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드롭
데니스 루헤인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데니스 루헤인의 이름은 알고 있었지만 그의 책을 읽은 적이 있었던가. 읽고 싶었던 『살인자들의 섬』을 아직까지도 읽지 못했었는데, 하며 데니스 루헤인이라는 이름을 내 블로그 검색창에 썼다. 그러고보니 있었다. 금주법이 시행되던때의 갱들의 이야기인 『리브 바이 나이트』라는 작품이었다. 술, 여자, 갱단의 이야기. 즉 남자들의 냄새가 자욱하게 밴 작품이었었다. 그래 읽은 적이 있었지. 지독히도 남성적인 소설이라고 느꼈었지. 이번에 읽은 데니스 루헤인의 『더 드롭』또한 남성적인 냄새가 짙게 밴 갱 영화같은 소설이었다. 표지에서부터 곧추세워진 총이 전면에 위치해 있었다.

 

 

며칠 전에 읽고 리뷰를 쓴 김탁환, 이원태의『조선 누아르, 범죄의 기원』에서도 느낀 바지만, 선과 악이 존재할때, 내 스스로 선의 편에 있다고 느끼지만, 책 속에서, 혹은 영화에서 악과 악의 대립이 시작될때면 나나 다른 독자나 영화관객들은 악의 편에 서 있되 주인공의 입장에 서게 된다. 혹시라도 주인공이 죽을까봐, 혹은 더 못된 사람에게 당할까봐 숨죽이며 지켜보는 것이다. 나중에 알고 봤더니 주인공 또한 분명히 나쁜 사람인데도 말이다.

 

『더 드롭』에서의 밥도 마찬가지였다. 여느 소설에서처럼 범죄자를 좇는 형사거나, 갱단에게 돈이 털리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물론 드롭 바를 사촌 마브와 함께 운영하고 있는 밥에게 복면의 강도들이 돈을 털어가며 이야기는 시작됐다. 드롭 바를 운영하는 곳에서 여태 강도들이 없을리가 없었을테고, 과거에 한가락씩 했다는 밥과 마브가 손놓고 털리는 것을 보며 어이없게 털린다 싶었다. 드롭 바를 운영하지만 진짜 주인은 갱단의 우두머리 소유였고, 드롭 바에서 번 돈은 갱단의 주머니로 들어갔다. 그 와중에 돈까지 털렸으니 이제 마브와 밥은 죽을 위기에 처해졌다.

 

그 며칠 전 밥은 우연히 쓰레기통을 정리하다가 피가 묻은 채 쓰레기통 밑바닥에 있었던 개 한 마리를 발견했다. 쓰레기통 주인인 나디아에게 개에 대해서 묻고, 그녀의 도움을 받았다. 집으로 개를 데리고 가서 키우기 시작하고 산책을 하다가 개 주인 에릭을 우연히 만났다. 밥의 주변에 시시때때로 나타나는 에릭이 무척 신경쓰이기 시작하는 참이다.

 

 

 

한 때는 남자들의 영화인 갱 영화도 무척 챙겨보았었는데 반해 최근엔 이런 영화를 피하게 된다. 아무렇지도 않게 사람을 너무 쉽게 죽이는 게 그다지 좋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저 사람의 마음을 두드리는, 영화를 보고 나서도 생각에 잠기게 되는 여운이 있는 영화가 더 좋아서이다. 물론 소설도 마찬가지이다. 사람의 심리를 다루는 글이 더 좋은 이유, 최근에 내가 보는 영화와 비슷하다. 『더 드롭』은 톰 하디 주연으로 「개를 데리고 다니는 남자」의 원작 소설이었고, 단편을 장편으로 개작한 작품이다.

 

 

소설 속 밥을 보면서 사람은 참 알 수 없다는 생각을 했다. 갱단에게 순순히 돈을 빼앗기는 걸 보며 그의 심성도 개을 주워온 것처럼 선한 심성을 가졌을거라고 생각했지만, 마지막으로 갈수록 그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는 소설 초반에 보였던 무력한 모습이 아니었다. 그저 아닌것처럼 숨기고 있었을 뿐.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성당이 없어진다는 것에 안타까움을 내비쳤던 모습이 다는 아니라고. 사람은 여러가지 모습을 숨기고 있다. 우리도 보여지는 모습이 다가 아닌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