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4 - 교토의 명소, 그들에겐 내력이 있고 우리에겐 사연이 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주말에 2박3일동안 짧은 일본 여행을 다녀왔다. 일본 여행이라기 보다는 올레길 걷기라고 해야 더 맞겠다. 규슈에 있는 올레길을 가게 되면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규슈편을 다시 보려고 했지만, 책을 다시 읽을 시간이 부족해 아쉽게도 그냥 출발했다. 일본으로 향하는 버스에서, 배에서 시간이 날때 교토편 두 번째 편을 읽었더니 일본이 더 가깝게 느껴졌다. 친숙했다. 흔히 일본을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한다. 지리적으로 가까운데 있지만,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많이 알지 못하는데서 나온 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일본은 우리와 역사를 같이 한 부분이 많지만, 정작 일본 역사에는 무지하다는 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우리에게 남아있는 피해의식만 크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총 4권으로 나뉜 일본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읽으면서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알았다. 우리에게서 건너간 문화유산도 자기들 식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일본 문화를 형성한 것도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이 아닐까 싶다.

 

 

유홍준 교수의『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은 그 첫 번째로 규수편을 엮었고, 두 번째가 아스카, 나라편이었다. 세 번째 편이 교토의 역사 였고 이번 네 번째 책이 교토의 명소를 다루었다.

 

 

일본편 네 번째 권인 이번 책에서는 교토의 명소 중에서도 주로 일본의 정원을 다루었다. 일본 정원의 모습을 일본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과정들을 알수 있었다. 일본에 관한 사진에서나 실제로 본 일본의 정원은 우리나라의 정원과는 좀 다른 느낌을 준다. 정원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일본 정원은 우리나라 정원과는 좀 다른 면을 보였다.

 

제1부는 일본 최초의 선종 사찰인 기온 지구의 건인사와 동시대의 정토종 사찰인 지은원을 답사했다. 제2부에서는 무로마치시대가 열리게 된 역사적 배경과 함께 상국사, 금각사, 은각사, 용안사, 남선사를 답사했다. 제3부는 다도의 본가인 우라 센케와 대덕사를 답사했고, 센노 리큐에 의해 일본의 다도가 완성되는 과정등을 답사했고, 제4부에서는 에도시대의 대표적인 별궁인 가쓰라 이궁 등의 일본 정원들을, 제5부에서는 느긋하게 교토 시내를 거닐면서 본 대로, 느낀 대로, 생각나는 대로 떠오르는 것들을 엮었다.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늘 여행지에 관련 된 책을 읽거나 여행 떠나고 싶은 마음을 달래려 여행기를 읽고는 하는데, 유홍준 교수의 답사기를 읽는 일은 우리의 문화 유산과 함께 역사를 알 수 있어서 더욱 유익한 책이다. 우리나라 답사기를 읽을 때는 우리의 역사를 알기 때문에 문화 유산을 더 애틋하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졌다. 반면 일본편을 읽을 때는 생소한 일본의 역사를 접하면서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일본 역사를 알고 난후의 문화 유산은 더 이해하기 쉽고 일본에 대한 호기심이 더 생기게 된 계기가 되었다.

 

좌, 뒤를 돌아보는 불상 우, 수월관음도

 

대부분의 불상이 정면을 향하는데 반해, 위 왼쪽 사진의 불상은 뒤를 돌아보는 불상이다. 저자는 이 불상의 모습을 가르켜 아미타여래가 극락으로 돌아가면서 중생들이 잘 따라오나 걱정되어 뒤를 돌아보는 모습이라고 표현했다. 오른쪽의 사진은 고려불화인 「수월관음도」이다. 우리나라에 있었으면 국보 중의 국보가 되었을텐데, 일본의 중요문화재로 지정이 되어 있다 한다. 우리가 사진에서도 느낄 수 있지만, 「수월관음도」의 사라를 시스루 패션이라고도 재미있는 표현을 했다. 대덕사의 「수월관음도」는 용왕과 용녀가 등장하는 스토리텔링이 있어 더욱 특별하다고 한다. 사진으로만 보아도 아름답다.

 

스토리텔링에 특별한 능력이 있는 일본은 은각사의 비와호 소수 수로를 따라 남선사까지 이어지는 길을 '철학의 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길은 일본 근대 철학자인 니시다 기타로가 즐겨 산책하던 곳이라 하여 이 이름을 붙였다 한다. '철학의 길'을 걸을 때는 왠지 사색하며 걸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가쓰라 이궁의 연못 풍경

 

우리나라의 정원이나 일본의 정원이나 정원을 바라보거나 거닐면 마음이 편안해 짐을 느낀다. 자주가는 담양 소쇄원의 모습을 좋아하는 이유도 소쇄원을 밖에서 감싸고 있는 대나무들과 돌로 된 담벼락, 자연스럽게 흐르는 연못의 물과 고요하게 앉아있는 듯한 정자 때문인지도 모른다.

 

책에서 일본 정원은 자연을 재현한 인공적 공간으로 사람이 들어갈 수 없고, 한국 정원은 자연공간 안에 인공적인 건물이 배치되고 나무가 심어지고 화단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일본인들은 정원의 나무에 철저히 가위질을 하여 인공이 가미된 자연으로 경영하면서 어쩌다 잘생긴 소나무나 흐드러진 수양벚나무를 자연 그대로 맡겨둔다. 이에 비해 한국의 정원에서는 자연의 멋을 있는 그대로 살리면서 무성한 곳을 다듬거나 빈 공간에 멋진 나무 한 그루를 배치하면서 정원을 조성한다. (......) '돌 10개를 놓으면 일본 정원사는 9개를 반듯이 놓고 나서 1개를 약간 비스듬히 틀어놓으려고 궁리하는데, 한국 정원사는 9개는 아무렇게 놓고 나서 1개를 반듯이 놓으려고 애씁디다.' (243페이지)

 

마루야마 공원의 벚꽃

 

 

어떤 곳을 가게 되면 늘 처음 찾는게 박물관을 먼저 찾게 되는데, 유홍준 교수 또한 박물관을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교토국립박물관은 주로 헤이안시대부터 에도시대까지 교토에서 생산된 문화재를 수집, 보관, 전시하고 있는데, 이곳은 특히 사찰의 소장품이 많다고 한다. 교토에 가게 되면 꼭 방문해서 보고 싶다. 벚꽃이 활짝 필때 가면 더욱 아름다운 공원이나 가모강변의 산책길도 추천했다. 평소에 걷는 걸 좋아하는 나에게 딱 좋을 산책길이기도 할 것 같다.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이들을 감동시켰다. 우리 문화유산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다시 일깨웠다. 일본편을 읽으면서 일본에 대해 무지했었다는 걸 알았고, 일본의 문화유산과 우리나라의 문화유산과의 연관성도 알게 되었다. 일본의 역사를 알고 난 뒤에 일본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일도, 그곳에 스며든 사연까지 알고 나면 더 가깝게 느껴졌다. 일본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바라보며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