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치료
양유성 지음 / 학지사 / 2008년 6월
절판


우리의 삶을 주도하는 많은 지배적인 이야기들은 우리가 어린 시절 겪였던 가정과 학교와 지역사회의 경험 속에서 생긴 것이다.-24쪽

당신의 현재 삶의 이야기는 진실하고, 자유롭고, 만족스럽고, 희망 찬 것입니까?-71쪽

어거스틴은 인간의 내면 속에서 이미 지나간 과거는 기억으로, 지나가고 있는 현재는 직관으로, 아직 오지 않은 미래는 기대 속에서 파악된다. -72쪽

다양한 사람들에 의하여 구성된 다양한 집단이 각기 자신들이 경험한 세계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이다.-117쪽

다른 사람을 안다는 것은 그 사람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그 사람이 경험한 대로 그 실재를 함께 경험하는 체험을 뜻한다. 만일 누군가 다른 사람을 진정으로 알고자 한다면 친밀한 융합, 즉 해석학적인 이해가 일어나야 한다. -130쪽

상징이 삶의 세계에 존재하지만 은유는 논리적인 세계에 존재하며, 은유는 상징을 명료하게 하는 차원에서 있는 것이다. 은유는 상징에 대해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며, 상징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들을 끊임없이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더러운 때"는 상징적인 것이지만, 은유는 "더러운 때"라는 상징을 죄와 악의 은유로 보고 해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은유와 상징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속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다. -173쪽

들어주는 것

들어줄 때 마음의 문을 열어 준다.
들어줄 때 우리로 하여금 우리 자신에 관해 알게끔 한다.
들어줄 때 우리 자신의 삶에 대한 영감을 준다.
들어줄 때 우리는 사랑받는다고 느낀다.
들어주는 것은 우리에게 친밀감을 불어넣어 준다.
들어주는 것은 우리를 한 마음으로 묶어 준다.
들어주는 것은 우리의 마음과 영혼을 만족시켜 준다. -2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로'라고 하는 데 가을같다. 더위 속에서도 하늘이 맑으면서 높게 보이고, 파랑색과 흰색의 구분이 선명하고 한참이나 멀리 있다. 선뜻하니 서늘한 기운도 느껴진다. 오지 않는 아이들을 기다리며 MBTI 관련 글을 읽었다.  나를 알고 서로를 알면 훨씬 행복할 텐데... 알고자 하지 않고 바꾸려고만 한다. 큰소리가 오가고 상처를 주고 받으며 헤어지기도 한다.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먼저 나를 잘 봐주는 거, 타고난 성격을 이해하는 게 우선이다. 그리하면 행복할 수 있단다...  참, 영화 '아저씨'를 보는데, 뜬금없이 누구에게나 옆집아저씨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동체, 대가족, 서로에게 기꺼이 아저씨, 아줌마가 되어야 더 나은 미래가 되지 않을까. 너무 각박하다. 제새끼도 버리고, 에미에비도 모른 척하는, 자기만의 동굴에 갇혀, '누구세요' 하는 얼굴로 살고 있으니, 옆집아저씨가 있으면 좋겠다. 옆집아줌마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격의 재발견 -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 탐구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 지음, 정명진 옮김 / 부글북스 / 2008년 4월
절판


인간 행동에 나타나는 다양성이 겉으로 보기에는 우연히 일어나는 것 같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는 행동의 차이가 정신의 기능에 나타나는 몇 가지 근본적이고 관찰 가능한 차이에 따른 논리적인 결과인 것이다. 이 근본적인 차이들은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을 쓸 때 선호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람들이 인식하는 방식과 판단하는 방식 때문에 그런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인식(perceiving)은 사물이나 사람, 사건, 아이디어를 자각하게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판단(judging)은 그렇게 지각된 것들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포함한다. 종합하면, 사람의 전체 정신 활동 중에서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인식과 판단은 그 사람의 외부 행동의 상당 부분을 지배하게 된다. 그 이유는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볼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인식이고, 그렇게 본 것에 대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판단이기 때문이다. -32쪽

두 사람이 어떤 상황을 다루는 문제를 놓고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고 가정해 보자. 그 어려움은 서로 다른 성격유형이 두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한 결과일 수도 있다. 두 사람이 똑같은 사실들을 알지 못하거나, 똑같은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거나, 똑같은 결과를 예측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그 문제에 대해 서로가 부분적인 지식만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은 그 모든 것을 종합할 수 있어야 한다. 두 사람 모두, 잘 발달했든 그렇지 않든 간에, 4가지 종류의 정신작용을 두루 이용할 필요가 있다. 관련 사실들을 긁어모으는 데는 감각이, 유익한 모든 조치를 살피는 데는 직관이, 그 결과를 결정하는 데는 사고가, 그 결과가 두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는 데는 감정이 필요하다. 두 사람 모두의 인식과 판단을 종합할 경우에 두 사람에게 똑같이 효과적인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197쪽

