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애 최고의 음반을 소개해주세요(이벤트)
영화를 언제부터 좋아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동생들 손을 잡고 성룡 영화를 보러 집근처 동시개봉관을 들락거린걸로 봐서는 초등학교때부터이지 싶다. 당시는 요즘처럼 비디오테이프나 디비디가 있던 때가 아니라 영화를 보려면 극장에 가거나 아니면 TV에서 하는 명화극장을 기다려야만 했다. 영화 ‘영광의 탈출’의 메인테마와 함께 정일성씨의 목소리가 들리고 흑백영화 예고편이 나오면 가슴이 콩닥콩닥거렸다.
그렇게 시작된 영화 사랑은 음악을 좋아하면서 자연스레 영화음악 쪽으로 관심이 옮아가게 되었고, 한 장 두 장 사모으기 시작한 음반이 이제는 장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가 되버렸다.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사모은 비디오테이프와 LP는 디비디와 CD시대로 들어오면서 처분을 해버리는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지금 생각하면 후회 막급이다.
처음에는 어떤 기준도 없이 일단 음악이 좋다 싶으면 이것저것 마구 수집을 했다. 그러다보니 체계도 없고 두 번 다시 듣지 않게 되는 음반도 생긱게 되었다. 그래서 아예 스코어 위주로, 그리고 예전 영화음악들 위주로 수집의 목표를 정해버렸다. 그렇게 수집의 기준을 정하고 보니 어느 정도 음반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느낌이다.
이번에 알라딘에서 하는 이벤트를 통해 겸사겸사 내가 가지고 있는 음반도 정리하고, 음반에 얽힌 추억도 생각해 보는 소중한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음반 수집을 하면서 느끼는 건 좋은 음악을 듣는 것도 좋지만 추억이 하나 둘씩 생긴다는 거다. 음악을 들을때마다 떠오르는 추억이 사람을 미소짓게 하는 것 같다. 여기 소개하는 음반은 알라딘에 등록된 상품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없는 음반은 추후 사진으로 찍어 올려 볼 생각이다. 여러분도 이 기회에 음반과 함께 추억 여행을 해보시는게 어떨지.
주로 이탈리아의 CAM사에서 제작된 음반들 위주로 한 컷 찍어 봤다. 루키노 비스콘티의 표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정사, 일식, 코멘치니의 부베의 연인, 조셉 로지의 미스터 클라인, 그리고 짐 자무시의 다운 바이 로, 장 꼭토의 미녀와 야수 등이다. 요즘은 최근 사우드트랙과 예전의 사운드트랙을 비교해서 자주 듣는데, 아무래도 고전쪽으로 자꾸 회귀하게 되는 것 같다.
|
테오 앙겔로풀로스의 영화는 강인한(?) 인내력이 요구되는 영화다. 그는 극단적인 롱테이크를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그의 영상은 엘레니 카렌드로우라는 걸출한 작곡가로 인해 아름답게 재탄생한다. 카렌드로우는 다양한 관악기과 아코디언, 그리고 현악기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인간 내면을 자극하고 있다. 이 음반은 카렌드로우가 참여한 영화에 사용된 음악들을 모은 베스트 형식의 음반으로 카렌드로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필히 들어보아야 할 음반이다. 어느 곡 하나 놓칠 수 없는 아름다운 곡들이다. |
|
암울한 도시 뉴욕을 배경으로 한 마틴 스콜세즈 감독의 영화 '택시 드라이버'는 조디 포스터의 아역 연기로도 많은 이목을 집중시켰던 영화다. 음악은 당대 최고의 작곡가인 버나드 허만이 맡고 있는데, 이전 알프레드 히치콕과의 작업에서 보여준 것과는 다른 사운드를 들려 준다. 이번 영화에서는 모던 재즈의 진수를 들려 준다. 메인 테마는 영화와 어울리지 않게 아주 감미롭게 다가온다. 최고의 영화 감독과 영화음악가가 만나서 만들어 낸 작품이라고 전부 좋을 수 없지만, 이 영화는 이 시대 최고의 걸작으로 탄생했다. |
|
