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춤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61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좋아하는 터라 꽤 읽는 편이다. 긴 호흡을 간직하며 읽어야 하는 하나로 엮이는 스토리인 장편을 더 선호하지만, 최근엔 짧은 호흡과 함께 다양한 감정을 느낄수 있는 단편도 자주 읽으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단편을 읽기는 편하다. 하지만 글로 나타내기는 감정이 분산되기에 좀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소설중에서도 추리 소설은 특히 장편을 선호하는데, 장편에 비해 단편 추리소설은 이야기가 시작되려는 시점에 끝나버리는 듯한 아쉬움이 커서 장편을 더 읽게 된다. 온다 리쿠의 추리소설을 꽤 여러 편 읽었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갖게 하는 소설을 쓰는 작가가 단편은 어떻게 나타낼까. 그것도 한 권에 열아홉 편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어떤 느낌을 갖게 할까 못내 궁금했다. 

 

  온다 리쿠는 단편에서도 노스탤지어적 느낌이 강했다. 짧은 소설, 시작되었다가 갑자기 끝나는 느낌에서도 싫은 게 아닌 어쩐지 아련한 감정이 일게 했다. 어려 편의 단편인 만큼 다양한 인물, 다양한 사건, 다양한 사연들로 채워진 작품이었다. 쉼없이 무리없이 읽혔고 단편에서 느끼는 어려움도 없이 담백하게 읽혀졌다.

 

 

 

  열아홉 편의 단편은 함께 짝을 이루는 작품도 여러 편이 있어 연작을 읽는 느낌을 가질수 있었고, 한 편에 여러 이야기가 있는 것도 있었다. 소설 속 배경이 타이완인 작품이 두 편이나 있어서 작가가 타이완에 머물고 있는 걸까 잠시 생각하기도 했었다. 몇 번의 방문으로도 현지에서 머무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작가의 역량이리라.

 

 

 

 

 

 

  책의 마지막에 실려있는 「도쿄의 일기」를 읽으면서는 소설의 타이완을 배경으로 삼은 작품에서처럼 작가가 타이완에 머물다가 도쿄에 방문한 느낌을 일기로 나타냈나 싶었다. 나중에 책의 뒷편 작가의 말에서 읽어보니 미국의 작가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손자가 쓴 일기라는 설정이라고 했다. 역시 놀라웠다. 작가는 이처럼 우리가 전혀 생각하지 못하는 바를 글로써 나타낼 수 있구나. 작가는 외국인의 눈으로 도쿄를 바라보는 느낌, 도쿄의 거리, 음식, 도서관의 풍경들을 일본제 노트에 손으로 꾹꾹 눌러 쓴 일기처럼 표현했다.

 

  이 책의 표제작이기도 한  「나와 춤을」을 읽으면서도 나도 몰래 상상의 나래를 펼쳤다. 검은 옷을 입고 벽의 꽃 장식처럼 혼자 서 있는 한 소녀의 모습이 보인다. 누군가 자신에게 춤을 청해주지 않을 것 같아 우두커니 서 있는 소녀에게 흙색 옷을 입은 한 소녀가 다가온다. 본격적인 춤 지도를 받았다는 그 소녀의 말 한마디 '나랑 춤추자.' 스포트라이트처럼 비쳐드는 빛 속에서 두 소녀는 춤을 춘다. 두 소녀의 점프 점프 점프. 춤추는 소녀들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함박웃음을 지으며 점프 점프 점프하고 있는 소녀들. 즐거워 보이는 소녀들의 모습에서 어릴적 추억을 떠올리기도 했다. 춤이라는 건 남자는 여자와, 소녀는 소년과 추어야 하지 않겠느냐는게 일반적이지만, 누군가와 함께 춤을 출 수 있다는 것. 나와는 춤을 추어줄거라는 것. 그래서 춤을 출 상대를 선택할 수 있었다는 소녀의 말이 인상적이었다.

 

 

 

 

 

 

  만약 동물이 사람 말을 알아듣고, 그걸 글로 쓸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사실 사람만이 알고 있었던 일들을 개나 고양이가 빤히 바라보아도 그것을 표현하지 못하는 것 때문에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개나 고양이가 말을 할 수 있다면, 글을 읽고 쓸수 있다면? 이런 가정을 나타내는 단편이 있었다.

 

 

 

  개나 고양이가 사람 말을 한다라고 가정했을때 일어나는 일들을 다룬 단편은  「충고」와  「협력」 이라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은 각각 짝을 이루는 작품으로 글을 쓸 줄 아는 개가 죽음을 목숨을 구하는 작품이  「충고」이며, 아내를 함정에 빠뜨리는 역할을 하는 고양이를 만날 수 있는 작품이  「협력」이란 작품이었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가정이었다. 가정에서 많이 키우는 개나 고양이를 등장시켜 짜릿함 혹은 으스스함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에서 실소를 터트릴 수 밖에 없었던 작품이었다.

 

 

 

 

 

 

 

  대부분이 실화라는  「죽은 자의 계절」에서는 죽은 자의 기운이 서려있는 계절이 있다면 얼마나 섬찟할까를 나타낸 작품이다. 돌고 도는 계절속에서 죽은 자에게 어울리는 계절은 언제일까. 늘 우리들 곁에서 떠나지 않은 죽은 자들의 존재. 지금 어딘가에서도 내 주위에 그들이 있을까. 주위를 한번 둘러보게 만들었다.

 

 

 

너무 온갖 게 머리에 떠올라서 글이 안 써져. 다 표현을 못하겠어. ( 「나와 춤을」 중에서) 이 말처럼 많은 것을 느꼈던 작품이지만 글로써 다 나타낼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아, 절대 놓지지 마아야 할 것이 있다. 대부분의 양장본은 속표지 위에 책의 내용을 암시하는 겉표지가 있게 마련이다. 책을 읽을때 항상 속표지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꺼내보게 되는데 이 작품은 하마터면 놓칠 뻔 했다. 위 두번째 사진에서처럼 속표지에 단편이 실려있다는 것. 세로로 된 글자로 된 짧은 단편을 절대 놓치지 말것. 마치 숨바꼭질을 하는 양 조금 즐거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