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도사 사회
송병기 지음 / 어크로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자도생 하라더니 이제는 각자도사인가요. 각자 알아서 살고 각자 알아서 죽는 사회.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존엄한 죽음은 불평등합니다.


여러 나라의 요양원, 호스피스, 요양병원, 대학병원에서 현장 연구하며 죽음과 불평등의 관계를 탐구한 의료인류학자 송병기 저자의 책 <각자도사 사회>. 집, 노인 돌봄, 호스피스, 콧줄, 말기 의료결정에 이르기까지 생애 말기와 죽음의 경로 속에서 한국 사회의 현시점을 들여다봅니다.


언제부터 죽음이 개인의 능력에 달린 문제가 되었을까요. 우리는 최대한 천천히 늙기를, 덜 아프기를, 깔끔하게 죽기를 바랍니다. 여기서 저자는 묻습니다. 존엄하게 죽기 위해서는 존엄하게 살 수 있는 사회 안에 있어야 하지 않겠냐고 말입니다. 현실은 일하다가 죽고, 가난해서 죽고, 학대로 죽고, 고립으로 죽고, 차별로 죽습니다. <각자도사 사회>는 존엄한 삶과 죽음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합니다.


"생명은 연장됐는데, 한국 노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자살한다. 정년의 개념은 온데간데없고, 일자리가 최고의 노인복지로 여겨진다. 오늘날 미래는 재테크나 노후 준비를 뜻하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사람들은 미래에 죽을까 봐 두려운 게 아니라 죽지 못해 살까 봐 두려워한다." - 책 속에서


집에서 자다가 죽으면 호상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요즘 현실에서는 누락된 맥락이 있습니다. 노인 빈곤율이 극심한 현실에서 과연 그 집은 안식처일까요, 고립된 장소일까요. 환자와 돌봄 제공자의 삶의 조건에 따라 생애 말기 돌봄 수준이 크게 달라집니다. 여전히 돌봄은 불안정한 노동, 의료, 복지 구조 속에서 여성이 최저임금을 받으면서 하는 일입니다.


고관절 수술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지자 요양원에 들어간 한 노인은 매일 팥죽을 먹는 간식 시간이 그렇게도 싫지만, 억지로 먹고 자리를 뜹니다. 그래야 일하는 분들과 딸에게 짐이 되지 않으니까요. 팥죽 간식을 거부하면 괴팍한 노인으로 낙인찍힙니다. 개인의 기호는 사라집니다. 이조차도 자신의 취약함을 온갖 서류로 증명해야만 가능합니다. 불편한 문제가 없는 좋은 돌봄을 원한다면 그에 합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나 커뮤니티 케어 같은 현행 제도들이 왜 만들어졌는지, 요양원과 요양병원은 늘어났는데 왜 돌봄 노동자 수는 부족한지, 이는 어떤 문제로 이어지는지 조목조목 짚어줍니다. 환자, 보호자, 의료진 각각의 입장을 들여다보며 제도와 현실의 불일치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들려줍니다.


일명 콧줄이라 불리는 비위관 삽입. 요양원과 요양병원에서 일상적 의료행위로 자리 잡았습니다. 저자는 인공적인 비위관 삽입이 환자의 상태와 삶의 질을 충분하게 향상시키지 않고 수명만 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건 아닌지 의문을 던집니다. 물론 비위관 삽입을 애초에 제외하고 최대한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 요양원도 있습니다.





이제는 재택사보다 병원사가 늘어났습니다. 생애 말기 돌봄과 죽음이 환자, 보호자, 의료진 간의 협상과 결정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해법은 여전히 안갯속에 있습니다.


무의미한 연명의료 없이 자연스러운 죽음에 이르는 길 앞에 놓인 장애물이 참 많습니다. 노인 자살, 간병 살인, 고독사 그리고 안락사까지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타인의 돌봄 관계에 수많은 문제들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저마다의 이유로 언제까지 살 수 있는지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는 죽음의 타이밍을 고민할 뿐입니다.


무연고 사망자 문제를 우리 사회가 어떤 관점으로 다가가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봅니다. 비혼, 저출산, 고령화, 가족 해체를 원인으로 가족 유대감을 강조하는 해법으로만 접근하는 기존의 처방에 의문을 표합니다. 저자는 1인 가구, 동거 가구, 동성 가구, 비혼 가구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체계와 규범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합니다. 연명의료결정, 장례식 등의 문제에서 혼자 사는 사람의 죽음을 시민 연대, 사회적 친족 개념으로 다가서도록 촉구합니다.


웰다잉 담론에 대해서도 생각할 거리를 던져줍니다. 능동적인 죽음 준비 과정이라는 담론을 담은 웰다잉이 간과하는 것은 없을까요. 좋은 죽음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개인, 질병과 돌봄을 오히려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기 쉬워진다고 합니다. 역설적으로 웰다잉이 유행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좋은 죽음을 맞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참고문헌으로 수록된 도서 목록에서도 읽어보고 싶은 책이 많았습니다. 주제는 묵직하지만 간결하고 명확한 문체로 풀어내는 책이라 부담스럽지 않게 읽어낼 수 있는 책입니다.


존엄한 돌봄과 죽음을 희망하지만 노화, 질병, 돌봄, 죽음을 이 사회가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의료인류학자의 시선으로 짚어준 <각자도사 사회>. 한국의 기이한 의료체계, 빈약한 사회보장, 정의롭지 못한 돌봄의 배치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좋은 사회에 대한 고민과 좋은 죽음이 결코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