성격유형은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잘 개발할 수 있는 인식과 판단의 종류에서 차이가 난다. 이 선호는 타고나는 것이며, 그것을 거꾸로 돌려놓으려고 아무리 노력해봐야 소용없다. 선호를 바꾸려다 그만 인식과 판단의 발달을 가로막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280쪽

행복하고 유능한 사람과 행복하지도 유능하지도 않은 사람 사이에는 눈으로 관찰 가능한 차이점이 한 가지 있다. 그 차이의 상당 부분은 판단력의 질적 수준으로 돌려질 수 있다. 만약에 훌륭한 판단이 보다 나은 대안을 발견하고 거기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이라면, 행복하고 유능한 사람의 판단은 대체로 훌륭하고 무능한 사람의 판단은 꽤 나쁠 것임에 틀림없다. -305쪽

그러므로 어린 시절에 꼭 필요한 것은 아이들의 자신의 품행과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아주 어린 아이들이 간단한 규칙을 따를 때, 그에 따른 결과는 어른들의 인정과 확신, 보상의 태도로 나타나야 한다. 또 보너스로 아이들은 결정을 스스로 내릴 자유를 한껏 누릴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이 알고도 잘못된 일을 저지를 때, 그에 따른 결과는 일관되게 아이의 비위에 거슬리는 것이어야 한다. 그런 조건이라면,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말과 정해진 규칙을 중력의 법칙 만큼이나 명확하게 지켜야 한다는 점을 배우게 된다. 그러면 아이들은 나쁜 짓보다는 옳은 일을 찾아 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한 삶의 현실이라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자신의 품행에서 옳은 것과 나쁜 것을 구별한다. 아이들은 당장에는 옳은 일이 덜 재미있고, 덜 매력적이고, 덜 유쾌할지라도 그 일을 할 동기를 갖게 된다. 이것이 판단의 시작이다. -30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새 바람이 불고 비가 왔다. 태풍은 대단했다. 조심하면서 일찍 나갔다. 외부환경이 거칠고 힘들면 도로위는 긴장이 감돌고 모두가 조심을 더한다. 모임이 늦게 시작되었다. 사람들에게 준비하고 아는 만큼 전달했다. 잘 되던 컴퓨터도, 미리 세팅까지 해 뒀는데,  제대로 열리지 않아 흑기사를 부르게 했다... 멀리서 온 동료들과는 눈인사조차 못하고 보냈다. 점심을 먹으러 간 식당, 오마이갓!  암흑이다. 방금 전기가 나갔단다. 우린 문화인인가? 미리 예약을 해 둔 밥상을 촛불 켜 놓고, 육수를 흘리며, 어디로 밥이 들어가는지, 무엇을 먹는지... 이런 일도 다 있다. 오후엔 책만 읽었다. 졸면서... 손에서 책이 떨어지는 찰라 잠이 깼다. 하늘이 맑다. 또 덥다... 그래도 구월이 되니 공기와 하늘이 조금 다른 거 같지 않니??? 믿거나 말거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죽도록 책만 읽는
이권우 지음 / 연암서가 / 2009년 5월
장바구니담기


오늘의 우리도 쌀을 얻으려고 경쟁한다. 그렇지만, 그 쌀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는 고민하지 않는 듯하다.-39쪽

'고등'하다 자부한 종교들이 우리네 삶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무엇을 해왔던가.-114쪽

한비자는 말한다. 호랑이가 개를 능히 제압할 수 있는 것은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군주도 형벌과 덕으로 신하를 제압해야 하는 법이다. 뛰어난 리더에 대한 정의도 귀담아들을 만하다. "다른 사람이 나를 애정으로 대하지 아니할 수 없는 방법을 사용하지. 다른 사람이 애정을 베풀어 나를 위해 일하기를 기대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군주에도 등급이 있으니 제일 낮은 수준은 자신의 능력을 다 발휘하는 자이고, 중간은 다른 사람들의 힘을 다하게 하는 이다. 그렇다면 최고수준은? "다른 사람의 지혜를 다하게" 만드는 이란다.-153-154쪽

문명교류가 오늘날 의미를 띠게 되는 것은, 나와 다른 것을 존중할 줄 아는 의식을 키워주었기 때문이다.-172쪽

아이들이 당장 한 쪽짜리 글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것은 생각하는 힘이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각하는 힘이 모자란 것은 꾸준히 책을 읽지 않아서 그러했다. 더욱이 책읽기는 사람을 성장시키고, 자신과 세상을 새롭게 발견하게 하며, 스스로 성찰하게 하면서 기쁨과 위안, 그리고 휴식을 주지 않던가. 그렇다면 길은 오직 하나뿐이다.-3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