마음이 편치 못했는지 알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모리교수가 새로운 진리나 대단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다만 죽음을 앞둔 사람으로서 그가 가진 삶에 대한 성찰을 소박하게 자신의 제자에게 이야기하는 것 뿐이다. 하지만 어떤 사실을 아는 것과 마음으로 느끼고 그렇게 행하는 것은 다르다. 모리교수의 말에 공감을 하고 감명을 받는 것도 그가 자신의 신념대로 삶을 살기 때문이 아닐까.

세상에는 무엇이 소중한 지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알고도 그렇게 살지 못하고 있는 사람은 더욱 많다. 자신의 삶을 의미있게, 자신이 진정 인생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추구하면서 사는 것은, 물론 말처럼 쉽진 않지만, 결국 각자의 몫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