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대의 소음
줄리언 반스 지음, 송은주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쇼스타코비치하면 생각나는 건 음악이다. 그의 음악 중 특히 많이 알려진 게 《재즈 모음곡 2번 》의 [왈츠 2번] 곡은 영화의 인기와 더불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나는 개인적으로 리처드 용재 오닐의 비올라 연주곡을 좋아해 휴대폰 벨소리로, 휴대폰 통화연결음으로 한동안 사용했었다. 다른 곡들에 비해 부드럽고 감미로워 영화의 삽입곡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에서도 사용되어 큰 인기를 얻었고, 우리나라 영화에서는 김대승 감독의 「번지점프를 하다」에서 사용되어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곡이다. 특히 「번지점프를 하다」에서 배우 이병헌과 이은주의 숲속의 왈츠 장면은 아주 유명하다. [왈츠 2번]에 맞춰 춤을 추는데 그 장면은 매우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리처드 용재 오닐이 연주한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을 몇 곡 들었는데, 역시 다시 들어봐도 좋은 곡이었다. 연주곡과 함께 그에 관련된 내용을 읽으며 쇼스타코비치의 삶의 한 부분과 음악에 관한 신념등을 바라볼 수 있었다.
처음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을 들을때 어디선가 검색해 본 글에서, 그의 음악은 좋지만 소비에트 공산당에 협조해 그들이 원하는 음악을 만들었다는 비난을 받았다고 했다. 사실 전쟁 상황 속에서, 혹은 공산당 정치체제하에서 자신만의 순수한 음악을 만들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과거 일제 강점기에 글을 쓰는 작가들이 일제를 옹호하는 글을 썼다고 해서 친일이라 몰며 얼마나 비난을 했던가. 아마 쇼스타코비치도 그러지 않았을까 싶다. 음악이 없어서는 안될 것 같고, 음악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에트 연방의 제재를 받아야 했다. 그의 생각과는 조금 순화된, 그들이 원하는 음악을 만들어야 했다.
줄리언 반스는 어두운 시대, 시대의 소음이 가득한 곳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아 음악을 하겠다는 쇼스타코비치의 신념을 소설속에 담았다. 줄리언 반스의 글답게 건조한 문체로 쓰여진 작품인데, 소설 속에서 우리는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에 대한 열정을 만날 수 있다. 물론 자유연애자였던 그의 삶에서 사랑 이야기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운명. 그것은 전혀 손쓸 수 없는 어떤 일에 대해 쓰는 거창 단어일 뿐이었다. 삶이 당신에게 "그래서"라고 말했을 때, 당신은 고개를 끄덕이고 그것을 운명이라 불렀다. 그래서, 드미트리 드미트리예비치로 불리게 되는 것이 그의 운명이었다. (22페이지)
그 말들이 그의 음악을 보호해 주었기 때문에 그는 그대로 놔두었다. 권력층이 말을 갖게 하라. 말이 음악을 더럽힐 수는 없으니까. 음악은 말로부터 도망간다. 그것이 음악의 목적이며, 음악의 장엄함이다. (87페이지)
쇼스타코비치는 자기 삶에서 12년 마다 액운이 찾아온다고 했다. 1936년, 1948년, 1960년, 1972년. 그 해마다 자신에게 액운이 찾아왔다. 1936년의 쇼스타코비치는 음악을 사랑했던 투하쳅스키 대원수와 친구였다는 이유로 잡혀 들어가 심문을 받았다. 그와 정치적인 이야기를 했느냐, 어떤 사람들과 있었느냐, 그 사람들의 이름을 대라는 식이었다. 그 시기의 쇼스타코치는 작은 가방을 들고 승강기에 기대어 그들의 부름을 기다렸다. 아내 니타와 딸 갈리야에게 체포되는 모습을 보이고 싶지 않아서였다. 승강기에 기대 밤을 새우며 이웃집 가족이 지나가면 다시 탔다가 내리는 식이었다. 마치 어딘가를 다녀오는 모습으로. 평범하기 보이길 원했다.
쇼스타코비치가 살았던 소비에트는 자기 마음대로 음악을 만들 수 없었다. 소비에트 관객이 원하는 음악을 만들어야 했고, 그들의 검열을 받아야 했다. 정권이 바뀌고 정치가는 그에게 러시아 연방 작곡가 조합 의장으로 임명하고자 했다. 그러자면 그가 공산당에 가입해야 했다. 오직 음악만을 원했던 쇼스타코비치는 그들의 제안을 거절했다. 시간이 없을 뿐더러 자기는 작곡가이지 의장이 아니라며 자격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그들은 그를 겸손함으로 보고 끝내 그를 작곡가 조합 의장으로 앉혔다. 그가 공산당에 가입한건 당연했다.
책 속에서도 나타났지만, 공식 석상에서 공산당을 비난하는 사람을 비난했고, 글 속의 인물의 이름을 제대로 보지도 않고 사인해 넘겼다. 아마 이런 것들 때문에 쇼스타코비치가 소비에트 연방에 동조했다고 그런 것 같다.
그가 무엇으로 시대의 소음과 맞설 수 있었을까? 우리 안에 있는 그 음악 - 우리 존재의 음악 - 누군가에 의해 진짜 음악으로 바뀌는 음악. 시대의 소음을 떠내려 보낼 수 있을 만큼 강하고 진실하고 순수하다면, 수십 년 년에 걸쳐 역사의 속삭임으로 바뀌는 그런 음악. (181페이지)
순수하게 음악만을 하고 싶었던 쇼스타코비치였다. '한 달간 자신을 즐겁게 해주고 10년간 대중을 즐겁게 해줄 아름다운 음악을 효율적으로 만들고 싶었던' 그였는데. 그에게 있어 음악은 혼돈 이었을지 모른다. 음악으로 모든 것을 잊고자 했으나,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들이 원하는 일을 해야 했다. 죽음이 그의 음악을 해방시켜주는 것이며, 그의 삶으로부터 해방시켜주는 것이라고 했다. 오로지 음악 그 자체로 남기를 바랐던 작곡가로서의 쇼스타코비치의 번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