영화 '세르피코'는 부패한 경찰 내부를 고발하는 세르피코의 투쟁을 보여주는 시드니 루멧 감독의 사회성 짙은 작품이다. 그런데 영화음악은 미국 영화답지 않게 상당히 서정적이다. 아니나 다를까 영화음악을 맡은 사람은 그리스의 국민가수 미키스 데오도라스키가 맡고 있다. 한때 모방송사의 시그널 음악으로 쓰이기도 한 테마 음악은 데오도라스키 특유의 정서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걸작이다. |
|
영화 '마지막 황제'는 좌파적인 시각을 가진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제작 단계에서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던 영화다. 영화음악은 콩슈,류이치 사카모토,데이비드 바이런 3명의 공동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래서인지 음악은 동서양 어디 한 곳에 정주하지 않는다. '얼후'와 같은 민속악기와 풍부한 오케스트레이션을 더하여 음악적 완성도를 기한 이들의 작품은 탄탄한 구성이 돋보인다. 내노라하는 뮤지션들이어서 빈틈이 느껴지지 않는 곡들이다. 마음이 풍성해지는 잘 만들어진 음악이다. |
|
판타스틱 러브스토리라고 해야하나. 시공간을 초월한 사랑이야기는 보는 이의 가슴을 찡하게 한다. 음악은 존 배리가 맡고 있는데, 예전 그가 담당했던 스케일 큰 영화들과 달리 이 영화에서는 눈물겹도록 애절한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다. 로저 윌리엄스가 연주하는 테마곡과 라흐마니노프의 곡인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랩소디'는 영화를 떠나 우리에게 아련한 옛 추억에 잠기게 하는 매력적인 곡이다. 숨겨진 보석과도 같은 사운드트랙이다. |
|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에 등장하는 오드리 헵번의 이미지는 아직까지도 많은 광고에서 차용되고 있을 정도로 인기가 있다. 도회적 스타일의 세련된 영화답게 음악을 맡은 헨리 멘시니는 재즈적인 어프로치와 더불어 라틴 리듬도 섞어 넣는등 밝고 경쾌한 느낌의 사운드를 많이 사용하여 영화적인 재미를 더해 주고 있다. 영화 속에서 오드리 헵번이 창가에서 기타를 튕기며 부르던 'Moon River'는 이제 전설이 되어 버렸다. |
|
긴 러닝 타임으로 인해 텔레비젼에 방송될 때마다 제대로 끝까지 보지 못하고 중간에 자버린 기억이 있는 영화다. 비비안 리와 클라크 게이블이라는 당대 최고의 배우들로 인해 영화음악은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막스 스타이너가 들려주는 스케일 큰 영화음악은 두 주인공의 사랑과 애환을 드라마틱하게 그려 나가고 있다. 특히 타라의 테마는 비비안 리가 지닌 이미지와도 너무나 잘 어울려 오랜 동안 기억에 남는 선율이 되었다. 이제는 이런 영화가 다시 나오기를 기대하기는 너무 힘이 들지 않을까. |
|
명절 때만 되면 으레히 안방을 찾는 대표적인 가족 영화다. 아름다운 풍광을 가진 알프스 산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폰 트랩 대령의 아이들과 마리아가 들려주는 노래들은 듣고만 있어도 편안하기 그지 없다. 음반에 수록된 대부분의 곡들이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을 정도로 이 영화는 가장 대중적인 고전이 되었다. 수 십년이 흘러도 언제나 변함없는 사랑을 받는 몇 안되는 영화 중의 한 편으로 현실 속의 시름을 잠시나마 있게 하는 환타지(?) 영화라고 해도 좋지 않을런지^^ |
|
어릴 적 페드라를 외치며 안소니 퍼킨스가 절벽으로 차를 몰고 가던 장면을 보고는 굉장히 섬찟하다고 생각한 영화였다. 그때 흘러 나오던 음악도 마찬가지였고, 그런 기억이 있었던 탓에 지금도 이 영화를 보면 사랑이라는 것보다는 공포라는 단어가 먼저 연상이 된다. Goodbye John Sebastian 이 한 곡만으로도 이 음반은 들어볼 만한 가치가 있다. 멜라니 메르쿠리의 보컬도 매우 처량하고 구슬프게 들린다. 미키스 테오도라스키의 음악은 이 영화를 아름답게 그리고 있지만 왜 나는 아닐까^^ |
|
