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 서울대생 1100명을 심층조사한 교육 탐사 프로젝트
이혜정 지음 / 다산에듀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 좀 한다는 서울대생 중에서도 최우등생들.

그들은 어떻게 A+를 받을까요? 그들의 학습 방법은 뭐가 다를까요? 뭔가 비결이 있거나, 일반적인 학습법과는 다를 거라는 예상을 싹 뒤집어 버렸습니다. 초, 중, 고등학교 학습법이 고스란히 서울대에서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던 것입니다. 왜?! 그렇게 안 하면 학점이 제대로 안 나오니까!

 

최우등생들의 학습 전략을 연구한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대학 교육의 현실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책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학생, 학부모는 물론 교수, 대학, 정부 등 교육과 관련된 주체라면 꼭 고민해 봐야 할 문제를 담고 있습니다.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 vs 수용적 사고력

생각하는 방법과 능력을 뜻하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입장의 수용적 사고력. 서울대 최우등생들 역시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 했습니다. 학교와 국가는 창의를 부르짖고 있지만 창의력 향상 교육 따로 시험공부 따로인 현실이잖아요. 초등학생들부터가 그렇거든요. 교과서만 바뀌었지 가르치는 사람의 교육 방식은 그대로고, 평가 기준도 달라진 게 없고, 대학 졸업 후 취업에도 우수 학점이 우선인걸요. 



서울대 최우등생들의 학습 연구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여러 사례를 보면, 학점을 잘 받기 위한 특별한 공부법은 교수의 평가 기준에 따라 달라지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교수의 평가 기준은 한마디로 대학이 원하는 능력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낳게 되고, 이는 교육의 방향을 고민해보게 합니다. 이런 모습을 통해 대한민국 교육이 진정한 인재를 키우고 있는가 생각해봐야 합니다.



일단 적고 보는 노트 필기, 구어체로 교수님이 하는 말을 그대로 죽어라 적는 노트 필기, 예습 안 하고 복습만 열심히 하는 고학점 전략 학습에서 도대체 무슨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비판적 창의적 학습은 수용적 학습 후에야 가능한 것이 아니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짚어주고 있습니다. 수용적 학습을 계속하다 보면 언젠가 비판적 창의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교수들조차 의견을 나누지 않고 나서지 않는 쪽을 택하는, 질문을 발견하는 눈이 길러지지 않는 교육. 생각을 자라지 못하게 하는 시스템에서 받은 교육이었기에 질문 하나조차 제대로 못하지요. 오바마 대통령이 대한민국 교육을 극찬했을 때 정작 우리 국민들은 실소를 금치 못 했을 겁니다.

 

A+를 받는 학생. 그렇다면 학교는 어떤 학생에게 A+를 주느냐는 질문으로 바꿔볼 수 있겠습니다. 서울대는 비판적 창의적 학습자보다 수용적 학습자가 많은 비율이 학년이 올라가도 차이가 없지만, 서울대의 비교 대상으로 삼은 미시간대는 수용적 학습자로 입학한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판적 학습자로 증가하는 비율이 컸습니다. 즉, 미시간대는 비판적 학습자로 바꿔 졸업 시키는 겁니다.  

 

서울대 최우등생들은 수용적 학습 위주의 수업에 유리한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이는 서울대와 미시건대의 평가 기준이 전혀 다르며 결국 평가 기준에 따라 학생들의 공부법은 그 전략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서울대는 결국 교수 중심 수업을 하고 있다는 결과가 됩니다. 학생의 학습 방법과 교수의 교육 방법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선 대학 정책 차원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변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말로는 리더를 키운다느니 다양성을 장려한다드니 하면서 정작 대학에서조차 수용적 사고력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평가하고 있으니......



창의, 창조를 외치는 대학과 국가의 실제 현실은 참담합니다. 대학이 배출한 인재가 이런 식이고, 창의적이 되도록 허용하지 않는 사회 시스템에서 우리는 왜 대학 교육을 받는지, 어떤 능력을 가진 인재가 되기를 기대하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지식소비자가 아닌 지식생산자를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 하건만, 현재 우리나라는 어떤 능력을 가져야 성공적인 인재로 판단하고 있는지는 서울대 최우등생들의 학습 전략을 보기만 해도 감이 오지요. 철저한 절제와 자기 조절을 통해 주어진 지식을 잘 암기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최대한 완벽하게 흡수하는 사람을 우리 사회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리더십이 뛰어난 사람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아이의 성적은(또는 내 학점은) 소중하니까요~' 라는 생각이 먼저 들 수밖에 없는 평범한 학부모(학생) 입장에서는 솔직히 이 책에 소개된 서울대 최우등생들의 수용적 학습 전략에(아, 이렇게 해야 고학점을 받는구나하며) 길이 먼저 가는 현실이 씁쓸하기도 합니다.

 

교육과 관련된 모든 관계자가 저자가 알려주는 교육의 현실과 문제점, 개선 방안을 잘 이해하고 적용하면 좋겠어요. 교육 시스템 변화는 생각 외로 시간 낭비도 아니고 어렵지 않다는 것을 저자는 해외 사례를 통해 잘 알려주고 있거든요.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아닌, 해야 하는 걸 잘 하려고 노력하는 것에 세계 최고의 능력을 가진 최우등생들과 그런 치열한 자기통제 능력이 최고가 되도록 키워내는 한국 교육 시스템에서는 ​설레는 꿈과 청춘의 열정을 찾아볼 수도 없을뿐더러 창의,창조 사회를 지향한다는 목표 역시 이뤄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