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다시 벚꽃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62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이란 어떤 의미일까. 사랑하는 사람이 모여 가정을 꾸려 가족을 이룬다. 힘든 일도 있고, 좋은일, 즐거운 일을 함께 만들어가는 가족이지만 누구 하나에게 무슨일이 생겼을때 그에 대처하는 가족들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서로가 합심하여 뜻을 같이 하는 이도 있고, 가족의 고통을 외면하는 이도 생기는 법. 이로 인한 갈등으로 평생을 의절하고 사는 가족들도 있다. 타인이 그 가족들에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것이 가족만이 아는 각자의 사정이 있기 때문이다. 그 고통은 아는 자 만이 공감할 수 있으리라.

 

  미야베 미유키의 작품이 에도 시대의 무사의 이야기가 주를 이뤘고,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추리소설이 주를 이룬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비채에서 나온 『벚꽃, 다시 벚꽃』은 가족의 의미를 묻는 작품이었다. 할복자살한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파헤치고 아버지의 오명을 벗기고자 낭인이 되어 에도로 들어온 풋내기 무사 쇼노스케의 이야기이다. 네 편의 연작 소설처럼 이어진 작품 속에서 미야베 미유키는 몇 가지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한다.

 

  첫째는 가족의 의미를 묻는다. 아버지의 필체와 똑같은 위조된 문서로 인해 아버지는 할복자살을 했다. 어설픈 무사인 자신과는 다르게 무인기질이 뛰어난 형을 더 좋아했던 어머니와 다정다감했던 아버지와 닮았던 쇼노스케는 어머니와 형을 떠나 에도로 와 무라타야 대본소의 도움을 받아 필사 일을 하고 지내고 있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서민들이 있는 곳이지만 이 곳에는 따스함이 있다. 낭인이 되어 에도로 들어와 아버지의 오명을 벗기고자 아버지의 필체를 위조한 사람을 찾고자 한다. 어떠한 연유로 누구의 사주로 문서를 위조했는지 알고 싶기 때문이었다. 아버지의 죽음을 목도했던 형과도 쇼노스케보다는 형 가쓰노스케의 영명을 위해 애썼던 어머니와의 관계도 회복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을 것이다.  

 

  두번째는 미야베 미유키의 추리소설에서도 사랑이야기가 있다는 것이다. 하루하루 특별한 일이 없이 필사를 하며 지내는 벚꽃이 흩날리는 날에 단발머리를 한 여자를 보게 되었던 것. 벚꽃의 정령처럼 느껴지던 여자였다. 갑자가 나타났다가 갑자기 사라져 이 세상 사람이 아닌가 싶은. 마치 꿈속에서 일어난 일인듯 싶었다. 그 여자는 와카라는 이름을 가졌고, 재봉점 와다야의 외딸이었다. 대본소 무라타야의 지헤이에게 물었으나 그 여자를 모르는 척 시치미를 뗐다. 벚꽃 정령 같았던 와카와 함께 마을에 일어난 일들을 해결하는데 와카는 보기와는 다르게 수줍지도 않았고 말괄량이 기질이 있었다. 다이치의 누나인 긴이 자신을 좋아하는지 눈치를 채지만 자신은 긴을 여자로 바라본 적이 없었고 와카만을 마음에 품었다. 낭인이지만 스물두살의 젊은 무사이고, 자신보다는 더 활달하고, 자신이 미처 생각지 못한 면을 보는 와카에 대한 마음을 어떻게 숨길수 있으랴. 그렇다고 쇼노스케와 와카가 여느 소설에서처럼 연애를 하는 듯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저 수줍은 벚꽃잎처럼 마음만 담고 있을 뿐.

 

 

 

 

 

 

 

 

  세번째는 글속에 숨어 있는 사람의 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었다. 글씨를 보면 그 사람의 성격이 조금은 엿보이는 데, 글씨를 보고 그 글씨를 썼던 사람의 마음이 보인다는 것이다. 어떤 마음으로 글씨를 썼을 것이다라는 심리상태까지 볼 수 있다는 것. 사실 소설을 읽으며 작품을 쓴 소설가를 작품 속에서 느껴지는 것과 비슷하리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이러이러한 성격이겠구나. 단정한 글에서 단정한 작가의 모습을. 세심한 글에서는 세심한 성격을 가진 작가의 모습을. 호방한 글을 쓰는 작가의 모습등을 발견하는 기쁨이 크다. 그래서 자신과 맞는 작가의 글을 더 선호하기도 하고, 새로운 감정을 느껴보고자 새로운 작가의 글을 읽기는 하는 것임을 안다. 

 

사람은 눈으로 사물을 본다. 하지만 본 것을 기억하는 것은 마음이다. 사람이 산다는 것은 눈으로 본 것을 마음에 기억하는 일의 축적이며, 마음도 그럼으로써 성장한다. 마음이 사물을 보는 데 능해진다. 눈은 사물을 보기만 하지만, 마음은 본 것을 해석한다. 그 해석이 가끔은 눈으로 본 것과 다를 때도 생긴다.  (451페이지)  

 

  얼마전에 레이먼드 카버의 『풋내기들』이라는 작품을 필사한 적이 있었다. SNS의 발달로 손글씨보다는 키보드에 익숙해져 손글씨로 쓰는 것에 어려움도 처음엔 있었는데 글씨를 쓴다는 것의 매력을 다시한번 느꼈다. 또한 필사로 인해 책 속의 글을 더 음미할 수 있었다는 것. 앞으로도 좋아하는 작가의 글을 필사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글은 마음의 창이라고도 한다. 글에서 그 사람의 마음이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글을 쓸때도 함부로 쓰지 않고, 남에게 보이는 글씨를 쓸때도 정성을 다해 쓰지 않는가. 마음을 다해 쓴 글씨와 마음으로 나타나는 글. 이 또한 마음의 창이기 때문일터다. 

  에도 시대의 젊은 무사의 이야기지만 느껴지는 감각은 현대를 말하는 것과도 다르지 않았다.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무사가 소시민인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다정다감한 면을 볼수 있었고 잔잔한 일본 특유의 소설을 보는 듯 했다. 미야베 미유키의 색다른 글의 매력을 느낄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