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  박      용      철  -

 

        비가  조록  조록  세염없이  나려와서 ... ...
        쉴  줄도  모르고  일도  없이  나려와서 ... ...
        나무를  지붕을  고만이  세워놓고  추겨준다 ... ...
        올라가는  기차소리도  가즉히  들리나니
        비에  흠추리  젖은  기차  모양은  애처롭겠지 ... ...
        내  마음에서도  심상치  않은  놈이  흔들려  나온다.

        비가  조록  조록  세염없이  흘려나려서 ... ...
        나는  비에  흠출  젖은  닭같이  네게로  달려가련다 ... ...
        물  건네는  한줄기  배암같이  곧장  기어가련다 ... ...
        검고  붉은  제비는  매끄럼이  날아가는것을 ... ...
        나의  마음은  반득이는  잎사귀보다  더  흔들리어 ... ...
        밝은  불  혀  놓고  그대의  방을  무연히  싸고  돈단다 ... ...

        나는  누를  향해  쓰길래  이런  하소를  하고  있단가 ... ...
        이러한  날엔  어느  강물  큰애기  하나  빠져도  자최도  아니  남을라 ... ...
        전에나  뒤에나  빗방울이  물낯을  튀길뿐이지 ... ...
        누가  울어보낸  눈물  아니고  섧기야  무어  설으리마는 ... ...
        저기  가는  나그네는  누구이길래  발자최에  물이  내다니 ... ...
        마음  있는듯  없는듯  공연한  비는  조록  조록  한결같이  나리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박용철(朴龍喆)  1904 ~ 1938  아호는  龍兒(용아)

    전남  광주군  송정리에서 출생
    배재고보를  거쳐  일본  동경 청산학원  중학부와  연전에  수업.
    1930년  정지용,  김영랑,  변영로,  이하윤,  정인보 등과 같이 [시문학]지를  창간  主宰하였고
    계속해서  [문예 월간],  [문학]誌 등을  발간  주재하여  해외문학을  우리나라 에  소개.
    1938년 肺患으로  永眠.  저서로는  작고후 간행된 [박용철전집] 2권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아이에  뻗어가야만  될거아니간

                                                                         -  金      宗      文  -

       

        덕산집두  싫구
        기와집두  싫구
        하꼬방이  데일  도터라
        이북엘  가문
        집이  없간
        허탕간이  없간
        빨갱이  놈들만  녹쳐디문
        난  아이예  뻗어가야만  될거  아니간

        난  베슬두  싫구
        감투두  싫구
        양키  장사가  데일  도터라
        이북엘  가문
        밥이  없간
        죽이  없간
        빨갱이  놈들만  녹처디문
        난  아이예  뻗어가야만  될거  아니간

        난  너인두  싫구
        성사두  싫구
        혼잣  몸  데이  데일  도터라
        클  클  할때문
        순이두  그려보구
        분이두  불러보구
        빨갱이  놈들만  녹처디문
        난  아이예  뻗어가야만  될거  아니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종문  (1919년)  평남  출생.
              평양 숭실중학교 졸업.  일본 早大 佛文科 중퇴.  日大 英文科 중퇴.  아데네  후란세  졸업.
              [아데네]    [詩歌] 동인.  이 詩 쓸 당시 육군  대령.  시집   < 壁 >있음. 

        이런  시  요새  젊은이 들에게는 섬찍한  불은 문서  같을까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04-26 1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적막 강산 

                                           -  백       석  -     

        

        오이밭에  벌배채  통이  지는  때는
        산에  오면  산  소리
        벌로  오면  벌  소리

        산에  오면
        큰솔밭에  뻐꾸기  소리
        잔솔밭엔  덜거기  소리

        벌로  오면
        논두렁에  물닭의  소리
        갈밭엔  갈새  소리

        산으로  오면  산이  들썩  산  소리  속에  나  홀로
        벌로  오면  벌이  들썩  벌  소리  속에  나  홀로

        定州  東林  九十여  里  긴긴  하로  길에
        산에  오면  산  소리  벌에  오면  벌  소리
        적막강산에  나는  있노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벌배 :  산야에 저절로  나는  야생  들배나무의  열매
  덜거기  :  늙은  장끼
  물닭  :  비오리, 오리과에  딸린  물새,  쇠오리와 비슷한데 좀 크고 부리는 뾰죽하며 날개는 자주색이 많아 오색이 찬란하다. 원앙처럼 암수가 함께 놀고, 주로 물가나 호숫가에서 물고기, 개구리, 곤충류 따위를 잡아먹음.

  白石(백석) 본명은 夔行(기행) 1912.7.1 평북 정주 출생
  1929년  /  오산학교 졸업 조선일보 장학생으로 일본 도꾜의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영문학 전공

 1934 년  /  조선일보 입사  1934년 <정주성>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옴
 1936년  /  시집 <사슴>을 200부 한정판 발행 조선일보 기자생활 고만두고 함남 함흥 영생여고보  교원으로 전직
 1938년  /  교원직 사임. 서울로 옴.
 1939년  /  <여성>지 편집. 만주 신찡으로감 1941년  /  생계를  위하여  측량보조원,  측량서기,  소작인  생활함.
 1945년  /  일제  패망과  더불어  귀국,  신의주에  거주하다  고향  정주로  돌아옴.
                   분단이후 한국문학사에서  매몰됨
  1987년  서울  창작사에서  <백석시전집> 간행.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연엉가 2004-04-21 17:57   좋아요 0 | URL
수암님 들렸다 갑니다... 건강하시지요??

