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뿌리
김중미 지음 / 검둥소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의 전작 <괭이부리말 아이들> 마지막 부분에 주인공 명희가 "다시는 혼자 높이 올라가기 위해 발버둥치지 않겠다."라는 결심을 하는 부분이 있다. '혼자 잘 사는 삶'이 아닌 '더불어 사는 삶'을 살겠다는 주인공의 다짐이 담겨있어 읽으면서 콧등이 시큰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거대한 뿌리>를 읽으면서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그 문구를 다시 떠올렸다. 어쩌면 그 다짐은 주인공의 입을 빌린 작가의 다짐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는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특히 혼혈 아동)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주인공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동두천의 기지촌과 현재 살고있는 I시(인천)의 M동을 교차시키는 시선도 흥미로웠다. 작가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구성을 통해 혼혈아에 대한 차별이 과거와 비교했을 때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제물건은 좋아하면서 왜 절반이 미제인 우리는 싫어하느냐."라고 울부짖는 재민이의 아픔은 "이주노동자를 돕는 활동가는 괜찮고 이주노동자를 사랑하고 아기를 가지면 안 되느냐."고 외치는 정아에게로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재민이와 정아의 질문에 어떻게 대답해야 하는 것일까? 작가는 '핏줄이 아닌 인간에 대한 연민과 이해'를 해답으로 제시한다.

엇나가는 재민이를 끝까지 기다렸던 어머니의 사랑이 '핏줄에 대한 사랑'이었다면 그런 어머니에게로 돌아온 재민이의 사랑은 그보다 더 깊은 '인간에 대한 연민'이었다. 자신을 믿어준 사람을 배신할 수 없다는 생각, 끝까지 기다려준 사람에 대한 깊은 고마움... 인종과 상관없이 평등한 인간관계를 전제로 한 이런 것들이 '핏줄'에만 국한된 좁은 사랑보다 훨씬 깊고 넓고 아름답다는 것을 저자는 얘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영향 때문인지 이 책도 청소년 추천도서로 되어있던데, 고등학생이라면 모르겠지만 중학생이 읽기에 적합한 책은 아니었다. 청소년보다는 사회 안에서 청소년을 가르치고 길러야 할 어른들이 읽어야 할 책이다.  '내 자식'이라는 핏줄에 연연하지 않고  사회에서 함께 기르는 '우리의 아이들'에 대한 인간적인 관심과 이해를 불러일으키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