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소설을 읽는다.
소설을 읽는 일에 특별한 방법이 필요한 건 아니다. 그저 새로운 소설이나, 오랜시간동안 베스트셀러로 이어져온 고전이 된 소설을 읽는다.
고전문학은 고전문학대로, 현대문학은 현대문학대로 늘 즐거움을 주는게 소설이다. 여러 종류의 책을 읽으려고 하지만, 가장 좋아하는 건 소설이다.
이렇게 살아라, 이렇게 살면 좋다는 식의 자기계발서보다는 다는 한순간 다른 사람의 삶을 사는 소설이 좋다. 소설속에서 새로운 인생을 경험하고,
소설속에서 새로운 만남을 가지기도 한다. 내가 꿈꾸었던, 때로는 꿈꾸지 못했던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게 소설이다. 그래서 난 소설을 읽는다.
소설을 읽기에 소설가들이 좋다. 소설가들이 좋으면, 그가 쓴 소설들을 살펴보고 소설을 찾아 읽고 소설가가 쓴 산문집 등을 찾아 읽는다.
소설가
김연수의 『소설가의 일』도 내가 좋아하는 소설가의 새로운 산문집이기에 읽게 되었다. 김연수의 산문집을 읽게 되면서 내가 느낀 것은 그는 늘
문장에 신경 쓴다는 점이다. 그래서일까. 처음 그의 소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읽는데 어찌나 어렵던지, 김연수 작가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는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었다. 남들이 쓰지 않은 문장을 쓰기 때문에 보통의 책을 읽는 독자들은 그의
문장이 어렵다고 느꼈을 수도 있다. 처음 김연수 작가의 책을 읽을 때 도무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읽던 것이 점차 그의 책을 읽어가면서
그가 스토리 보다는 문장을 말하는 사람이었다는 걸 느끼게 되었다.
나는 소설은
스토리라고 생각했었다. 그동안 많은 작가들의 소설을 읽으며, 소설은 스토리를 가진 문장이라는 걸, 소설은 곧 문장이라는 걸 조금씩 터득하게
되었다. 그래서 많은 독자들이 김연수 작가의 소설이 어렵다고 느꼈었고, 그의 소설보다는 산문집이 더 재미있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가장 최근에
그의 산문집 『지지않는다는 말』을 읽고 이번 산문집 『소설가의 일』을 읽는데, 그의 글에서는 소설가 20년의 연륜이 묻어나와서 일까, 글에서
소설가의 여유가 느껴졌다. 이것은 나만의 느낌일 수도 있다. 내가 느끼는 소설가의 여유가 그의 문장에 적응되었음을, 그의 문장이 편해졌음을
느꼈을수도 있으니까.
내가 생각한 젊은 소설가는 사랑에 빠진 사람이다. 그는 스물네 시간 백치에 가까울 정도로 한 가지 생각만 할 것이다.
문장들, 더 많은 문장들을. (30페이지) 소설가는 매일 글을 쓰는 사람이라고 했다. 소설가는 누구보다도 본인 소설을 많이 읽는
사람이라고도 했다. 작가들이 소설을 고칠 때 스토리를 고치는 게 아니라 문장을 고치는 것이고, 어려 번 고칠수록 문장이 좋아진다고도 했다. 짧은
리뷰를 써도 여러 번 고치게 되면 문장이 이상해져버리던데, 리뷰어와 소설가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도 같다.
자주 하는 말이
작가들은 본질적으로 일반인들과 다른 시선을 가진 사람이라고들 표현한다. 김연수 작가도 산문에서 이런 말을 했다. '소설가는 세상만사를 비틀고 뒤집어서 보는 사람이니까.' 라고. 그냥 스쳐가는 사물 하나에도 소설가는 다른
마음으로 보듯, 소설가는 아주 작은 것 하나에도 궁금증을 가진 사람이다. 나 같은 일반인은 그저 그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데 말이다. 다른
시선을 가진 소설가들이 바라보는 세상.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
마찬가지로 소설가는 문장만을 쓴다. 글을 쓰기 위해 앉을 때마다 이렇게 생각하는 게 좋다. 거기에 내가 쓸 내용 같은
건 없다고. 오직 문장뿐이라고. 그것도 한 번에 하나의 문장뿐이라고. 내용이야 어떻든 쾌감을 주는 새로운 문장을 쓸 수 있을 뿐이라고. 끝내기
전에 다시 한번 더. 소설가는 내용을 고치는 사람이 아니다. 문장을 고치는 사람이다. 잘 고치는 사람. 그러니까 본인이 만족할
정도로 충분하게 많이 ......, 남들보다 더 많이 고치는 사람. (193페이지)
매일 글을
쓰는 사람과 매일 책을 읽는 사람과의 차이. 한 사람은 작가이고, 한 사람은 독자이다. 매일 책을 읽는 사람은 매일 문장을 고치는 사람의 책들을
간절히 기다린다. 나 같은 경우 소설이 훨씬 좋지만, 소설 외에 이처럼 산문도 좋다는 걸 느끼는 시간들이 참 좋다. 좋은 책은 좋은 문장을
가진다는 것, 스토리는 독자로 하여금 공감을 이끌게 하는 것. 소설가들은 좋은 문장을 고치고 우리 독자들은 그가 써낸 좋은 글을 만날 수
있다. 소설가의 글을 쓴다는 것, 더 좋은 문장을 위해 오늘도 책상에 앉아 있을 소설가의 일에 대한 생각을 만날 수 있어 좋았다. 나도 매일
글을 읽고 글을 쓰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게 소설이 아닌 독서감상문일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