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 개방의 파고를 넘어 세계로
정구현 외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8년 2월
평점 :
1980년대 민주화 이후의 20년간의 한국 기업의 변화와 발전을 통사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통사적인 측면에서 20(87년~2007년 )년간의 기업 및 경제 흐름을 거시적 관점에서 숲으로 정리한 책이다.
각 시대별 주용업종 및 산업군이 발전흐름을 알 수 있으며 향후 10년간의 주요 변화와 환경에 대한 예측과 제언이 들어있음.
삼성특검의 시기에 의한 영향인지 대기업 집단, 즉 재벌의 소유구조, 지배구조에 대한 평가가 당시의 시대상황 및 환경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간주하고 있는 시각들이 많이 드러난다.
전반적으로 객관적 시각으로 기업의 20년사를 정리했으며, 20년간의 기업생태계 변화를 나름 잘 정리하고 있는 책이다.
투자의 측면에서 보면 향후 10년간의 환경 변화에 따른 주도산업, 기업군에 대한 시사점들이 몇가지 있다.
1. 미국의 세계경제 주도권의 향방 -> 일정부부 훼손되기는 하나 큰 비중의 나라로 남을 것.
2. 중국의 지속성장 -> 경제 성장 둔화와 내부 모순 표출 가능성 있으나, 2011년경 세계경제 2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
3. 세계 경제 성장의 비중 ->유로권, 미국, 아세안+4 가 각각 26%~7%선으로 비슷해짐.
4. 기후 변화 : 탄소시장, 탄소저감기술, 신재생에너지에서 사업기회 발생 -> 2013년 기후변화 협약 발효예정. 해수 담수화사업 , 상하수도 사업, 대체에너지 , 조,풍,태양광 발전 . 원자력등.
5. IT기술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 -> 생명공학과 컨버전스.
6. 한국의 개방은 계속될 것인가 ? 2012년 유럽연합 FTA완료 예상. 동아시아 지역도 통합된 시자의 모습 연출 예상.
7. 펀드 , 연기금의 자본시장 지배 강화 -> 주택담보대출 위기 극복후 또 한단계 금융산업 진화 ,각 펀드들의 자본시장, 기업 지배려 확대 및 적극적인 경영 개입.
8. 글로벌화 양극화 심화 -> 임금격차 확대 , 고령화 진전으로 국가내 지역내,계층내,조직내 양극하 확산
향후 10년 대응 제안
전략적 유연성, 맞춤형 글로벌화 , 지식조직과 창조경영,주주와 사회요구의 동시 충족. 기업의포트폴리오 전환작업 진행 , 신 수종 사업 발굴 기업이 살아남는다.
* 2011년 6월 17일 옮김
2008년에 예측치들이 상당부분 맞아가는 경제환경이다. 큰 대세의 흐름은 있기는 있다. 큰 흐름을 타면 투자 측면에서는 흐름을 탈 수 있다. 그리고 기회가 그 속에 있다 미래를 보는 눈은 작은 관심과 정보를 보는 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