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녀의 구제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4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의자 X의 헌신>으로 유명한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에서는 공통적으로 속도감을 즐길 수 있다.  지적유희가 모자라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굳이 가늠하라면 지적유희 보다는 속도감을 즐기게 된다. 셜록 홈즈나 에거서 크리스티와 같은 정통 추리소설과 비교하자면 그렇다는 이야기이다. 요즘은 추리 소설이라고 해봐야 지적 자극 보다는 확실히 잘 맞춘 퍼즐을 속도감있게 맞춰 나가는 이야기들이 주류이니 어쩔 수 없나 싶기도 하다.
 
결말을 알고 듣는 이야기의 관전 포인트
범인을 모르는 상태에서 추리해 나가는 방식과 범인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듣는 이야기는 같은 이야기를 풀어 나갈지라도 완전히 다른 이야기이다. 범인을 모르는 상태에서 단서를 가지고 범인을 추리하는 이야기는 읽으면서 '이 사람 같은데...' 라는 독자의 심증을 어떻게 하면 작가가 설득력 있게 반전시킬 수 있느냐가 요컨데 완성도이다. <오리엔트 특급살인>이나 <쥐덫>이 이런 류의 이야기에서 완성도로 따지면 손꼽을 수 있는 작품이다.
 
반면 범인이 누구인지 알고 시작하는 이야기는 전혀 다르다. 이 사람이 범인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감정적, 논리적으로 납득시켜야 한다. 화가나서 범행을 저질렀다 식의 이야기에는 독자를 설득시키지 못한다. 거기에 소설의 핵심은 범행의 방식을 과연 형사가 증명할 수 있느냐에 맞춰진다. 범인을 알고 있으나, 범인이 범행을 저지른 이유는 사람들을 고민하게 하는 것이 보통인지라 읽는 독자는 갈등을 겪게 마련이다. <성녀의 구제>는 전형적인 결말을 알고 듣는 이야기라 이 2가지 요건이 모두 잘 맞춰져야 제대로 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은 부인이 남편을 독살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그 독살에는 다소 복잡한 사연이 들어있으니 직접 읽는 편이 좋겠다. 문제는 방법인데 부인은 전날 친정집으로 여행을 떠나고 없는 상태에서 남편이 독살을 당했다. 청부살인은 아닌듯한데, 과연 부인이 독살은 한게 맞는지, 그렇다면 부인은 과연 어떻게 남편을 독살했는지를 밝혀낼 수 있느냐가 사건의 핵심이다. <용의자 X의 헌신>으로 가장 잘 알려진 히가시노 게이고의 탐정인 갈릴레오 교수가 과연 독살 방법을 증명할 수 있는지가 특히 읽는 재미를 느끼게 한다.
 
<성녀의 구제>가 정말 잘 맞춰진 퍼즐 조각이어서 읽는 내내 지적 흥분을 일으킨다거나 하지는 않다. 사실 이번 책은 굳이 읽고 싶지 않았다는게 적확한 마음이다. 분면 <용의자 X의 헌신>을 넘는 이야기를 만들어 내지는 못할게 확실한데, 괜히 읽고 실망만 할 바에야 집에 있는 책이나 다시 읽는게 낫지 않나 싶었던게 사실이다. <용의자 X의 헌신>의 마지막 부분을 읽으면서 깜짝 놀랐던 그런 구성과 왜 범인이 범행을 저지를 수 밖에 없었나를 독자에게 강하게 설득하는 부분도 다시는 쓸 수 없지 않아 싶은 그런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확실히 <성녀의 구제>는 빠른 속도감으로 읽어 내려가기는 했으나, 이전에 비해서는 그다지 흥미롭지 않았던게 사실이다. 그럭저럭 나쁘지는 않았으나 범행의 동기를 설득하는데서도 2%쯤 부족하고, 범행의 방식을 설득하는데도 2%쯤 부족했다. 사실 제목 때문에 읽은 셈인데, 제목은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고 나서도 아리송한 조금은 껄쩍지근한 기분을 남겼다면 내 착각인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야근을 하다가 들은 뉴스.
시작은 국내 모은행 전산팀장이 자살했다는 뉴스였는데, 그게 알고보니 국민은행이었단다. 

보통 명절이 되면 은행이나 증권사들은 시스템 개편을 많이 한다.
평소 주말은 길어야 이틀 정도이기 때문에 제대로 현금인출까지 중지시키고 테스트하고 적용할 시간이 없어서 인데, 어김없이 이번 설에도 짧은 기간이기는 하나 연휴인지라 은행이나 증권사에서는 각종 시슽템 정비작업이 한창이었다. 덕분에 설 연휴 직전에는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문자와 메일이 몇통씩 날아들었더라.

국민은행도 그 중 하나였는데, 아마도 적용한 시스템이 문제를 일으켰는가보다.
내가 일하는 업종도 국민은행과 관련이 된 분야인지라 화요일 고스란히 그 여파를 받았는데, 모 전산팀장이 자살했다는 소식이 참 씁쓸하게 다가왔다. 뭐라고 해야하나. 업무 스트레스 라고 하지만 자신의 일을 제대로 끝까지 하지 못한 그를 무책임하다고 비난하기 보다는. 그래도 난 그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고 그렇게 생각했다.

