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의 조건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70
사사키 조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경찰관을 소재로 한 소설의 경우 살인마를 뒤쫓는 살인자와 경찰관의 심리가 주를 이루는데 반해, 사사키 조의 경찰관은 실제 경찰관으로 복무하고 있지 않나 할 정도로 섬세한 경찰관의 이야기를 한다. 전작 『경관의 피』에서는 3대째 경찰관을 하는 한 가족사를 그렸다. 소설에서는 60년에 걸친 일본의 역사를 볼 수 있었던 작품이기도 했다. 직업인으로서의 경찰관, 아버지로서의 경찰관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했었다. 이 작품 『경관의 조건』은 그 다음 이야기를 한다.

 

경시청 경관인 안조 가즈야는 가가야를 옆에서 도우며 그를 감찰하고 윗선에 보고하던 일을 했다. 가가야 히토시가 각성제를 했다며 그를 고발했고, 가가야는 각성제 불법 소지죄로 체포되었다. 결국 가가야는 경관을 그만두었다. 9년후 가즈야는 경부 시험에 합격해 그가 있었던 경시청으로 다시 오게되었고 조직범죄대책부 제1과 제2대책계장으로 발령받았다. 과거 가가야를 잡아들였던 경무과는 다시 그를 복직시키겠다며 가가야를 찾아갔고, 복직 요청을 거절했던 가가야는 복직을 받아들였고, 퇴직 당시와 같은 경부라는 계급으로 역시 조직범죄대책부 제5과의 계장으로 복직되었다.

 

이런 내용으로보자면 가가야를 고발했던 가즈야와 복직된 가가야의 대결이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각자 자신의 방법대로 수사를 하고 사건을 파헤친다. 영화에서도 많이 봤지만, 한 사건이 터졌을때 이익에 눈이 멀어 사건에 대해 공유를 하지 않은 걸 볼 수 있었는데, 소설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경시청의 경우, 비슷한 사건의 배후를 좇게 되면 서로 연계된 경관들끼리 협력하여 사건을 해결해야 하는데, 독자적으로 움직여 경관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되었다. 폭력계에 잠입했던 수사원들의 서로의 존재를 몰랐다는 사실이다. 

 

 

 

형사들의 경우 각각 정보원들을 가지고 있어 그들의 도움으로 사건을 해결한다고도 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도 그러한지, 경관이 폭력배와 손을 잡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전임자에게 정보원을 소개받는 경우도 있지만, 가가야의 경우는 독자적으로 움직였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신만이 아는 정보원들이 많았다는 사실이다. 경시청은 그래서 가가야의 복직을 추진했다. 그의 인맥과 정보망으로 각성제 사건에 대한 경찰관과 정보원을 죽인 살인범과 그들의 뒤에 있는 배후를 찾고자 했던 것이다.

 

소설은 꽤 디테일하다. 실제로 작가가 경찰관으로 복무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경관들의 업무와 사건을 해결하는 방법들이 디테일했다. 실제로 경관들이 각성제 위반범을 잡는다면 이런 방식으로 일망타진하지 않을까 싶었다.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그들과 교류하고 잠입 수사를 하고 목숨을 위험할지도 모르는 일에 과감히 뛰어든다는 것이다.

 

소설의 말미에 호루라기에 대한 글이 나온다. 호루라기 하면 경찰관이 떠오를 정도로 경찰관과 밀접한 물건이다. 밤길을 걷는 여성들은 위기에 처했을때 해를 가하려는 사람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기 위해 호루라기를 하나씩 가방에 담고 다니기도 했다. 오래된 녹슨 호루라기를 목에 걸고 있었던 남자. 그는 정말 경관이었던 것일까. 자신의 동료들을 부르기 위해 경관의 증표이기도 한 녹슨 호루라기를 목에 걸고 있었던 것일까. 수사 방법이 다른 사람들과 다르더라도 결국 그는 경관이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