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를 주세요 - 제13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72
진희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즐거운 청소년 소설을 읽었다. 전에 읽었던 작품들은 청소년들의 요즘 세태를 반영하듯 우울한 이야기들, 예를들면 폭력과 따돌림에 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사과를 주세요』는 좀더 긍정적인 청소년들을 만날 수 있다. 한참 크는 아이들이 느끼는 성적인 고민들, 앞으로의 진로에 대한 고민들, 자신이 진정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생각들을 엿볼 수 있는 글이었다. 『사과를 주세요』는 푸른책들의 제13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네 편이 들어있는 소설이다.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이유는 표제작 「사과를 주세요」의 진희 작가 때문이었다. 일찍이 로맨스 소설을 여러 편 썼고, 동화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작가다. 작가의 로맨스 소설을 꽤 여러 권 읽었기에 동화라면 모를까 청소년을 문학은 또 어떤 느낌일까. 궁금함이 일었다.

 

  우선 이 글의 표제작인 진희 작가의 「사과를 주세요」를 보자. 의지라는 여자 아이가 있다. 이름처럼 의지가 굳은 아이다. 작년 4월 우리는 고통스러운 소식을 들었다. 수학여행을 가는 배에 탔던 한 고등학교 학생들 대부분이 아까운 목숨을 잃었다. 많은사람들이 카톡에 노란 리본을 한동안 달고 있을 정도로 우리를 가슴아프게 한 사건이었는데, 작가는 아마도 이 이야기에서 의지라는 인물을 창조하지 않았나 싶다. 시간이 지나서도 노란 리본을 달고 있었던 의지에게 수학선생은 노란 리본을 그만 떼라고 했고, '리본은 애도의 권리'라고 했던 의지에게 수학 선생은 '개나 소나 권리 타령'이라는 말을 했다. 이에 의지는 자신에게 사과를 하라는 의미로 '사과를 주세요'라는 피켓을 들고 학교 교문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었다.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려 고군분투하는 의지의 모습을 보며, 의지를 바라보는 교사들이나 학생들의 소리없는 응원을 보며 우리의 청소년은 공부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 자신이 원하는 것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신념을 보여주었다. 만약 이런 일이 생겼을 경우 쉬쉬하며 덮어버리기 일쑤 일텐데도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려 했던 의지의 모습이 왠지 뿌듯하게 느껴졌다.

 

피해자의 고통에 대해 시간을 들여 알아야만 한다. 고통은 순간이 아니기에 사과도 순간이 될 수 없다. 사과는 시간을 들여 반복, 지속해야 하는 행위다. 우리는 잊고 묻으려고만 하는 사과에 저항해야 한다. (88페이지, 「사과를 주세요」중에서)

 

 김은재 작가의 「연애 세포 핵분열 중」이라는 작품은 한참 성에 대해 민감할 나이, 또한 이성에 대에 눈을 떠가는 나이의 남자 고등학생의 이야기이다. 태어나서 연애 한번 제대로 못한 근복의 이야기를 통해 요즘의 청소년들의 연애에 대한 진솔하고도 유쾌한 고민을 알 수 있었다. 연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좋아하는 여자아이에 마음에 드는 방법들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할 수 밖에 없었겠지. 오늘 아침엔가 자매나 형제만 있는 사람들보다는 남매가 있는 사람들이 대체적으로 연애를 잘한다는 말을 라디오에서 들었다. 그것에 대한 반론이 방송인 김제동의 예를 들어 수많은 싱글들의 원성이 있었다. 연애는 나이가 어리나 젊으나 늙으나 영원한 화두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리처드 용재 오닐 때문에 비올라의 음색에 반해 그가 연주하는 비올라 연주곡을 꽤 들었다. 모든 청소년들은 자신이 꿈꾸는 것을 향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거나, 노력해도 자신이 원하는 것 만큼의 결과물이 보이지 않으면 고민되기 마련이다. 자신의 진정 원하는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안기는 단편이 허혜란의 「우산 없이 비올라」라는 단편이었다. 바이올린을 연주하다가 비올라로 바꾸게 된 선욱은 좀처럼 실력이 늘지 않아 일주일쯤 레슨을 쉬고 할머니 댁으로 오게 되었다. 여든이 다 되어가는 나이인데도 예쁜 하이힐을 신는 할머니는 예쁘게 차려입고 마을회관에서 노래 부르시거나 춤추며 즐겁게 보내신다. 연습에 연습을 해도 선생님은 '네 소리를 내, 네 소리를!'이라고 말씀하셨다. 우연히 할머니를 따라 회관에 가게 된 선욱은 즐겁게 노래부르며 노시는 할머니들을 바라보며 저절로 즐거워졌다. 

 

나만의 소리, 나만의 음악을 끌어내야 한다는 것을, 그것이 나를 행복하게 하고 음악으로 '놀게' 한다는 것을 또한 그것은 누구에게 배워서 되는 것도 아니고 필사적으로 연습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123페이지, 「우산 없이 비올라」중에서)

 

  마지막 단편은 이순미의 「바다를 삼킨 플랑크톤」이다. 꼭 공부를 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이왕이면 경제적으로 힘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에 아이들에게 공부 하라거나 하게 되는데, 공부에 전혀 취미가 없는 아이들도 있게 마련이다. 공부에는 취미없고 자신의 생각에 기발함을 불어넣어 전단지를 만드는 것에 취미가 있는 산하의 이야기다. 나도 역시 부모로서 산하가 내 아이라면 전단지 한다는데 무턱대고 찬성할 수 만은 없다. 틀에 박힌 그림을 그리기보다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못알아보는 사람들은 역시 어른인 것이다. 나 또한 이 어른들의 범주에 들었으니 할말은 없다.

 

  소통에 대해 생각해본다. 우리가 흔히 하는 말들 중에 말이 통하지 않는다는 말을 하곤 하는데 정작 자신이 알아듣지 못한 경우가 많지는 않은지 뒤돌아 볼 일이다. 아이들과 선생님, 아이들과 부모, 모두 소통의 부재때문에 힘들어 하지 않는가. 상대방이 내게 진심을 털어놓는데도 자신만의 생각안에서 나오지 못한다면 소통이 될리가 없다. 우리 모두 자신만의 생각을 강요하고 있지는 않은지. 상대방이 하는 말에 귀기울일 준비를 해야하는게 아닐까. 그래야 소통도 되는 것이라는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