영화 '스타 워즈'에 사용된 메인 테마는 이야기가 필요없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 되어 버렸다. 존 윌리엄스는 관악기를 사용한 스펙타클한 사운드를 만들어 내는데는 일가견이 있는 것 같다. 존 윌리엄스의 음악이 흐르면서 주인공이 악당을 물리칠 때 환호와 함께 마구 박수를 쳐대던 어린 시절이 떠오른다. 음악이 이처럼 사람들에게 오랜 동안 각인되기는 쉽지 않은데 그가 만들어 낸 사운드가 이처럼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랑을 받고 있는 걸 보면 대단한 것 같다, 이제 스타 워즈의 메인 테마는 영화와 함께 전설이 되어 버렸다. |
|
크쥐스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과 즈비그뉴 프라이즈너의 만남은 경건함과 엄숙함 그 자체다. 영화 전편을 통해 흐르는 도덕적 계율과 운명에 관한 이야기는 프라이즈너의 음악을 빌어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프라이즈너는 유려한 오케스트레이션과 웅장한 스케일의 사운드와 같은 가장 정공법적인 영화음악을 선택한다. 키에슬로프스키와 프라이즈너는 이 영화 이외에도 십계, 삼색 시리즈 등에서 호흡을 맞추고 있는데, 전부 훌륭한 음반들이다. 그 중에서 십계는 어럽게 구해서 더욱 애정이 가는 음반이다. |
|
컬트광들에 의해 마치 교주처럼 숭배되는 데이비드 린치 감독 특유의 재기가 빛을 발하는 드라마로, 이 드라마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은 안젤로 바달라멘티의 음악이다. 드라마가 가지는 음산하면서도 우울한 느낌과 달리 메인 테마는 아주 서정적이다. 하지만 그 서정적인 이면속에 드리워진 음울하면서도 몽환적인 사운드가 바로 안젤로 바달라멘티의 힘이다. 그리고 줄리 크루즈가 들려주는 The Nightingale, Into The Night, Falling도 뺴놓을 수 없다. 그녀의 신비로운 음색은 사람을 몽롱하게 만든다. |
|
영화 내용으로 따지자면 남녀간의 사랑이야기로 별다른 것이 없는 진부한 것이지만, 모든 대사가 샹송으로 처리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한 형식의 영화였고, 당시로서는 실험적인 시도였다. 예상과 달리 이런 파격적인 형식의 시도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샹송이 가지는 멜랑꼴리한 분위기와 투명하고 깨끗한 원색의 과감한 사용은 마치 한 편의 동화를 보는 듯 했다. 미셀 르그랑이 만든 음악은 적재적소에 사용되어 영화적인 재미를 더해주며, 특히 메인 테마는 입으로 흥얼거릴 정도로 익숙해진 곡이 되었다. |
|
오프닝 타이틀이 올라가면서 스코트 조플린의 렉 타임 'The Entertainer"가 흘러 나온다. 너무나 유명한 곡이어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1930년대 대공황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사기극을 다루고 있는데, 영화는 시종일관 경쾌하고 유쾌하다. 이런 영화적 분위기는 영화음악을 담당한 마빈 햄리쉬의 음악적 공도 컸다. 젊은 시절의 로버트 레드포드와 폴 뉴먼의 능청스러운 연기가 일품이었던 영화로, 도저히 1930년대라고는 봐주기 힘들 정도로 아주 낙천적이고 기분 좋은 사운드트랙이다. |
|
베르너 헤어조그 감독의 영화 '피츠카랄도'를 보면서 알게 된 그룹이 있었다. 독일의 아방가르드 그룹 '포폴 부'가 바로 그들이다. 고블린, 텐저린 드림 등 당시 유럽 영화에는 프로그레시브 록 그룹 등 다양한 그룹들이 영화 사운드트랙에 참여했는데, 포폴 부도 영화 작업을 통해 자신들의 음악적 스타일을 영화에 잘 녹여 내었다. 특히 베르너 헤어조그와의 작업에서 그들의 음악은 빛을 발했다. 인간의 광기와 자기파멸이라는 베르너 헤어조그 감독의 주제를 포폴 부 만큼 잘 표현한 그룹은 없을 것이다. |
|
이 영화는 잘 몰라도 밥 딜런의 'Knockin' On Heaven's Door'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개를 끄덕일 거다. 수정주의 서부극이라고 할 수 있는 샘 페킨파 감독(영화 '와일드 번치'로도 유명하다)의 이 영화에서 밥 딜런은 특유의 읊조리는 듯한 보컬과 통기타로 이 곡을 멋들어지게 불러 주고 있다. 원래 영화음악은 스코어 곡만을 주로 선호하는데, 이 곡은 예외적인 경우다. 밥 딜런이 들려주는 음악은 시종일관 영화의 분위기를 내려 누르며 샘 페킨파가 보여주는 아웃사이더적인 이미지를 잘 부각시켜 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