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환적이다. 잠시 헤갈렸다. 이렇게 많은 곳을 다녀서 쓴 글이 아니라 꼭 소설속의 배경같은 느낌이랄까. 긴가민가하면서 나또한 여행을 다녔다. 조금만 젊었어도 책을 덮었을 것이다. 샘나서... 천천히 이곳 저곳을 다녔다. 내가 가본 곳은 달리 달랐다. 같이 여행을 다니면서 각자의 눈으로 보고 있다는 착각이 들었다. 작고 아담한 들꽃화분을 햇볕잘드는 창가에 놓아 둔것처럼, 잔잔한 감동이 조금씩 밀려오고 이런 식의 여행도 행복할 수 있다는 생각까지... 오랫만에 머문 사무실이 무지 춥고 어설펐지만, 따뜻한 온기가 퍼져갔다. 겨울이다.  모두들 건강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여행책 - 휴가없이 떠나는 어느 완벽한 세계일주에 관하여
박준 지음 / 엘도라도 / 2010년 10월
구판절판


어차피 모든 여행은 한낮의 꿈이 아니던가. 꿈을 꾸면서까지 현실적이어야 할까? 꿈에서 깨어난다고 꿈속의 시간이 모두 망각되는 것도 아니다. 세상의 모든 꿈은 그 자체로 족하다.-9쪽

인도를 여행한다는 건 엄청나게 불편하고, 심지어 무정부주의적인 혼란을 경험하는 일이다. 인도의 혼란은 가공할 만하다. 극단적으로 이그저틱(exotic)하다.-61쪽

등반은 고도의 집중력과 체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다르다.-69쪽

서점이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라 특별한 공기로 가득한 곳이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서울 대학로의 이름책방처럼.-103쪽

다음 생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란 쌀알이 바늘 끝에 얹히는 것만큼이나 어렵단다. 얘야. 그래서 사람으로 살고 있는 지금의 삶이 그토록 소중한 거란다. -116쪽

파스칼은 이렇게 말했다.
"황량하고 어려운 시절에는 늘 뭔가 아름다운 것을 마음에 두어야 한다."-139쪽

알래스카 사람들은 오늘처럼 티끌없이 맑은 날을 '인디언섬머'라고 부른다. -179쪽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가장 즐거운 일 가운데 하나는 어디서나 맛있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가 흔히 '아메리카노'라고 부르는 커피는 없다. 그들에게 커피는 오로지 에스프레소뿐!-210쪽

교토의 많은 곳이 그렇지만 아라시야마도 산책하기 좋은 작은 동네다. 어느 집이나 현관 앞 또는 낮은 담 위에 내놓은 화분들이 가지런하다. -248쪽

캄보디아에서는 거친 삶에 맨몸으로 맞서야 하는 현실이 나이와 상관없다.-283쪽

난 늘 사랑 후에 남겨질 것을 의심했다. 산다는 것이 참을 수 없을 만큼 가볍게 느껴질 때 사랑은 따뜻하면서도 쓸쓸하다. 누군가는 사랑하기 위해 결혼을 하고, 누군가는 행복해지기 위해 이혼을 한다. -324쪽

이제는 안다. 지금 당장은 아무것도 하지 않은 듯 보이지만, 이 순간은 이 순간대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없어도 그만이다. 그러니 조급하게 굴지 말고 이 순간을 즐길 것!-335쪽

인간이 알고 있는 세계, 인간이 의식하는 시간이 전부가 아니다.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직선적인 시간을 살지만 지구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자전을 하며 낮과 밤이 반복되고, 공전을 하며 사계절이 반복되는 것처럼, 앞으로 몇백 몇천 년이 지나도 지구는 돌고 또 돌 뿐이다. -3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신분석강좌를 들으러 갔다가 깜짝 놀랐다. 많은 남녀노소... 의외였다. 관심있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니, 프로이트는 위대하다. 강사또한 재미있다. 나를 들여다 보는 시간이다.

프로이트와의 대화를 충분히 한 강사는 체험에서 우러나는 강의를 한다. 책과 강의는 거의 유사하지만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된다.  

