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ㅣ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소설을 읽으며 여성으로서의 삶을 뒤돌아보게 되었다. 예전부터 그래왔으니까, 어쩌면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것 같다. 그런데 조남주 작가가 조목조목 따지는데, 여태 감춰두었던 감정들이 솟구쳤다. 여성으로서 차별받았던 것들에 대해 생각했다. 이 책을 읽은 여성들은 깊이 공감하며 분개하는데, 정작 이 책을 읽어보면 좋겠다는 남성들은 불편한 감정을 갖는 모양이다. 공감할 수도 없으며 재미도 없다고 여기는 듯 하다. 어쩌면 당연한 감정인지도 모른다. 본인들은 그런 차별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었을테니까.
『82년생 김지영』 소설에 이어 페미니즘 소설이 출간되었다. 일곱 명의 여성 작가들이 모여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한 소설이다. 내가 한두 번쯤은 읽어왔던 작가들이 쓴 소설이라 반가움이 앞섰다. 구병모 작가의 출간된 소설은 거의 다 읽었으니 그 기대가 컸음을 짐작할 수 있으리라. 조남주, 구병모 작가 뿐만 아니라 최은영, 김이설, 최정화, 손보미, 김성중 작가까지 가세해 소설집을 훨씬 풍성하게 만들었다.
「현남 오빠에게」같은 경우 지방에서 살다가 대학을 위해 서울로 온 여자를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와줬던 선배가 사실은 자기를 한 인간으로 존중하지 않았던 것을 깨닫게 되며 청혼 거절을 하는 편지 형식의 내용이다. 아마도 이 작품이 소설집의 첫 편에 있었기에 이 소설의 주제를 확실하게 알 수 있었고, 앞으로 이어질 소설에 대한 예감을 했었다. 최은영의 「당신의 평화」 또한 우리와 우리 어머니 세대에 대한 통찰을 담은 글이었다.
유진의 엄마 정순은 마치 엄마를 보는 듯 했다. 치매에 걸린 시할머니를 모셨던 엄마, 그렇다고 아빠한테 제대로 된 대접도 받지 못했다. 새로 결혼할 아들과 며느리에게 그 한을 풀어보고 싶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자기 속내를 딸에게 말했으나 딸 조차 그런 엄마를 피하는 형식이다. 주변에서 많이 보기도 하고 들어왔던 일들이라 공감이 더 컸다. 이외에 중학생 아들을 둔 갱년기에 접어든 한 여자의 이야기 또한 묵직한 울림을 준다. 엄마의 소원대로 의대에 가겠다는 아이가 여자애들과 성관계하는 걸로 공부 스트레스를 해소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소위 다른 엄마들처럼 내 자식만 챙기겠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서로 합의하에 했다지만 여자 아이들이 아들을 좋아했으면 어쩌려나 걱정을 했다. 여자 아이들을 만나볼까. 보통의 엄마인 아들을 걱정하기 보다 오히려 여자애들을 걱정하는 점이 특별했다.
아들과 잔 여자 아이는 공부도 못하는 애들일 것이며 내 딸은 절대 그런 애가 아니라는 이중잣대를 재는 것들을 꼬집었다. 부모가 범하기 쉬운 오류가 내 자식은 그럴 애가 아니라는 것이다. 내 자식이 아니라는 이유로 다른 여자 아이에 대한 편견은 그릇된 행위다. 그러한 감정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소설이었다.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세상이 달라졌다고 해도 여전히 여성 차별은 존재한다. 현재의 내가, 앞으로의 삶을 살아가야 할 우리 자식들의 세상엔 여성 차별이 없었으면 싶지만, 모를 일이다. 차별을 받았던 사람이 아이를 키우며 자신도 모르게 차별하며 키우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므로. 작가 노트에서 읽었던 말이 떠오른다. 무심코 남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하는게 더 쉬웠다는 생각들을.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자니 걸리는게 있었다는. 살인 사건을 수사하는 여자 형사는 섹시해서도 안되며 여성적이어서도 안된다는 우리의 편견을 꼬집었다.
여기서 한 가지 고백할 것이 있다. 여자 작가가 쓴 어떤 장르에 관한 소설은 남자 작가가 쓴 것보다 못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내가 여자이면서도 말이다. 페미니즘 소설을 읽었다고 해서 단번에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조금씩 변해가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