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처럼 무른 실존
2003년 8월 아침
어디 농촌이나 어촌에서 막 상경했을까, 난곡이나 봉천동 달동네에서 탔을까.
가난이 줄줄 흐르는 바싹 마른 중년 여자, 광대뼈가 병색 가득한 낯가죽을 뚫고 튀어나올 기세다.
못지않게 가난 냄새 풀풀 풍기는 옆자리 청년에게 말을 건다.
“신촌 세브란스 가는 버스 맞쥬?”
청년이 살갑게 대해주자 말이 길어진다. 목소리와 몸짓이 모두 너무 크다. 못지않게 큰 눈은 '사팔뜨기'라는 비칭을 소환한다.
버스가 남영동을 지날 즈음 라디오에서 정몽헌 회장의 자살 뉴스가 반복된다.
“정주영 아들이 왜 죽었대유?”
대북송금이니 뭐니 제대로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혀 하나만은 찰지게 맛깔나게 찬다.
“에유~ 쯧쯧!”
모든 산 자는 죽은 자를 동정할 권리가 있는 것인가.
우리의 두부처럼 무른 실존은
칼로 써는 것보다 손으로 뭉개는 게 더 쉽다.
705A 파란 버스는 계속 달린다.
중년과 청년도 달린다. 문제는 자살이 아니다.
*
천정환. <자살론>. 문학동네, 2020, 6-10
"아, 그렇게, 따라서, 죽음 앞에 인간은 평등해진다... 자본가나 ‘왕자’에게조차 무한정 연민 받아 마땅할 풀꽃 같이 여린 삶이, 또는 두부같이 무른 실존이 있는 것인가. 누구나 돈이나 권력이나, 그보다 더한 권위나 관계를 다 무로 만들어도 좋을, 지기 힘든 제 몫의 삶의 무게에 짓눌린다는 것인가. 모든 산 자는 죽은 자를 위해 혀를 차며 동정할 권리를 가진 것인가. "(10) -> 저자의 의도와는 명백히 다르게 읽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