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쥐를 잡자 - 제4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ㅣ 푸른도서관 18
임태희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6월
평점 :
장면 1 : 고등학교로 첫 발령을 받은 새내기 교사 최선생, 자신이 담임하는 학급의 사물함에서 '갉작갉작' 쥐 소리를 듣는다. 아직 아이들의 이름조차 다 외지 못한 최선생은 출석부 명렬표와 사물함 이름표를 대조하며 사물함의 주인을 찾는다. 쥐 소리가 나는 사물함의 주인공은 진주홍...
장면 2 : 미대 조소과 강사인 주홍이 엄마는 결벽증 환자. 끊임없이 집안을 쓸고 닦는 그녀가 손대지 못하는 곳이 딱 하나 있다. 그건 바로 냉장고... 어느 날부터 냉장고 안에 쥐가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 때부터 냉장고 문을 열지 못한다.
장면 3 : 사물함 안에 쥐가 있다고 생각하는 담임, 냉장고 안에 쥐가 살고 있다고 믿는 엄마... 그러나 주홍이는 알고 있다. 진짜 쥐는 자신의 몸 안에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쥐가 나날이 커지고 있으며, 다 크면 자신의 몸 밖으로 나올 거라는 것, 그 쥐가 세상 밖으로 나올 땐 쥐가 아니라 작은 사람의 모습을 하게 될 거라는 것... 실은 자기 몸 속에 쥐가 있다는 걸 알면서도 외면하는 듯한 선생님과 엄마에게 도움을 청하고 싶지만 주홍이는 그러질 못한다.
시작부터 우울하고 가슴아픈 내용을 펼쳐보이는 소설은 뒤로 갈수록 가슴을 저미게 하고 절망스럽게 한다. 신참 교사는 가슴아파 하면서도 적극적인 도움은 주지 못한 채 당황하기만 하고, 미혼모였던 주홍이 엄마는 딸 역시 자신과 같은 운명을 겪어야 할 것을 두려워 하여 내심 아이를 낳고 싶어하는 주홍이를 외면하려 한다.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유일한 어른인 선생님과 엄마의 이런 태도 속에서 주홍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결정은 사실 없는 셈이다.
잡아야 할 쥐는 사실 주홍이 뱃속의 작은 아이가 아니라, 선생님의 대책없는 당황과 소심함, 엄마의 두려움과 무관심이다. 이 상황에서 중요한 건 "왜" 임신을 하게 되었는지 알아내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아이가 상처를 극복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해답을 찾아 실천하는 일이다. 작가는 주홍이가 임신하게 된 경위를 생략하고, 아기 아빠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는 것으로 자신의 이런 주장을 명확히 한다. 처음엔 남성의 책임을 언급하지 않은 것이 다소 아쉬웠지만, 소설 속의 상황을 따라가며 작가의 마음을 헤아리게 되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었다.
사귀면 키스나 애무 정도는 당연하고, 성관계 역시 사귀는 남녀가 함께 할 수 있는 여러 놀이 가운데 하나로 가볍게 여기는 많은 청소년들이 임신과 낙태, 자살로 이어지는 어두운 이 소설을 읽으며 이성교제에 대해 조금 더 진지해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더불어 학교에서도 형식적인 성교육이 아니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현실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그리고, "내 아이는 그럴 리 없어."라는 무책임한 믿음이 오히려 아이를 고통으로 몰아넣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걸 명심하고, 부모님들도 자녀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기를.... 바라 마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