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귀신 동문선 문예신서 34
무라야마 지쥰 지음, 김희경 옮김 / 동문선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鬼神하면 우리에게 상당히 친숙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어린시절 전설의 고향이라는 TV프로를 보면서 한여름 더운밤에 이불을 머리끝까지 덮어쓰고 무서우면서 끝까지 본 기억도 있을테고, 어두운 시골길 한적한 곳에 마주친 하얀소복차림의 여인, 그리고 학교마다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화장실 귀신등 그야말로 우리는 멀쩡하게 살아있는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세상이지만 왠지 우리 주변에 산재한 귀신이야기로 마치 귀신과 同生하고 있는것 같은 착각아닌 착각을 하게 되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물론 귀신이라는 것이 유독 대한민국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세계각국의 어느 나라를 가더라도 귀신에 얽힌 이야기는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럼 왜 귀신에 대한 이야기인가? 이 책의 저자 무라야마 지쥰은 그러니까 정확히 말해서 일제강점기 시기에 주재조선총독부의 촉탁으로 조선의 귀신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작성한 일본학자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조선의 귀신 보다는 더 확장된 의미의 조선민족의 민속신앙에 대한 고찰 보고서이다. 이 책을 접하면서 다시 한번 느끼는 심정이만 일본인들의 철두철미함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타 민족을 강제점령하면서 그 민족의 가장 정신적인 모태가 되는 민속신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식민지 정책을 수립할려고 했던 일본인들에게 대한 심정이 무섭도록 준비된 행위였다는 생각이 들어 왠지 씁슬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 책의 내용이나 학술적인 가치를 차치하더라도 그리 유쾌한 느낌은 아닌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감정적인 측면을 제외하면 필자의 조선에 대한 민속신앙의 연구는 가히 박수를 보내주고 싶은 심정이다. 어떻게 그 방대한 사례와 각종 귀신의 종류 그리고 귀신을 막는 방법등에 대해서 정말 우리보다 더 열심히 자료수집과 정리를 하였다는 점에 대해서 지금 IT시대를 살아가면서 귀신이나 민속신앙은 그저 하등문명에 지나지 않는다고 치부해 버리는 우리모습과 너무나도 극명하게 대비되기 때문이다. 물론 귀신이나 민속신앙은 그 어떻한 과학적인 고증을 거치더라도 설명하기 힘든 현상임에는 틀림없지만 그저 설명하기 힘들다는 점을 가지고 그 존재유무에 대한 논의를 하지는 않는것 또한 사실이다. 그저 각 개인의 차이점 정도로 흘려버리기 때문이다. 

물론 이 서평을 적고 있는 본인또한 귀신이라는 존재에 대한 명확한 믿음은 없다. 그러나 귀신이라는 협의의 개념이 아닌 민속신앙이라는 광의의 개념을 접못시켜 보면 말은 또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민속신앙이란 그 민족자체의 고유의 가치관이다. 가치관이란 무엇인가? 한 민족이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역사적으로 보평 타당하면서 공감이 가지는 사상인 것이다. 그래서 민속신앙에는 그 민족 특유의 색깔이 자연스럽게 묻어 있는 것이면서 민속신앙에는 그 민족의 얼과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이다.  

그런면에서 필자가 일본인이라는 한계가 보이는 점 또한 이런 측면에서 발견된다. 단지 조선민족의 신앙은 무지나 그 상황을 회피할려고 하는 의도보다는 자연과 사람이 한테 어울려 같이 공존한다는 발상에서 민속신앙이나 귀신의 출발점이 있는 것이다.  그 기원을 보면 단군신화를 보면 신이 인간의 모습으로 化했다라는 말에서 출발할 것이다. 우리민족의 전통적인 무속 내지 민속신앙은 공통점은 바로 인간과 신 내지는 귀신이 동격이라는 것이다. 신이나 귀신이 인간보다 우월한 위치에 놓여 있더라도 인간에 대한 대우내지는 평가를 제대로 해준다고 생각하는 사상에서 출발하여 그 역사적 믿음이 지금까지 유래되고 있는 것이다. 

당시 동양공영화의 기치를 부르짖던 일본의 학자눈에는 이러한 점들이 단지 비문명화되고 야만스러운 행동으로 보였을 거이다. 하지만 지금 아마존 오지의 민족들의 가치관에 대해서 과연 그 가부를 누가 장담할 수 있겠는가 그만큼 민족신앙은 그 어떠한 잣대로 그 높낮이을 측정할 수 없는 것이다.

단지 이러한 방대한 자료와 희귀사진들을 보면서 새삼 우리의 우리자신에 대한 연구는 과연 얼마나 진행되고 있을까라는 생각을 지울수 없다. 그러면에서 이 책을 읽는 동안 한편으론 수긍이 가는 부분도 있으면서도 왠지 부끄러운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지금이라도 하나둘 살아져가는 우리 고유의 민속신앙의 발굴과 보존이 시급한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