현재 의식에서 하고 있는 이해가 안되는 나의 행동들은 무의식때문인가? 그렇다. 이러한 행동들은 느리게, 아주  느리게 수정될 것이다. 건강한 현재의 자아를 통하여 분석하고 해석하고 통합해야 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로이트와의 대화
이창재 지음 / 학지사 / 2004년 11월
장바구니담기


프로이트 이후 무의식에 휘둘리는 제반 증상들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새로운 정신분석 이론과 방법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그 어느 학파도 프로이트만큼 무의식에 대한 솔직한 직면과 자기성찰의 가치를 집요하게 강조하진 않았다. 또한 프로이트만큼 자기 견해의 진실성을 고수하기 위해 오랜 기간 현실적 불이익을 감수한 정신분석학자는 찾아보기 힘들다. 고통스러운 상황을 견디어 내는 힘의 이면에는 '진지한 솔직함'이라는 유별난 정신적 특성이 있었다. -18쪽

정신분석은 과거에 감당할 수 없어 억압했던 상처들을 분석 과정을 통해 성숙해진 '현재의 자아'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통합함으로써 증상과 질환을 제거하는 일종의 마술이다.-70쪽

프로이트는 '억압'이 정신분석의 토대가 되는 개념임을 강조한다. 그 이유는 억압 작용으로 정신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분열되고 그 분열이 계속 유지되며, 꿈과 실수와 증상과 더불어 인간 사회의 문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96쪽

프로이트는 내담자들을 정신분석 하는 과정에서 신경증의 근본 소인이 대부분 유년기에 억압되어 잊혀진 어떤 상처나 갈등에 있음을 발견한다. 주고 대여섯 살 때 억압된 상처와, 사춘기에서 청년기 사이에 겪은 유사한 상처가 서로 '결합'해 증폭되는 순간, 트라우마와 신경증적 방어와 증상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신경증자는 유아기의 상처와 환상을 무의식에 계속 보존하고 있다. 따라서 신경증을 치료하려면 무의식에 있는 무시간적 내용들을 낱낱이 끄집어내 흘러간 시간을 절감하면서 재해석해야 한다. 정신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는 한, 개인은 억압된 욕망과 상처에 죽을 때까지 반복해서 휘둘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123쪽

다시 말해, 아동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는 항상 애정 콤플렉스와 힘 콤플렉스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208쪽

프로이트가 수십 년간 다듬어 온 무의식론, 유년기론, 유아 성욕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론을 죽음 본능론에 결합시키면 다음과 같은 해석을 내릴 수 있다.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죽고 싶은 욕구를 지닌다.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살다가 죽고 싶은 욕구를 지닌다.
인간은 유년기에 그토록 부러워했던 어른들의 행동을 충분히 다 경험해 본 후, 아무런 고통 없는 원상태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285쪽

인간의 도덕관념은 '초자아'와 '거세불안'이라는 두 원천으로부터 유래한다. 초자아는 아이의 삶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양육자의 힘과 성질이 모종의 '유아적 변형'을 거쳐서 정신에 내면화된 결과물이다. 거세불안은 초자아의 명령과 요구를 자아가 거부할 경우 내면에서 자동적으로 재현되는 유아적 불안을 지칭한다.-3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머니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재미있고 구수하다.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고 말하는 작가는 할머니같다. 우리네 할머니가 들려준 이야기는 내용은 같지만 들을 때마다 달리 들렸다. 그와 같다. 중복되어 겹쳐지고 이게 이거같고 저건가하는 생각이 들다가도 또 들으면 어때. 들으면 좋은 거여. 잠도 잘오고 몸에 좋은 보약같다고 할까. 할머니가 잠잘 때 특히, 겨울 밤에 들려준 이야기를 글로써 다시 추억했다.  할머니가 보고 싶을 때, 힘이 들때 꺼내서 아무데나 읽어 보고 싶은 글이다. 머릿 속으로 그려봤던 호랑이가 담배를 어떻게 필까? 달속에서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나? 견우직녀는 지금쯤 어디 있을까? 흥부의 박씨는, 심청이는 무서워서 어떻게 뛰어내렸을까, 콩쥐팥쥐는, 혹, 울엄마가 계모일까... 무한한 상상력으로 어딘들 못갔을까, 꿈속에서 다시금 들어본다. 할머니이야기는 힘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