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의 재발견 -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 탐구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 지음, 정명진 옮김 / 부글북스 / 2008년 4월
절판


인간 행동에 나타나는 다양성이 겉으로 보기에는 우연히 일어나는 것 같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는 행동의 차이가 정신의 기능에 나타나는 몇 가지 근본적이고 관찰 가능한 차이에 따른 논리적인 결과인 것이다. 이 근본적인 차이들은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을 쓸 때 선호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람들이 인식하는 방식과 판단하는 방식 때문에 그런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인식(perceiving)은 사물이나 사람, 사건, 아이디어를 자각하게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판단(judging)은 그렇게 지각된 것들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포함한다. 종합하면, 사람의 전체 정신 활동 중에서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인식과 판단은 그 사람의 외부 행동의 상당 부분을 지배하게 된다. 그 이유는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볼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인식이고, 그렇게 본 것에 대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판단이기 때문이다. -32쪽

두 사람이 어떤 상황을 다루는 문제를 놓고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고 가정해 보자. 그 어려움은 서로 다른 성격유형이 두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한 결과일 수도 있다. 두 사람이 똑같은 사실들을 알지 못하거나, 똑같은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거나, 똑같은 결과를 예측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그 문제에 대해 서로가 부분적인 지식만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은 그 모든 것을 종합할 수 있어야 한다. 두 사람 모두, 잘 발달했든 그렇지 않든 간에, 4가지 종류의 정신작용을 두루 이용할 필요가 있다. 관련 사실들을 긁어모으는 데는 감각이, 유익한 모든 조치를 살피는 데는 직관이, 그 결과를 결정하는 데는 사고가, 그 결과가 두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는 데는 감정이 필요하다. 두 사람 모두의 인식과 판단을 종합할 경우에 두 사람에게 똑같이 효과적인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197쪽

성격유형은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잘 개발할 수 있는 인식과 판단의 종류에서 차이가 난다. 이 선호는 타고나는 것이며, 그것을 거꾸로 돌려놓으려고 아무리 노력해봐야 소용없다. 선호를 바꾸려다 그만 인식과 판단의 발달을 가로막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280쪽

행복하고 유능한 사람과 행복하지도 유능하지도 않은 사람 사이에는 눈으로 관찰 가능한 차이점이 한 가지 있다. 그 차이의 상당 부분은 판단력의 질적 수준으로 돌려질 수 있다. 만약에 훌륭한 판단이 보다 나은 대안을 발견하고 거기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이라면, 행복하고 유능한 사람의 판단은 대체로 훌륭하고 무능한 사람의 판단은 꽤 나쁠 것임에 틀림없다. -305쪽

그러므로 어린 시절에 꼭 필요한 것은 아이들의 자신의 품행과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아주 어린 아이들이 간단한 규칙을 따를 때, 그에 따른 결과는 어른들의 인정과 확신, 보상의 태도로 나타나야 한다. 또 보너스로 아이들은 결정을 스스로 내릴 자유를 한껏 누릴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이 알고도 잘못된 일을 저지를 때, 그에 따른 결과는 일관되게 아이의 비위에 거슬리는 것이어야 한다. 그런 조건이라면,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말과 정해진 규칙을 중력의 법칙 만큼이나 명확하게 지켜야 한다는 점을 배우게 된다. 그러면 아이들은 나쁜 짓보다는 옳은 일을 찾아 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한 삶의 현실이라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자신의 품행에서 옳은 것과 나쁜 것을 구별한다. 아이들은 당장에는 옳은 일이 덜 재미있고, 덜 매력적이고, 덜 유쾌할지라도 그 일을 할 동기를 갖게 된다. 이것이 판단의 시작이다. -30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