水巖 2004-04-21 20:20   좋아요 0 | URL
여러분들이 걱정해주시니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읍니다. 고맙습니다.

ceylontea 2004-04-22 09:59   좋아요 0 | URL
*^^*

비로그인 2004-04-23 11:58   좋아요 0 | URL

                                                                 주 막 ( 酒 幕 )

       

              호박잎에 싸오는 붕어곰은 언제나 맛있었다

             

              부엌에는 빨갛게 질들은 팔(八)모알상이 그 상 위엔 새파란

            싸리를 그린 눈알만한 잔(盞)이 보였다

             

              아들 아이는 범이라고 장고기를 잘 잡는 앞니가 뻐드러진 나

            와 동갑이었다

             

              울파주 밖에는 장꾼들을 따라와서 엄지의 젖을 빠는 망아지도

            있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시인, 백석..

            할아버지께서 백석의 시를 올려주시니, 백석의 시가 한층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데요. ^^

            저도 백석의 시 중, 어떤 시를 한 편 할아버지와 함께 읊을까 고심하다, 짧지만 향토성 짙고 넉넉한 <주막>한 편 골라봤습니다. 할아버지께서도  애송하시는  시였으면 좋겠습니다~ ^^*

     

           

                                             바다

                                                                      - 백석 -

           

          바닷가에 왔드니
          바다와 같이 당신이 생각만 나는구려
          바다와 같이 당신을 사랑하고만 싶구려

          구붓하고 모래톱을 오르면
          당신이 앞선 것만 같구려
          당신이 뒤선 것만 같구려                                          

          그리고 지중지중 물가를 거닐면                                  

          당신이 이야기를 하는 것만 같구려
          당신이 이야기를 끊는 것만 같구려

          바닷가는
          개지꽃이 개지 아니 나오고
          고기비눌에 하이얀 햇볕만 쇠리쇠리하야
          어쩐지 쓸쓸만 하구려 섧기만 하구려

           

           

           

     

     

    청산학교 3학년 시절의 백석....바다로....내 사랑...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아이 2004-04-19 14:03   좋아요 0 | URL
    백석이란 이름에 솔깃해져서 찾아왔습니다. 이분 시를 저도 좋아하는지라...
    손자 이름이 진석이라고 하셨나요? 좋은 할아버지 둬서 손자분 너무 좋겠습니다.

    水巖 2004-04-19 15:48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이렇게 먼저 다녀가시니, 저도 몇번 들어갔었는데 자취를 남기진 못했군요.
    白石 시를 퍼오고서 집에가서 백석시전집을 다시 한번 읽어 보았답니다. 너무 재밌는 시가 많던데요. 알라딘 서재가 공부를 많이 시키는것 같군요.

    2004-05-01 10: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 . . .그림자가 없다>

                                                             -  金    洙    暎  -

             

            우리들의  敵은  늠름하지  않다
            우리들의  敵은  「 카크.다그라스 」나 「 리챠드.위드마크 」
            모양으로  사나웁지도  않다

           

            그들은  조금도  사나운  惡漢이  아니다
            그들은  善良하기까지도  하다
            그들은  民主主義者를  가장하고
            자기들이  良民이라고도  하고
            자기들이  選良이라고도  하고
            자기들이  會社員이라고도  하고
            電車를  타고  自動車를  타고
            料理집엘  들어  가고
            술을  마시고  웃고  잡담하고
            同情하고  眞摯한  얼굴을  하고
            바쁘다고  서두르면서  일도  하고
            原稿도  쓰고  치부도  하고
            시골에도  있고  海岸가에도  있고
            서울에도  있고  散步도  하고
            영화관에도  있고
            愛嬌도  있다
            그들은  말하자면  우리들의  곁에  있다

     

            우리들의  戰線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것이  우리들의  싸움을  이다지도  어려운  것으로  만든다
            우리들의  戰線은  당게르크도  놀만디도  延禧高地도  아니다
            우리들의  戰線은  地圖冊  속에는  없다
            그것은  우리들의  집안  안인  경우도  있고
            우리들의  職場인  경우도  있고
            우리들의  洞里인  경우도  있지만........
            보이지는  않는다

     

            우리들의  싸움의  모습은  焦土作戰이나
          「 칸.힐의  血鬪 」모양으로  활발하지도  않고  보기  좋은  것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언제나  싸우고  있다
            아침에도  낮에도  밤에도  밥을  먹을  때도
            거리를  걸을  때도  歡談을  할  때도
            장사를  할  때도  土木工事를  할  때도
            여행을  할  때도  울  때도  웃을  때도
            풋나물을  먹을  때도
            市場에  가서  비린  생선  냄새를  맡을  때도
            배가  부를  때도  목이  마를  때도
            戀愛를  할  때도  조름이  올  때도  꿈  속에서도
            깨어나서도  또 깨어나서도  또  깨어나서도
            授業을  할  때도  退勤時에도
            싸이렌  소리에  시계를  맞출  때도  구두를  닦을  때도 ......
            우리들의  싸움은  쉬지  않는다

     

            우리들의  싸움은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차  있다
            民主主義의  싸움이니까  싸우는  방법도
              民主主義式으로  싸워야  한다
            하늘에  그림자가  없듯이  民主主義의  싸움에도  그림자가  없다
            하  ...........  그림자가  없다

     

            하 .......... 그렇다 .........
            하 .......... 그렇지 .........
            아암  그렇구  말구 ......... 그렇지  그래 .........
            응응 ....... 응 .......  뭐 ?
            아  그래 ......  그래  그래.

     


           

                                                                   

                                                        ( 1960. 4. 3.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unnyside 2004-04-15 03:09   좋아요 0 | URL
    어떻게 보면, 지금의 현실에도 적용 가능한 시네요.
    많은 이들이 싸우는데, 그 대상이 모호하지요. 어쩔 때는 내 안의 것들과 싸워야 할 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시,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