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닥터 슬립 - 전2권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포물을 좋아하지 않는데도 공포물을 읽는 이유는 계절이 여름이기도 하고, 작가가 스티븐 킹이기 때문이다. 스티븐 킹의 작품을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그의 많은 작품이 영화화 되었고, 몇 편의 영화를 본적도 있다. 36년 만에 출간된 『샤이닝』의 후속작이라 하여 그 궁금함이 커졌다. 전작을 읽지 않아도 무리없이 읽을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읽기 시작하다가, 자꾸 '샤이닝'이라는 말이 나와 혹시나 싶어 영화 정보를 검색했다.

 

'샤이닝'이라는 것은 말을 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깃든 영혼과 소통할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능력, 즉 영적인 교감 능력을 말하는 것이었다. 영화 '샤이닝'은 원작과 많이 달라 스티븐 킹의 마음을 불편하게 했다고 했다. 자신의 작품은 '따뜻함'이 있는데 반해, 영화는 '차가움'만 있다고 비판했다고 한다.

 

 

『닥터 슬립』은 『샤이닝』의 어린 아이 대니가 중년이 된 모습을 그렸다. 어렸을때 강했던 샤이닝을 숨기려고 했지만, 이제는 호스피스 병원에서 죽어가는 이에게 편안하게 눈감도록 인도해 준다고 하여 사람들은 그를 '닥터슬립' 이라 불린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 오버룩 호텔에 대한 고통스러운 기억을 잊고자 그는 술을 마셨고, 알콜중독자가 되어 실수를 저질렀고, 알콜중독자를 치료하기 위한 모임에 나가면서 그의 주변에서 한 소녀 에브라가 나타나 메시지를 전한다.

 

댄의 주변에서 맴도는 소녀 또한 어렸을 때부터 능력이 남달랐던 샤이닝이다. 먼 거리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았던 소녀 에브라가 댄에게 직접 도움을 요청했다. '트루 낫'이라고 하는 이들은 샤이닝을 가진 어린 아이를 고문하고 죽여서 아이들에게서 나온 정기를 흡수하는 이들인데, 에브라는 야구하는 아이를 죽이는 이들의 모습을 보아버렸다. 그것을 눈치 챈 트루 낫의 리더 로즈는 에브라를 잡으려하고, 에브라는 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밖에 없어 만나게 되었다. 이제 댄보다 훨씬 뛰어난 샤이닝의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아브라는 위험해졌다. 그들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힘을 합해야 했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바닥이 있기 마련이지. 자네도 누군가에게 자네 이야기를 해야만 하는 순간이 찾아올거야. 그러지 않았다가는 나중에 정신을 차려보면 술잔을 손에들고 술집에 앉아 있게 될테니까. (1권, 294페이지)

 

 

 

 

책에서 보면 댄은 매주 한 번씩 알콜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모임을 갖는다. 그의 삶이 슬프거나 아주 즐겁거나 할때 술에 대한 유혹을 견디기 어려운데, 댄은 한편으로는 알콜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애쓰고, 한편으로는 자신의 능력과 아브라의 능력으로 '트루 낫'을 물리치려고 애쓴다. 또한 그가 호스피스 병원에서 임종을 앞둔 이들이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는 과정은 오래전 오버룩의 고통에서 치유를 받는 과정들이었다.

 

알콜중독은 본인에게도 힘든 일이지만, 그것을 바라보아야 하는 가족에게도 큰 고통이다. 알콜중독은 치료해도 치료할 때 뿐이고, 다시 술을 마시면 원상태로 돌아간다고 한다. 사람들에게 술이란 분위기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만 이처럼 폐해를 낳기도 한다. 적당하게 마시면 좋은데, 그 적당치를 넘겨버리니 문제가 되는 것이다. 스티븐 킹은 이 작품을 『샤이닝』의 소년 댄이 중년이 되어 자신의 삶을 헤쳐가는 모습을 그렸고, 한편으로는 알콜중독을 치료하는 과정을 그렸다고 했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읽는 일은 분명 신비하고 강력한 힘이다. 하지만 그로 인한 불편함과 고통도 만만치 않은 것 같다. 오죽하면 아브라의 엄마인 루시가 '하느님, 정말로 존재하신다면 제 부탁 하나만 들어주실래요? 저희 딸아이 머릿속에 들어 있는 라디오 좀 망가뜨려 주실래요?' 라고 했을까. 루시를 생각하면 우리 아이들이 비범함보다는 평범한 아이라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스티븐 킹의 저력을 느끼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