조금은 무책임한듯 하지만, 그의 고민을 몇일 아니 몇주 동안 밤잠을 자지 못한 그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엠마 현대문화센터 세계명작시리즈 2
제인 오스틴 지음, 최정선 옮김 / 현대문화센터 / 2006년 4월
평점 :
품절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돌고 돌아 이곳까지 왔다. 제인 오스틴의 다른 소설에 나오는 여인들은 젊고 - 내 기준으로 젊다는 것 - 현명하며 사려깊고 남을 배려할 줄도 알며 주책스럽스럽지도 않은 그런 캐릭터 들이다. <설득>, <오만과 편견>, <이성과 감성> <노생거 사원>, <맨스필드 파크> 등등 손으로 꼽으며 헤아려봐도 역시 제인 오스틴 속 여인들은 저렇다. 한창 젊은 - 여기에서 젊다는건 내 기준에선 어리다는거다 - 아름다움으로 반짝이는 여인들보다는, 시간이 지나 나이를 먹어 현명하며 사려깊고 결정적으로 분별있는 - 아 제인 오스틴의 소설에서나 등장할 법한 단어로구나 - 여인들이다. 그래서 오래도록 읽지 못했는가보다. <엠마>는.


 

<엠마>는 이런 소설
제인 오스틴의 소설 <엠마>의 주인공은 그야말로 엠마. 지역 명문 가문의 딸이며,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언니가 일찍 시집을 간 덕분에 아버지를 보살피고 집안의 안 주인 역할을 한다. 젊음으로 반짝이는 아가씨이다보니,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도 많고 호의도 많이 배풀려 하나 그 덕분에 이래저래 사고가 끊이지 않기도 하다. '엠마'에게는 좋은 조언자가 주변에 있는데,엠마와 때로는 반대되는 의견을 개진하고, 격려하기도 하며 엠마의 성장을 돕는다. 


사건은 작은 듯한 마을에 엠마는 고아인 한 아가씨 해리엇를 알게 되는 것에서 시작된다. 해리엇을 자신을 연줄로 해서 상류사회 사람과 교류하게 하고, 그녀보다 상류사회 사람과 결혼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엠마가 점찍은 사람은 바로 교구 목사님. 문제는 엠마의 시선으로 본 목사님의 사랑이 엠마의 그것과 달랐다는 것이다. 목사는 해리엇과 목사를 이어주기 위한 엠마의 관심을 오해해 버린 것이다. 결국 이야기는 오지랍 넓은 엠마의 좌충우돌 중매기라고 해야하나 그런 식이지만, 제인 오스틴의 대부분 소설이 그렇듯 <엠마>도 그리 많지 않은 마을 사람들이 얽히고 설혀서 이야기거리를 만들어 낸다. 평범한 일상적인 이야기를 다듬어서 만들어 놓은 제인 오스틴의 능력이겠지만, 그리 큰 이야기거리가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인 오스틴의 소설은 한번 읽고 있으면 손을 놓을 수 없을 정도로 재미나다. 주인공 엠마와 주변 마을 사람들, 마을을 방문하는 몇 안되는 사람들 사이에 이렇게 소소할 것처럼 보이는 이야기를 책으로 엮어낼 수 있는 능력이 놀라울 뿐이다. 

 
제인 오스틴의 여인들

제인 오스틴의 '엠마'의 시점에 관해 이야기하자면 전지적인 시점을 사용하나, 단순히 전지적인 시점만이 아닌 주인공 1인칭 시점이 강하게 된다.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시점처럼 일견 보이지만, 모든 주변 인물의 심리상태는 사실 주인공의 마음과 눈을 통해서 독자에게 전달된다. <엠마>속에서도 발랄하고 명랑하고 다소 철없어 보이는 '엠마'와 비교되는 여인을 등장시키는데, 이 여인은 엠마의 시선으로 보기에는 일견 차갑고 창백한 여인으로 묘사된다. 엠마의 시선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오히려 차분하고 사려깊은 제인 오스틴의 이야기에 더 부합하는 여인으로 보이는데 말이다. 엠마의 시선과 생각으로 보는 주변과 그 엠마의 시선에서 벗어나서 독자가 볼 수 있는 부분의 차이가 소설의 재미있는 점이다. 

제인 오스틴 소설 속 분별있는 여인들에게서 조금은 벗어나는 여인이 '엠마'여서 읽는 동안에는 사실 조금 당황스러웠다. 이런저런 사건을 일으키고 사람을 겪으면서, 조언을 듣는 법을 배우게 되고 특유의 발랄함한 성격도 잃지 않는 그녀 또한 제인 오스틴의 여인들 중에 한명이다. 어느 판타지 소설 속에 무럭무럭 성장하는 좌충우돌 주인공이라고 하면 맞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생과의 대화는 언제나 나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해준다.

음 동생 하나는 잘 뒀단 말이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콜릿 코스모스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온다 리쿠의 이야기는 왜 항상 이토록 평범한데 이렇게 특별하게 느껴지는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