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칠드런 - 2014 제8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76
장은선 지음 / 비룡소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아이가 태어나는 숫자는 줄어들고, 노인들이 많아지는 추세다. 이런 이유로 경제인구는 자꾸 감소되고 있다. 모두들 저출산 문제로 고민하고 있고, 각 시군에서는 인구 감소로 인한 인구 늘리기 제도를 도입하지만, 이게 쉽지는 않다. 반면 중국은 인구가 너무 많아 산아제한 정책으로 한 가정에 한 자녀 낳기를 하고 있다. 만약 더 낳게 되면 세금을 내야 한다. 최근에 숨겨두었던 자식들에 대한 세금을 납부했던 장예모 감독이 그 예이기도 하다.

 

 

만약 의료기술의 발달로 병원에서 간단한 진료를 받으면 노화를 멈추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 시대가 된다면 사망률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인구는 포화상태가 될 것이다. 인구의 증가때문에 새로운 제도를 만들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처음엔 아이를 한 명만 갖도록 법으로 제한하고, 그게 미흡하다고 생각되자 '자식세'라는 걸 신설하여 아이가 성년이 될때까지 세금을 내야하는 것이다. 그나마 경제적 여유가 되는 부모는 자식세를 내며 아이를 키우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식을 버리거나, 아이들을 가두어두는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학교는 아이를 낳아 몰래 기르다가 발각되어 오는 아이들 헤이하이즈와 부모도 이름도 없이 넘버로만 불리는 아이들이 거주하는 곳이다. 이곳에 등록아동이었던 문도새벽이 들어오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새벽은 학교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했다. 부모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학교에 수용되며,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학교의 모습을 발견하기 시작했다. 학교는 시험을 치루어 1등급에서부터 9등급까지 등급을 나누고, 등급이 매겨진 아이들은 시설이 다른 기숙사에서 생활하게 된다. 인식표가 붙어있는 발찌를 차고 식단에서부터 모든 것을 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되어 생활하는 곳이었다.

 

 

 

 

 

 

머지않는 미래의 이야기라지만 현재의 이야기와 많이 닮았다. 소외 받는 아이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어디에서나 누군가의 배려가 필요하고,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등록아동으로서 부조리한 학교를 고발하기 위해서는 악어나 노아, 창우, 그리고 결정적으로 고물상의 도움이 필요했듯 새벽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을 때 조차도 옆에 누군가가 있었기 때문에 마음을 달리할 수 있었듯 말이다.

 

최근 케이블 방송사에서 방영하는 드라마 만화 원작 「미생」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연기자들의 연기도 호평받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직장생활의 참모습을 만날 수 있기에, 직장인들이 더 좋아하며 공감하는 드라마이다. 드라마 「미생」은 사회생활을 바둑으로 풀어가는 재미가 큰데, 드라마 속 '미생'은 '바둑에서 아직 살아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말이다. 완생을 향해 나아가야 하는 이들은 기성세대인 어른들 뿐만 아니라 아직 십대를 지나고 있는 아이들의 상태를 미생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삶을 살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학교에서 공부하는 아이들,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고군분투를 하는 아이들은 「미생」의 삶을 살고 있다. 책 속의 아이들을 보며, 학교라는 제도를 만든 사람들, 학교에서 아이들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모두다 오늘의 어른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태어나려는 새는 자신의 알을 파괴해야만 한다.

알은 곧 세계다.

"우리는 아직 태어나지조차 못했어. 태어나고 싶다면, 세계를 파괴해야 해" (115페이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 떠오르는 저 문장들을 보며 마음이 씁쓸해졌다. 아이들이 마음 편하게 살게 할 수는 없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