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절판


"한 달에 몇 권을 읽느냐?"라는 질문은 그를 난처하게 만든다고 한다. 사실 그에게 '몇 권을 읽었느냐'라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책을 읽다가 책 내용에 어떤 책 이야기가 나오면 그 책을 또 사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가 진행된다.
"책 안에서 다른 책을 소개하면 그걸 읽고 싶어서 미치는 거예요. 내가 가지고 있는 책 가운데서 못 찾으면 다시 살 수밖에 없지요.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도서관에서 빌려보기도 하고요. 그런데 그 읽고 싶은 책이 손에 들어오기까지의 2~3일은 눈에 아른거려서 다른 일에 방해가 될 정도예요. 그래서 나는 혼자 늘 바빠요. 할 일이 늘 있지요."-132쪽

"제가 그리스 문인 카잔차키스를 좋아하는데, 그 사람이 자서전에서 이런 말을 했어요. '서가에 꽂혀 있는 책을 어떻게 다 보겠는가. 꽂혀 있는 책을 계속 들여다보면 그 내용을 다 알 수 있다.'라고. 저는 그 작가의 그런 점이 굉장히 맘에 들어요."-183쪽

만 권의 책을 읽고 만 리의 길을 걸으면, 가슴속에서 온갖 더러운 것이 제거되어 절로 구학이 마음속에서 생기고, 산수의 경계가 만들어져 손 가는 대로 그려내니 이 모두가 이루어진 것이 산수의 전신이다.
-동기창의 <<화론>>중에서-192쪽

"책을 쓰면 마음이 너무 시원해요. 저에게는 글을 쓰는 게 스트레스를 푸는 소중한 일이에요. 세상 일은 내 마음대로 움직여 주지 않잖아요. 그런데 글은 제 마음대로 쓸 수 있거든요. 그것만으로도 저는 너무 즐거워요. 내가 만약에 글을 쓰지 않았다면 미치고 말았을 거예요. 하하하."-225쪽

책을 많이 읽어라. 읽다 보면 깨닫는다. 단, 사색을 통해 이해하며 읽어야 한다. 비행기로 두 시간 안으로 도달할 수 있는 나라의 언어는 반드시 할 줄 알아야 한다. 영어는 기본이고, 중국어, 일본어, 필리핀어, 러시아어, 이 중에 하나는 해야 하지 않나?
현장에 가봐라. 책으로만 읽어서는 알 수 없는, 느낄 수 없는 그런 것들이 현장 속에 있다. 하다못해 농촌체험이라도 해라. 가까운 곳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인턴을 해보면 대략 그 분야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런 시간을 가져 보면 자기 인생의 큰 좌표가 생길 것이다.
남들이 권하는 삶을 살지 마라. 자기만의 삶을 살아라. 자기가 정말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을 해라. 그래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천재는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이다. 그래야 몰입이 일어난다. 그래야 뭔가를 이룰 수 있다.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생각을 맡기는 것이다. 그것은 그 어떤 것보다 굴욕이다.
-283쪽

"책을 읽으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사고의 폭이 넓어집니다. 물론 사고의 폭은 일상 속에서 넓어지기도 하고,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서 넓어지기도 하지요. 늘 그럴 수만 있다면 책을 읽을 필요가 없을 겁니다. 나보다 훨씬 더 풍부한 경험을 가진 사람과 만나서 나에게 필요한 이야기만 들을 수 있다면 그것처럼 좋은 방법이 어디 있겠어요? 하지만 그게 쉽지가 않잖아요.그러니 부지런히 내 스스로가 자신의 생각과 사고를 만들어갈 수밖에 없는 거지요.그 방법으로 책 읽기보다 좋은 것은 없습니다."-329쪽

"독서의 시작은 일단 책을 사는 겁니다. 안 읽어도 좋으니까 보고 싶은 책을 사라고 하고 싶어요. 당장은 안 읽고 쌓아놓는다고 해도 언젠가는 읽게 될 겁니다. 책 쇼핑 한 번 해보세요. 굉장한 희열을 느낄 겁니다."-394쪽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큐리 2011-08-22 0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찜은 했지만... 구입하기엔 좀 망설여지는 책인데..결국 구압할거 같아요..읽은 소감은 어떠셨는지..??

자하(紫霞) 2011-08-22 11:49   좋아요 0 | URL
혹시 오프라인 서점에 가신다면 꼭 한 번 훑어보고 구입하시기를...
제 동생은 뒷부분은 차마 못읽겠다며 책을 돌려주었죠.ㅋ

2011-08-28 05: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8-31 1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