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는 TV드라마 <대장금> 이나 <동이>를 통해서 궁궐에 사는 여성들의 모습이 다소 진취적이면서 화려하게 다가오는 모습을 보게 됨과 동시에 그네들이 마치 역사의 주인공처럼 다루지는 것을 본다. 또한 무수리에서 왕의 생모로 탈바꿈한 숙빈최씨, 일개 궁녀의 신분에서 왕후의 자리까지 올라간 희빈장씨, 왕과 거의 다름없는 수렴청정을 했던 세조비 정희왕후윤씨와 정조비 문정왕후윤씨등 그야말로 여인천하같은 인상을 일반인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역사에서 이들의 역활은 드라마상의 스포라이트만큼 결코 화려하지도 주목받지도 못했다.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조선시대 역사를 다루어왔지만 거의 통사나 사건중심의 역사통찰이 주를 이루었고 더욱이 남성중심의 역사 고찰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나마 신명호의 <조선왕비실록>이나 이수광의 <조선을 뒤흔든 16인의 왕후들>을 통해서 조선 왕비들의 삶을 대략적으로나마 고찰했던 역사서가 나와서 일반독자들에게 상당한 호응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역시 왕비라는 상징성에 국한되어 있어 구중궁궐속에 평생을 살아야했던 수 많은 여인들의 삶을 재대로 반영하지 못했던 역시 사실이다.

 

이번 김종성의 <왕의 여자>는 조선시대 궁궐에서 거의 모든 삶을 살았던 왕의 여인들인 왕비, 후궁, 그리고 궁녀들의 삶을 재조명해 본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먹의사슬의 가장 하위층에 속했던 궁녀들의 삶과 애환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 되었다고 보인다. 물론 그동안 남성중심적인 역사서에 비해 여성들을 다루었던 서적들이 작았지만 그나마 왕비나 후궁과 관련하여 일반독자들에게 선보였던 적은 간혹 있었지만 궁녀들을 다루었던 경우는 아마도 없었으리라 여겨질 정도로 구중궁궐의 삶속에 필수적이었던 그네들은 그 누구에게도 주목받지 못했다는 점에서 저자의 의도는 돋보인다.

 

어린 나이에 입궐하여 죽음마저도 마음대로 궐내에서 생을 마감할 수 없었던 그녀들은 어찌보면 조선 5백년 역사 궁궐의 안방 마님이나 마찬가지의 역활을 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왕을 비롯한 권력층의 사대부층이나 역사의 조명을 받았던 왕비나 후궁보다 온 몸으로 조선의 역사를 지탱해 왔던 것이다. 비록 현대 우리가 각종 매체로 부터 인지된 화려한 삶이 아닌 치열한 생존의 역사를 살아왔지만 궁궐의 움직이는 실질적인 역활을 해왔던 것이다. 전반적으로 <왕의 여자>는 궁녀을 비롯한 왕의 지근에서 생을 살았던 여인들의 삶을 재조명해 봄으로써 또 다른 역사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무수리,항아,나인,상궁등 그동안 잘못 알려진 궁녀들의 위계질서나 용어의 정리 그리고 그녀들이 맞았던 업무에 대한 이해등 궁녀와 관련된 많은 의문점을 해소해 주고 있고 숙종제위시 '후궁은 왕후가 될 수 없다'는 법이 제정된 동기가 단순하게 희빈장씨의 개인적인 사건과 관련된 사안이 아니라 정치적인 의도가 더 크게 작용했다는 점등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는 팁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눈에 거슬리는 부분은 역사서라는 입장에서 오탈자나 각종 도표상의 표기들에 오류가 제법있어 독자들로 하여금 혼란케 하고 있다는 점은 필히 다시한번 제고해 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