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나라 쿠파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수현 옮김 / 민음사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우화를 좋아하는가, 묻는다면 글쎄라는 말을 할지도 모른다. 우화속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아는 것을 좋아하는가, 묻는다면 그건 괜찮다,이다. 아이들이 읽는 동화속에 우화가 꽤 많았다. 우화 속에서 말하는 풍자와 교훈을 아이들에게 읽어주며 아이들의 마음속에 깃들기를 원하기도 했다.

 

 

이사카 코타로의 『밤의 나라 쿠파』는 우화이다. 톰이라는 이름을 가진 고양이가 바라보는 자신만의 세상을 담았다. 다른 한 명의 주인공은 인간 남자. 인간과 고양이가 대화를 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알아듣는 인간이 신기한 고양이와 고양이가 어떻게 말을 하나 싶다. 고양이 톰은 인간에게 자신의 나라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건넨다.

 

 

고양이 톰이 살고 있는 나라는 오랜시간동안 철국과 전쟁을 해 온 통에 그 나라의 성벽엔 독이 묻은 가시가 있어 함부로 들어올 수 없다. 8년 간의 전쟁 끝에 철국에 지고 철국 병사들이 이 나라로 들어와 왕이었던 칸토가 죽고 이제 그들이 지배를 하려 한다. 이 나라에서는 위기에 닥쳤을 때 쿠파의 병사들이 구해주러 돌아온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었다. 오래도록 쿠파의 병사들을 차출해 쿠파를 물리치러 떠났었다. 그들이 쿠파를 절벽에서 떨어뜨리면 몸이 터져서 수분이 사방으로 튀어 그것을 몸에 맞은 병사들은 그로 인해 투명해지며, 투명해진 병사가 자신의 마을에 돌아와 구해줄 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와중에 고양이인 톰은 쥐의 꼬리를 발견하기만 하면 무의식적으로 쥐를 쫓기 위한 본능적인 자세를 취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투명한 병사가 말을 타고 돌아온 줄 알았지만 말 속에 있던 멀리서 온 쥐의 영향인지 쥐들 속의 중심의 쥐가 그런 톰에게 거래를 제안한다. 쥐들을 쫓지 말아달라고, 다른 고양이들에게도 말해 쥐들을 쫓지 않게 해주면 고양이들이 원하는 일을 해주겠다고 말한 것이다.

 

인간이나 동물이나 자신이 약해지면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어하고, 대를 위해 소를 희생시키겠다는 생각을 하는가 보다. 인간은 어떤가. 자신의 나라를 지키기 위해 백성들을 거짓말로 꼬여내어, 오래전에 전쟁이 끝났지만 전쟁중이라고 말하며, 또한 철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지만 자신의 영욕을 위해 거짓말을 내뱉는 인간들도 있다는 걸 보여주고 있었다.

 

 

책의 대부분의 시선이 고양이가 바라보는 인간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일까. 문장들이 단순하다. 철국의 병사들이 얼굴을 알아볼 수 없게 색칠을 하고 나타났을때 무슨일인가 궁금해하는 인간들의 모습들을 나타내는 장면들을 보면 정말 동화같은 느낌이 든다. 예를들면, 수군수군수군수군, 소곤소곤, 숙덕숙덕, 중얼중얼 이런 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수군거리는 소리, 소곤소곤 이야기하는 소리를 많이 나타내기는 하지만, 소설 속에서 이처럼, 자주, 나타내는 건 상당히 재미있었다. 무슨 일이 생겼을때, 여러 명이 모여 있을때 나는 소리지만, 막상 책 속에서 보니 느낌이 생소했다.

 

 

책을 읽으며 고양이가 바라본 인간들은 어떤 모습일까 생각해보았다. 퇴근후 아파트 인도를 걷다보면 노란 줄무늬를 한 고양이가 나를 피하지도 않고 나에게로 다가온 적이 있었다. 고양이를 무서워하지만 피하지 않고 지나가노라면 그 녀석은 나에게 무언가 기대하는 눈빛을 보내는 것 같았다. 고양이와 눈을 마주치며 먹이라도 줘야하나 하는 생각을 하겠금하는 눈빛을 건넨다.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를 위해 애쓰는 모습을 보여준 고양이를 보며 문득 노란 줄무늬의 길고양이가 생각났다.

 

또한 『걸리버 여행기』에서의 걸리버처럼 갑자기 주인공 인간이 거인이 되어버리는 것과 고양이 톰이 살고 있었던 나라가 소인들이 사는 나라처럼 보여버리는 것 또한 동화를 읽는 듯한 작은 즐거움이었다. 고양이의 시선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라를 통치하는 자와 나라를 위해 목숨까지도 바치려했던 소시민들의 삶,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는 세상을 이끌어가는 사람들도 오직 사람들이라는 것을 강하게 일깨운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