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의 여행법 - 세상의 모든 길들
미셸 옹프레 지음, 강현주 옮김 / 세상의모든길들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여행이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는 인생 그 자체이다. 혹은 인생 그 자체를 뛰어넘는 어떤 세상의 진리를 알아가는 과장이다.
철학자의 여행법
철학자의 여행법
작가
미셸 옹프레
출판
세상의모든길들
발매
2013.03.15.
리뷰보기
철학자들의 사색하는 방법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 바로 여행이라고 할까?
길을 나서면 사람들은 정체성이 없어진다.일상에 있던 정체성이 달라지는 것이다.
언어만 달라져도 혹은 풍경만 달라져도 그 사람의 정신엔 새로움과 두려움으로 이전에 가지고 있던 사상, 관점,생각등이 갑자기 無에서 출발하게 된다. 그래서 여행을 떠나려 하는지도 모른다. 이윽고 거기서 여행은 시작되는 것이다.
여행은 자신의 한계를 돌파하는 과정이다. 철학자의 세상보는 눈이 달라지는 계기이기도 하다. 관광과 여행은 그 후에 생각의 크기가 결정한다고 할까?
모든 이는 새로운 여행을 앞두고 있다. 꿈꾸기도 한다. 모든 여행하는 이는 철학자들이다. 생각지도 않았던 환경문제를 생각하게 되고, 이웃도 아닌 이웃나라의 누군가를 걱정하기도 한다.여행은 낯설게 하기를 스스로 하는 것이다. 생각들도 낯설어진다. 그 낯설게 하기는 머리를 비우고 새로움으로 채우게되고 창조적인 생각을 하게 만든다. 여행의 의미, 즉 스스로의 삶을 낯설게하여 다시 보금자리를 왔을 땐, 다시 떠나게 싶게 만드는 매력을 갖게하는 것. 그러면서 인생은 늘 새로움으로 채워질수 있는 것.

철학자가 바라보는 여행의 이론인데, 철학자의 사유와 사색의 과정을 여행의 이론이라는 틀로 표현해낸 책이다.
많은 철학자들의 사상과 역사적 인물들의 관점이 비유적인 표현들로 가득하다. 그래서 조금 낯선 책이기도 하다. 많은 철학자의 기본사상이나 관점을 잘 모르면 난해한 책이다.
그래도 여행이 던지는 의미는 철학자가 아니어도 느낄 수 있는 것이니까. 여행은 어쨌든 현재의 모습에서 조금은 낯선 경험들로 나아가는 것이니까?
누군가 예술이나 창작의 기본은 낯설게 하기라고 하지 않았나.그래서 여행을 떠나면 더 낭만적이 되고 시적이 되고 다른 무언가를 꿈꾸게 되는 것 아니겠는가?


​2015년 6월28일 쓴 독후감.

새로운 일을 준비하면서 읽은 책이다.
15년 접어들면서 책 읽기가 더뎌졌고, 그동안 수기로 쓴 독후감들을 블로그로 만들어 볼려고 정리하고 있다. 나도 1인출판을 해볼려고 시도를 해보고 있는데 그때 써놓은 글을 보니 가관이 아니다.
스스로에게 조금 창피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래도 책읽기를 하면서 장서 3000권, 매주 1권이상 읽기 (아마도 15년엔 한주 2권 읽기가 목표였을 것이다. ) 등의 혼자만의 재미있는 목표가 있었는데, 지금은 책읽기도 방황하는 시절이 되어 버렸네.
기존의 읽은 책들을 보니 막무가내 독서인게 눈에 보인다. 하긴 닥치는대로 읽는 것이 나의 독서법이었으니까.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니 한주의 몇권읽기 이런 독서방법은 별로인것 같다.
예전에 쓴 독후감들을 보면서 읽었던 책들의 내용이 거의 생각나는 것이 없는 걸 보면 나의 독서법이 좋은 습관은 아니었던 것 같다. 정독하고 필요하거나 연결되는 책들을 찾아 읽고 정보를 찾아보고 하는 것이 책을 읽으면서 최소한 그 책이 던지고자 하는 의미는 기억에 새기는 독서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