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마술사 무블 시리즈 2
이원태.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같은 소설, 소설 같은 영화라는 뜻을 가진 '무블 시리즈' 두번째 이야기는 『조선 마술사』이다. 조선시대에도 과연 마술사가 있었을까? 작가의 상상력만으로 이 책이 탄생되지 않았을까 싶었다. 하지만 작가는 박지원의 『열하일기』 에서 조선시대에도 마술사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고 했다. 이에 작가는 소설을 구상하고 소설을 퇴고하는데까지 5년이 걸렸다고 했다. 상상을 해본다. 사대부의 나라 조선시대에 마술사가 있었다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그들은 사대부와 맞지 않는다고 무조건 배척하지 않았을까. 사대부들의 핍박으로 자취를 감추지 않았을까.

 

  하지만 소설속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마술사들에게 열광했다. 생각해보면 마술사들이 있었을 것 같기도 했다. 조선시대의 예인집단이었던 사당패의 한 줄기가 아니었을까. 소설을 읽지 못하게 했어도 소설을 즐겨 읽었던 우리 선조들처럼 그들도 눈에 휘둥그레지지 않았을까. 더군다나 잘생긴 미남자가 마술사라면 여성들의 마음을 훔치고도 남았을 것이다. 젊은 처자들은 미남자인 마술사를 보겠다며 물랑루로 달려들었을 것이며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열광했을 것도 같다. 소설속 조선 마술사가 활동했던 무대인 물랑루는 프랑스의 물랑루즈처럼 상상되기도 했다.

 

영화 속 '물랑루'

 

  마술 하나로 조선 시대를 호령하는 마술사 '환희'가 있다. 그는 자신의 마술 실력을 제대로 뽐낼수 있는 물랑루에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조선시대의 옹주 '청명'은 궁궐속 단 하나의 친구인 은미와 함께 물랑루로 마술을 구경하러 갔다가 환희의 마술을 지켜보게 된다. 다른 사람들은 환희를 바라보느라 시선을 빼앗기고 있는데, 무대의 천정을 바라보는 청명의 시선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지, 혹은 청명의 하얀 목덜미 때문인지 관객과 함께하는 마술 시연에서 청명을 지적해 나오라고 한다. 물론 많은 여성들이 환희에게 지목당하고 싶어한다. 은미까지도. 태어나자마자 어미인 소원 조씨가 죽은후 궁궐 속 깊은 골방인 별당에서 있는듯 없는듯 외롭게 생활해 온 청명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얼굴을 알리고 싶지 않다. 이에 환희의 부름을 거절하고 궁궐로 돌아오게 되는데, 여태 자신의 부름을 거절한 적이 없어 환희는 자존심이 상한다.

 

  그때의 시대는 청나라에 조공을 했던 때이다. 청나라의 사신이 찾아와 태자의 아홉번째 후궁을 뽑아가기 위해 조선의 처녀들을 데려갔었는데, 이번에는 청나라의 사신의 눈에 띄어 청명이 가게 되었다. 청명을 보내고는 못살것 같은 왕, 어느새 청명에게 사랑을 느껴 청명을 지키려는 환희의 분투가 시작된다. 소설 속 중간중간마다 환희가 살아온 과정들을 청명에게 이야기한다. 조선 태생의 환희의 어미를 때려적인 청나라 마술사 요물, 요물을 칼로 찔러 죽이고 도망쳐 나와 세상을 주유하며 마술을 배운 이야기가 환희의 입으로 전해진다.

 

판 아래에 누워 벌이는 상상은 막연한 상상이 아니라오. 마술이 어찌 펼쳐질 것인가를, 열 가지 기술을 바탕에 깔고 상상의 나래를 펴는 것이니까. 기술을 알수록 상상은 더 힘차게 나아가고, 나아갔던 상상도 기술을 통해 다시 현실로 되돌아올 가능성이 열리는 셈이오. (194페이지)

 

 

 

  마술은 판타지이다. 사람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듯한 판타지이다. 우리가 갖지 못했던 것을 볼 수 있고, 마치 꿈속에 와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큰 것은 마술은 우리들을 환희의 도가니로 물들게 한다는 것. 옹주와 하찮은 마술사와도 사랑을 하게 만드는 것은 마술에 판타지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1,000가지의 마술을 익히기 위해 노력하고 공부했던 마술사의 열정, 다른 사람의 마음을 훔치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겠는가.

 

  아무래도 잘생긴 미남자인 유승호가 영화에 나온다는 소식을 접해서인지 그의 이미지가 자꾸 떠올랐다. 그 정도의 미남자 마술사라면 조선 팔도 모든 여성들의 마음을 쥐락펴락 했을 것이다. 원래 갖지 못하는 것에 더 애달파하는 게 당연지사. 환희와 청명의 신분을 초월한 로맨스를 읽는 일이 즐거웠다. 소설 속 판타지를 영화속에서 잘 표현했을지 궁금하다. 오히려 소설보다 영화가 훨씬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영화적인 소설, 소설같은 영화를 표방한 무블 시리즈 답게 소설도 한 편의 영화처럼 느껴졌으니까. 아름다운 물랑루를 재현한 것만 봐도 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다. 한때 우리나라를 방문했던 데이비드 카퍼필드보다 더한 판타지를 주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