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대단히 역설적이면서 소설 전체의 장면을 압축적으로 나타내주는 제목인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가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 대사의 한 구절이었다는 것은 참으로 의미심장하다. 야만인이 그가 읽은 유일한 책인 셰익스피어 전집속에 나오는 인물들의 대사로 자신이 생각을 표현해내는 장면에서 나는 스스로 셰익스피어 전집을 읽고 싶다는 충동까지 느끼게 되었다.

우리는 소설 첫 장면부터, 지금은 어떤의미에서는 조금씩 사실로 실현되고 있는 인간복제공장의 세세한 공정과 온갖 인공적인 조작과정을 접하게 된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의 계급으로 나뉘어지고 각 계급에 알맞은 조건반사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하게 된다. 심지어 외모마저도 수정란에 일정한 조작을 가해 계급이 낮아질수록 열등하게 만들어진다. 인간이 공장에서 생산되기에 부모라는 개념은 없고, 인간은 한 사람과 특별한 관계를 맺지 않고 남녀관계도 수많은 사람과의 육체적 관계가 장려된다. 인간은 늙지도 않으며 힘든 일이 있으면 ‘소마’란 것만 먹으면 곧바로 행복에 빠져든다. 사회의 모든 사람이 ‘행복’하고 안정적인 사회, 그것이 바로 ‘멋진 신세계’인 것이다.

그런데, 그토록 완벽한 사회안에서 고독을 느끼는 사람이 있고 그들의 불행과 야만인보호구역에서 문명국으로 온 야만인을 통해 헉슬리는 비로소 하고 싶은 말을 하기 시작한다. ‘멋진 신세계’는 결국 극단적인 반이상향이라는 것을. 헉슬리는 총통의 입을 통해 소설속의 세계는 안정과 행복을 위해 과학과 예술과 종교를 희생한 사회라고 말한다. 또한 그 사회는 사회의 안정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이다. 개개인은 행복하지만 스스로 삶의 주인이 아니다. 누군가가 미리 짜놓은 삶을, 단지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 살아가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는 물론 헉슬리가 그린 ‘멋진 신세계’와는 전혀 다르다. 그러나 비록 헉슬리가 그린 세계가 상상력과 과장의 산물일지라도 전적으로 우리사회와는 동떨어진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 같다. 빈부격차와 부의 세습으로 인한 사회계급의 고착화와 물질적인 쾌락을 추구하고 삶에 대한 고민을 경시하는 모습은 헉슬리가 그린 사회와 놀랄 만큼 닮아있지 않은가? 물론 가장 큰 차이가 있다면 우리에게는 ‘소마’가 없고 우리는 수면시학습법과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아서 우리모두가 ‘행복’하지는 않으며 사회가 안정적이지 않고 다양한 분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세상이 완벽하고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는 없다. 인간은 무한한 욕망을 갖고 있으며 모든 인간의 욕망이 충족될 수는 없는 것이다. 심지어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마저도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다. 노화가 되지 않는 대신 수명이 줄고 소마가 모든 고민을 잊게 해주지만 인간은 점점 소마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는 없지만 세상은 대체로 공평하다고 믿고싶다. 편안함이나 행복함을 맛보려면 그에따른 희생이 필요하고, 지독한 시련을 겪지 않은 사람은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없는 것이다. 반대로 시련이 있으면 언젠가는 좋은 일도 생기게 마련이다. 결국 좋은 일이 있으면 항상 감사하고 힘든 일이 있어도 좌절하지 말고 희망을 가지면 되는 것 아닐까?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