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간들 - 제19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최지월 지음 / 한겨레출판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에 읽은 책들중에서 유난히 죽음에 대한 책들을 많이 읽는 것 같다. 죽은 자가 다시 살아돌아온다거나, 죽은 사람에게서 전화가 걸려온다는 기적같은 일들을 겪는 이야기를 읽었다. 이 모두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힘들어하는 이들에게 기적같은 일들이 벌어지고, 그로 인해 마음의 위로를 받는 이야기들이었다. 이번에 내가 읽은 책은 제19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인 최지월 작가의 『상실의 시간들』이다. 이 작품은 엄마를 갑자기 잃고 난뒤 100일간의 시간들을 말하는 작품이다. 물론 그 시간들은 엄마를 잃은, 상실의 시간들을 견뎌온 자의 감정들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도 우리는 일상 생활을 해야만 한다. 엄마를 잃은 그 시점에서 모든 걸 멈추고 싶지만 살아 남은 사람들은 어떻게든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빈소에서 제일 많이 하는 말들이 '나는 어떻게 살라고'라는 말인지도 모른다. 사람이 죽어 너무 슬프지만 살아남은 사람들이 그 시간을 어떻게 견딜까. 빈자리를 어떻게 견딜까에 대한 안타까움 들일 것이다.

 

 

엄마가 갑자기 심장마비로 죽은지 49일째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엄마가 갑자기 죽었는데도 둘째딸인 '나'는 여전히 살아있다는 자책감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엄마의 죽음을 예견하지 못한 딸들은 저마다의 마음의 깊이로 엄마의 죽음을 슬퍼하고, 가슴을 치며 운다. 반면 엄마의 장례 비용이나 기타 비용들에 돈을 쓰려하지 않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고, 울지 않고 무표정으로 대처하는 아버지의 모습이 마땅찮다. 우리 딸들은 너무 슬픈데, 아버지의 엄마에 대한 감정은 어디까지 였을까.

 

혼자 남은 아버지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당뇨 때문에 아버지는 저염식 식사를 해야했다. 그동안에는 엄마가 아버지의 식사를 책임졌지만, 이제 엄마가 없으니 누군가는 아버지의 식단을 책임져야 했다. 아버지는 걱정 말라며 혼자 잘 살수 있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엄마가 살아 있는 그 때처럼 모든 것이 갖춰졌을때의 이야기이다. 군인으로 평생을 근무하시다가 퇴직하신 아버지, 연금이 있지만 만약 큰 수술이라도 하게 되면 그 병원비는 어떻게 할 것이며, 누가 아버지 곁에서 아버지를 보살필 것인가 이 모두는 고민이 될 수 밖에 없다.

 

 

어느 정도 나이를 먹은 자식들에게 나이든 부모는 늘 걱정의 대상이다. 만약 한쪽 부모님이라도 돌아가셨으면 그 걱정과 고민은 배로 늘어난다. 우리집 같은 경우도 엄마가 오랫동안 병원에 입원해 계시기 때문에 아버지 혼자서 지내신다. 그게 몇 년이 되다보니 아버지도 혼자 잘 지내시고, 직장생활도 잘 하신다. 하지만 홀로 있는 시간이면 늘 전화를 하신다. 외롭고 쓸쓸하신가보다. 조금 더 신경 써드려야겠다고 생각은 하지만 행동으로 잘 옮기지는 못한다. 그래서 그럴까. 『상실의 시간들』속 둘째딸인 석희가 아버지에 대해서 걱정하고 자주 방문하는 모습에서 나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했다.

 

 

우리는 지금 엄마 없는 시간을 준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병원에 계셔 자주 못보지만 그래도 병원에라도 누워계시는 모습을 보며 얼마나 다행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석희가 엄마 없는 시간들을 견디듯 우리도 그 시간들을 견딜 것이므로, 마음이 무거워져 왔다.

 

 

삶을 지속한다는 건 끊임없이 낯설어지고, 새로워지고, 고독해지는 일이다. 형제도 자라서 타인이 되고, 타인이 만나서 가족이 되고, 그 가족은 다시 서로를 헤아리지 못하는 타인으로 변해 헤어진다. 만난 사람은 헤어진다. 40년이나 알아온 엄마와 나도 이제 헤어졌다. 이별만이 인생이다. (269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 부모를, 특히 엄마를 잃어 본 사람이라면 석희의 이런 감정들을 오롯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엄마가 없는 그 시간들, 상실의 시간들을 견뎌온 감정이 묵묵히 적혀져 있는 글을 읽으며, 나도 언젠가는 느낄 일이므로 석희의 감정이 나의 감정처럼 깊게 이입되었다. 상실의 시간들을 겪은 사람들은 이 작품을 읽으며 위안을 받을 것이며, 이제, 언젠가는 겪을 우리는 이렇게 시간들을 견디는구나, 훗날에 느낄 상실의 감정들을 미리 느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우리에게 다가올 죽음, 누군가의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도 우리는 이처럼 일상을 살아간다. 슬프고 그리움에 눈물을 흘리지만, 이처럼 소소한 일상속에서 엄마와의 시간들을 기억하고, 애도하는 시간들을 묵묵히 견디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