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시간 오늘의 젊은 작가 5
박솔뫼 지음 / 민음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청춘 시절을 함께 했던 음악은 뭐였을까, 생각해본다. 책을 많이 읽었던 시기이기도 했지만, 불안한 마음을 음악으로 달래던 시절이기도 했다. 어느 누구 하나의 뮤지션을 몇년씩 좋아하기 보다는 아마 몇 개월씩 주구장창 그 뮤지션의 음악만 들었으니. 아프로디테스 차일드Aphrodite's Child의 음악을 주구장창 들었을때, 당시 한방을 쓰던 여동생으로부터 '제발, 이제 그만 좀 듣자'고 할 정도로 오랜시간 듣기도 했었지. 또 누가 있었더라. 그때는 시디가 없었고 LP시대라 LP를 꽤 모았었다. 테이프로 녹음해 듣다가 뮤지션의 음반을 사기 위해 시내를 온통 돌아다니기도 했었던 때. 문득 이 글을 쓰는데 그 시절이 떠오른다. 아마도 박솔뫼 작가의 『도시의 시간』속에서 우나가 제니 준 스미스의 음악때문에 뉴욕을 그렸던 시간들에 대한 이야기를 했기 때문일 것이다.

 

소설의 첫 문장이, 제니 준 스미스. 다. 그 다음이, 1954년에 태어남. 이고. 이 책은 제니 준 스미스로 시작해 재발매된 제니 준 스미스의 음악을 들으며 끝난다. 소설 속에 자리한 제니 준 스미스란 인물이 과연 존재하는 인물일까. 우나의 아버지가 들었던 곡을 우나가 들었고, 우나의 친구인 '내'가 들고 있었으니. 이 책은 우나의 이야기이고, 제니 준 스미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뭘 참 못했던 우나. 우나와 나, 배정, 우나의 동생 우미. 이들 넷은 늘 함께 움직이며, 우나의 집 근처를 돈다. 학교에 다니지 않았던 이들. 그나마 '나'와 배정은 학원을 다녔지만, 우나와 우미는 그마저도 하지 않았다.

 

우나의 방을 상상한다. '내'가 바라보았던 우나. 늘 집에서 준에 관한 이야기를 하기 좋아했고, 준이 살았다는 포틀랜드를 말했던 우나. 우나를 바라보는 '나', 우미와 배정을 바라보는 '나' 그들의 시간들은 늘 반복이었다. 제니 준 스미스 혹은 준의 이야기가 반복되어 나왔던 것처럼 이들의 시간도 반복되는 시간들이었다. 대구라는 도시에서. 우나가 살았던 그 골목을 거의 벗어나지 못했던 이들. 도시에서의 시간들은 늘 반복되는 시간이기도 하다. 불안한 청춘. 불안한 미래. 어느 누구의 관계에서도 확실함을 알수 없었던 젊음의 시간들. 이들의 시간은 모호함의 시간일수도 있었다.

 

 

 

 

박솔뫼 작가의 책을 읽은 게 『을』이라는 책이었다. 그 책에서의 느낌이 어땠을까? 하고 생각해보았다. 자세히 기억나지 않아 예전의 리뷰를 살펴보니, 그래도 잘 모르겠다. 책의 내용은 자세히 적지 않고, 그때의 느낌을 적은 글이니 더 그럴지도. 한가지 기억나는건 박솔뫼 작가의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 수상작인 『을』을 읽었을때부터 약간 모호한 글을 쓰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이 책은 어떤 것' 이라고 확실히 말할 수 없는 그 무엇.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꽤 좋아하고, 알아가고 싶은데 그들의 삶, 두려움과 방황이 책 속에서도 나타나는가 싶기도 하다. 배정과 우미, 우미와 나, 나와 우나의 삶처럼. 늘 뉴욕의 거리를 그렸던 우나. 뉴욕의 지하철 노선도 마저 그렸던 우나가 미국으로 향했을때 우나는 좀더 잘하는 것이 생겼을까. 준의 첫 음반이 재 발매되고, 내가 음악을 듣고 밖으로 나가 어딘가를 향해 달려나가듯이 청춘들은 늘 달려나갈 준비를 하는지도 모르겠다.

 

 

우나는 미국에 가서 제니 준 스미스를 찾았을까. 그래서 대구에서와는 또다른 도시의 시간들을 보내고 있을까. 무엇하나 확실하게 말해준 건 없지만. 어떻게든 그 시간들은 흐르기 마련이고, 우나에 대한 기억, 우미에 대한 기억, 배정에 대한 기억들도 청춘들의 한 시간이었음을. 시간이 지나고서야 깨닫게 되는 일. 아마도 그건 그 시간들을 함께 보낸 이들의 마음 한 조각. 그리움이었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