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옳은 일이니까요 - 박태식 신부가 읽어주는 영화와 인권
박태식 지음 / 비채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좋아하는 이로서 영화에 대한 이야기는 반가운 일이다. 영화를 이야기하고 영화속에서 인권을 말하는 이야기라면 더더욱 우리가 읽어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아니 생각하지 않고 있었던 것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었으니까. 영화속에서 혹은 소설속에서 폭력에 저항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면 새로운 이야기를 만난듯 느껴지는 건 그동안 우리가 폭력에 방치된 이들에 대한 무관심이 아니었던가.

 

영화 한 편을 보았다. 「설리 : 허드슨강의 기적」이라는 영화로 톰 행크스가 주연을 한 영화였다. 실화라는 걸 알고 있었지만, 실화가 아닌것만 같았다. 비행기가 강에 빠졌는데 탑승했던 155명 전원이 살아남았다는게 과연 실화일까. 혹시 우리가 꿈꾸었던 상상의 결과물 아닌가 했다. 이륙한 비행기가 새에 부딪혀 양쪽 엔진을 잃고 회항해야 하는데 건물과 인명 피해가 예상되어 허드슨강으로 비상착륙했던 이야기였다. 탑승했던 전원이 구출되는 장면을 보고는 나는 세월호 사건을 떠올렸다. 맨 나중에 나오는 기장의 모습을 보고도 눈물을 흘렸다. 캡틴이라면 무릇 탑승한 사람의 안전을 제일 먼저 챙겨야 하는 것을. 대처가 빨랐다면 많은 사람들을 구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안타까움이 일었었다.

 

이처럼 영화에서는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저자는 한국영화  「한공주」에서부터  「이다」라는 영화까지 우리의 인권을 말하는 에세이였다.  「한공주」와  「도희야」를 묶어 말하는 글에서 작가는 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모습들을 말했다.

 

우리에게는 이 영화들을 볼 책임이 있다. 그래야 약자들이 내쉬는 조그만 숨소리라도 들어볼 수 있지 않겠는가. 폭력은 언제나 우리 가까이에 있다. (23페이지 중에서)

 

과거  「도가니」라는 영화가 개봉된 뒤 장애자에 대한 폭력과 인권이 사회적으로 문제되었던 것처럼 폭력 피해자가 아프게 살아가는 모습을 바라보았었다. 폭력 가해자들은 버젓이 학교에 다니고 생활하고 있는데 왜 폭력 피해자가 학교를 옮기는 등 도망다녀야 하는지 비정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던 영화였다.

 

 

국가는 통치술만 잘 구비한다고 성립되지 않는다. 또한 이렇게 완비된 통치술로 국민 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친다고 해서 국가의 역할을 다하는 것도 아니다. 국가는 국민에게 위임받은 힘으로 국민으로 보호해야 할 의무를 가진다. <집으로 가는 길>에서 비쳐진 프랑스 한국 영사 및 직원들의 고압적인 태도와 위선적인 미소는 결코 국가를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국가란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하는 영화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집으로 가는 길>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30페이지)

 

세월호 사건시 국가의 존재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 어떻게 아이들이 죽어가는데 그렇게 가만히 있으라고 했던 것인지. 지금도 세월호 생각만 하면 눈물이 차오르는데, 저자는 영화 <집으로 가는 길>을 소개하며 국가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을 건네고 있었다. 국가의 역할 보다는 정부의 역할이 더 중요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국가의 문제를 이야기했다.

 

오래전에 보았던 <가족의 탄생>과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내가 굉장히 좋아하고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영화다. 피를 나누지는 않았더라도 더 가족같은 사람들의 이야기라서 그렇다. 최근에 본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라는 영화에서 키운 정과 낳은 정은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이가 뒤바뀌어져 다른 아이를 키웠던 부모. 자식에게 상당히 차가운 부모였지만 그 아이가 타인의 아이라는 것과 이제는 함께 살수 없는 시점에서야 자신이 아들을 많이 사랑하고 있었음을, 아버지가 되어가는 감정들을 느낀다는 이야기였다. 좋은 부모라는 것도 배워가는 과정인 것을 알수 있었다.

 

기억이 사라지면 사람도 사라지는 걸까? 머릿속에서 과거가 모두 사라져 가족을 알아보지 못할 뿐 아니라 심지어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를 때조차도 그 사람을 엄마나 아내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껍데기뿐인 사람도 사람일까? (217페이지)

 

영화 <스틸 엘리스>에서 엘리스가 했던 말이 아직도 뇌리를 스친다. 자신을 잊어가는 것보다, 차라리 암이었으면 좋겠다는. 주변에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 누구보다도 이 말이 와닿았다. 만일 나에게 병이 찾아온다면 그것이 암일지라도 치매는 찾아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같은게 생겼다.

 

보지 않았던 영화들을 몇 편 찾아보았다. 시간을 정해놓고 볼 생각이다. 아무리 평이 좋지 않아도 취향에 따라, 감독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을 이해하면 그 영화는 나에게 굉장히 좋은 영화일수도 있는 것임을 이 에세이를 통해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