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양프로젝트 - 얼렁뚱땅 오공식의 만화 북한기행
오영진 지음 / 창비 / 2006년 12월
평점 :
내가 즐겨 찾는 분들의 서재에서 이 책에 대한 리뷰를 몇 번 읽었다. 이상하게도 어렸을 때부터 만화보는 것에 취미가 없었던지라 이 책을 살까 말까 망설이다가, 그래도 명색이 중학교에서 도덕을 가르치는 사람이 교과와 관련된 이 정도 만화는 보고 아이들에게 수업을 해야지 싶어 구입을 했다.
막상 읽어보니, 생각보다 내용이 알차다. 남과 북에 각각 설립된 교류협력단에서 서로의 체제에 젊은 작가를 파견해 그 곳의 생활을 직접 취재하고, 이를 통해 남북의 교류 협력을 증진시킨다는 '평양 프로젝트'의 내용도 그럴 듯 하다. 실제로도 이런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자칫 설명조로 흘러 재미없을 수도 있는 북한의 현재 생활을 만화라는 형식을 통해 쉽게 전달하는 것도 마음에 들었다. '북한' 하면 가난과 독재만을 생각하는 아이들에게 그 사회 속에도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은 '일상생활'이 살아 숨쉬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는 것만 해도 실은 큰 수확이다.
특히 남한의 왕따와 비슷한 '몰아주기',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과 비슷한 또래 학생의 하루 생활을 재미있게 설명한 '기철이의 하루 따라잡기', 우리의 고 3과 같은 나이의 학생이 겪는 진로고민을 잘 담아낸 '중학교 6학년 규환이' 등의 내용은 남한 아이들의 일상과도 밀접한 부분이 있어 아이들이 흥미있어 할 것 같다.
뿐만 아니라 관련 단원을 직접 가르치는 나조차도 미처 알지 못했던 북한의 언어를 익히고 달라진 사회 풍조를 배울 수 있었던 것도 큰 수확이었다. 수업 시간에 예로 들어 활용할 부분 역시 상당히 많이 찾을 수 있었으니 나로선 훌륭한 교과서 보조자료를 얻은 셈이다.
다만 설명이 좀 더 되었더라면.. 싶은 부분도 있었다. 예를 들면 북한의 학생들이 분기별로 토끼가죽을 내야 한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 토끼가죽이 수업료 명목인지, 아니면 위문품이나 기타의 용도인지가 설명되어 있지 않아 조금 답답했다. 그리고 컴퓨터와 관련하여 '단군', '룡마'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은 대체로 알려져 있는 사항이니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북한의 컴퓨터 게임에 대해서도 설명을 곁들여 주었다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
요즘 아이들은 사실 북한과 통일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다. 한 반에 평균 40명 정도의 학생이 있다면 "통일이 꼭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는 아이는 불과 서너명에 지나지 않고 대다수의 아이들은 "되든 말든 별 관심없다."에 손을 든다.
이런 세태 속에서 이처럼 북한을 따뜻하고 생동감있는 시선으로 바라보는 훌륭한 책 한 권이 세상에 나온 것이 참으로 다행스럽고 고마운 생각까지 든다. 이 책은 몇 권 더 주문해서 초등학교 5학년에 올라가는 조카녀석에게 선물하고 내가 맡게 될 반의 학급문고에도 꽃아둘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